월 2만원대에 데이터1GB, 음성문자 무제한...자율 보편요금제 '첫 선'
[서울=뉴스핌] 성상우 기자 = KT(회장 황창규)가 사실상 보편요금제에 해당하는 요금제를 내놨다. 월 2만원대 요금에 데이터 1기가 바이트(GB)와 음성 통화·문자 메세지를 무제한 제공하는 요금제다. 데이터 1GB와 음성통화 200분 제공을 골자로 한 정부측 보편요금제 법안보다 더 파격적인 혜택이다.
그동안 정부의 강제적 보편요금제 도입 규제에 맞서 이통사들은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저가 요금제가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시장 논리를 내세워왔다. 이번 요금제 출시를 시작으로 이통업계에 본격적으로 보편요금제 경쟁이 촉발될 것이라는 게 업계 관측이다.
이필재 KT 부사장이 신규 요금제 관련 발표하고 있다. [사진=성상우 기자] |
KT는 30일 서울 광화문 KT 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데이터 요금제 개편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KT가 밝힌 신규 데이터 요금제는 ▲LTE베이직 ▲데이터온톡 ▲데이터온비디오 ▲데이터온프리미엄 등 총 4종이다.
LTE베이직 요금제는 사실상 보편요금제에 해당한다. 월 3만3000원에 데이터 1GB를 제공하며 유·무선 음성통화와 문자메세지는 무제한이다. 다 쓰지 못한 데이터는 다음달로 이월할 수 있고 데이터가 모자란다면 다음달 데이터를 당겨 쓸 수있는 혜택도 있다. 선택약정할인을 적용하면 월 2만4750원이다.
월 2만원대에 데이터1GB와 음성통화 200분을 제공한다는 내용의 정부측 보편요금제보다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한다. 정부가 강제적으로 도입하는 요금제보다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만들어진 요금제가 결과적으로 소비자 편익을 더 높일 수 있다는 그간의 이통사측 논리를 스스로 입증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KT를 시작으로 비슷한 수준의 요금제가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에서 잇따라 출시될 경우, 정부 측의 보편요금제 법안은 도입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시장 경쟁 원칙을 훼손한다"는 업계의 반대에도 강제적 보편요금제 도입을 강력하게 밀어붙인 정부는 다소 머쓱해진 상황이다.
경쟁사인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번 요금제에 대해 "사실상 보편요금제에 대응하는 요금제를 내놓은 것으로 보인다"며 "소비자 편익 측면과 시장 경쟁 활성화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SK텔레콤도 소비자 혜택을 대폭 늘리는 방향의 혁신적인 요금제를 준비 중이다. 빠른 시일내에 공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이필재 KT 마케팅전략본부장(부사장)은 "보편요금제를 의식한 것은 아니다"면서 "이용자 이용행태 분석을 기반으로 어떻게 하면 혜택을 더 제공할 수 있을 지 고민한 끝에 도출된 요금제"라고 설명했다.
KT는 고화질 영상을 일상적으로 시청하는 등 매월 대용량 데이터를 소비하는 이른바 '헤비 유저'들에게 혜택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ON 프리미엄' 요금제도 내놨다. 월정액 8만9000원에 데이터 제공량 및 속도제어가 전혀 없는 '완전 무제한' 혜택을 제공한다. 속도 제어가 없는 만큼 UHD(초고화질)급 영상을 즐기는 이용자들이 타겟이다. 이는 지난 2월 경쟁사인 LG유플러스가 내놓은 월 8만8000원대의 '속도·용량 제한 없는 무제한 요금제'와 유사한 내용의 요금제다.
KT 경영진이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에 답변하는 모습. [사진=성상우 기자] |
저가 요금제 뿐만 아니라 헤비 유저들을 위한 프리미엄 요금 경쟁도 이 요금제를 기점으로 본격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저가 요금대와 고가 요금대의 요금제 경쟁이 동시다발적으로 촉발됨으로써 최근 몇년간 경직적이었던 국내 이통업계의 요금 체계가 대대적으로 개편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KT는 그밖에 ▲데이터온톡 ▲데이터온비디오 등 요금제도 내놨다. 이용자들의 데이터 이용 행태에 구분한 요금제다. 구간이 많고 세부 내용이 많아 일반 이용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웠던 기존 요금제 체계와 달리 3구간으로 간소화했다. 제공하는 혜택 내용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라 소비자 선택권을 더 높일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이필재 부사장은 "이번 요금제 개편의 핵심은 영상 시청,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 활성화 등 대용량 데이터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데이터 이용 행태 역시 몇년전과 크게 달라졌다는 점에 주목했다는 점"이라며 "각 요금제에 최적화된 맞춤형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조만간 순차적으로 공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wse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