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日, 연이은 성추문…집요한 '피해자 때리기' 이유

기사입력 : 2018년04월30일 17:00

최종수정 : 2018년04월30일 17:00

피해자에 대한 책임전가·피해자를 꽃뱀으로 모는 세태
전문가들 "침묵 깨고 나서야 사회가 바뀌어"

[서울=뉴스핌] 김은빈 기자 = 일본에서 공직자와 유명인들의 성추행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양상도 논란이 되고 있다고 30일 마이니치신문이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이 같은 '피해자 때리기'는 크게 책임 전가와, '꽃뱀론' 두 가지로 나뉜다.

여고생에게 강제 키스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인기 그룹 TOKIO의 멤버 야마구치 다쓰야(좌)와 복수의 여기자에게 성희롱 발언을 했다고 주간지에 보도된 후쿠다 준이치로 전 재무성 사무차관(우) [사진=로이터 뉴스핌]

◆ "그러게 왜 따라 가"…피해자에 '책임전가' 

"술 취한 남자와 키스한 정도로 경찰을?"

일본에서 예능 출연으로 인기가 높은 연예인 '데비부인'은 최근 자신의 블로그에서 성추행 피해자를 비난했다. 비난받은 이는 일본의 유명 아이돌 TOKIO(토키오)의 멤버 야마구치 다쓰야(山口達也)에게 강제외설행위를 당한 여고생이었다. 

데비부인은 블로그에서 "야마구치씨의 집이니까 간 거 잖아. 17살이나 먹은 여자애는 남자의 집에 안가는 편이 낫다"면서 "엄마에게 전화해서 경찰까지 부르다니"라며 피해 여고생을 비판했다.

피해자를 공공연하게 비판하는 건 그뿐만이 아니다. 원로 가수이자 배우인 나카조 기요시(中条きよし)도 방송에서 "여고생이라면 걷어차서라도 도망갈 수 있어 집에 돌아갈 수 있다"며 "아예 안가면 된다"고 말하면서 피해자의 책임을 지적했다. 

신문은 "인터넷 상에서는 가해자를 옹호하는 두 사람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 있지만, 두 사람과 마찬가지로 피해자를 비난하는 목소리도 높다"고 전했다. 

이에 인권교육 비영리단체(NGO)인 'CAP센터 JAPAN' 사무국 관계자는 "40대 성인과 여고생 사이에는 명백한 힘의 불균형이 있다"며 "아이에게 책임을 넘기는 건 명백한 2차 가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피해자가) 비난에 자책감을 느끼고 피해 사실을 얘기하지 못하게 된다면 회복은 늦어진다"고 했다. 

일본에서는 현재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의 조짐이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CAP센터 관계자는 "성폭력을 받은 미성년자들 사이에서도 '이런 경험을 했다', '혼자가 아니다'라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게 좋다"면서 "어른들이 아이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상황에서는 피해자만 고립될 우려가 있다"고 했다.

◆ "돈 노리고 접근한 거 아냐?" '꽃뱀' 논리도 단골

성폭력 문제에서 단골로 등장하는 논리 중 하나가 '꽃뱀론'이다. 후쿠다 준이치(福田淳一) 전 재무성 사무차관의 경우엔 아소 다로(麻生太郎) 부총리 겸 재무상이 스스로 '꽃뱀'론을 들고 나오기도 했다. 

아소 부총리는 기자회견에서 "(후쿠다가) 속은 거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며 후쿠다 전 차관에 대한 옹호를 한 바 있다. 

TOKIO 사건에서도 인터넷에선 "돈이 목적", "TOKIO라는 유명세를 노린 것"이라는 이야기가 일본 인터넷에 심심치 않게 보이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다나카 도시유키(田中俊之) 다이쇼대학 사회학과 준교수는 "꽃뱀 논리는 남성 우위 사회에서 '여성이 남성의 발목을 잡으려 한다'고 여성에게 뒤집어 씌워 남성의 이익을 지키려는 논리"라고 분석했다. 다나카 교수는 "일본은 성폭력이나 2차 가해의 심각함을 성교육하지 않기 때문에 피해자 보호나 가해자 책임 등 본질적인 논의가 나오기 힘든 미성숙 사회"라고 했다.  

오사와 마치고(大沢真知子) 일본여자대학 교수도 "남녀 문제에선 여성이 자기방어를 하고 참는 게 당연하다는 암묵의 합의가 형성돼있다"며 "하지만 비판을 받아도 목소리를 내는 여성이 나온다면 시대는 바뀌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문은 "일본의 골든 위크가 시작된 지난 28일, 도쿄 신주쿠역에선 '우리는 침묵하지 않는다' 등의 플랜카드를 들고 후쿠다 전 차관 성희롱 의혹 항의시위에 나선 젊은이들이 있었다"며 더 이상 침묵의 시대가 아니라고 진단했다. 

 

kebj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화성 화재' 사망자 11명 신원 확인…내국인 1명·외국인 10명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아리셀 공장 화재 사고' 사망자 중 11명에 대한 추가 신원 확인이 이뤄졌다. 경기남부경찰청 화성서부 화재 사건 수사본부는 26일 "오후 6시 기준으로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으로부터 사망자 11명의 DNA 대조 결과가 통보돼 신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화성=뉴스핌] 정일구 기자 = 경찰과 소방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고용노동부 등으로 구성된 합동감식단이 지난 25일 경기 화성시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에서 화재 원인 조사를 위한 합동감식을 하고 있다. 2024.06.25 mironj19@newspim.com 이번에 신원이 확인된 11명은 국적별로 한국 1명, 중국 9명, 라오스 1명이며, 이중 중국 국적 남성 2명을 제외한 나머지 9명은 모두 여성이다.  이번 11명의 추가 신원 확인으로, 기존에 신원을 확인한 3명에 더해 총 14명의 인적 사항이 특정됐다. 경찰은 유족들에게 신원 확인 사실을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번 화재는 지난 24일 오전 10시30분께 경기 화성시 리튬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 3동 2층에서 발생했다. 이 화재로 23명이 숨지고 8명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사망자는 한국인 5명, 중국 국적 17명, 라오스 국적 1명으로 파악됐다. 국과수는 채취한 사망자와 유가족의 DNA를 대조·분석하는 등 신원 확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hyun9@newspim.com 2024-06-26 21:33
사진
조규홍 "의료공백 최소화" vs 임현택 "복지부가 의사 노예 취급"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이 26일 국회에 출석해 정부에 날을 세웠다.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보건복지위원회 청문회에서 "의료사태 단초가 (정부가) 2000명을 증원해서 시작됐다고 보기는 하지만, 환자를 상대로 의료계가 파업을 한다는 건 우려스럽다"며 해외의 경우, 우리 지구상에 의사가 무기한 파업을 하는 경우가 있냐"고 임 회장에게 물었다.  이에 임 회장은 "복지부가 해외에서는 사례가 없다고 거짓말을 하고 있다"면서 "파업은 의사기본권"이라고 주장했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임현택 대한의사협회 회장이 2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보건복지위원회의 의료계 비상상황 관련 청문회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4.06.26 leehs@newspim.com 그러자 소 의원은 "세계의사협회에서 나온 것도 봤는데, 파업 사례가 있기는 하지만, 영국 같은 경우는 올해 6일간 파업을 했는데 그게 최장기간이었고, 스페인 같은 경우도 2012년에 5주에 걸쳐서 파업한 경우가 있다"면서 "무슨 수를 쓰더라도 일단 병원부터 열고 나서 뭔가 협의를 시작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병원 정상화를 위해 정부와 의료계의 타협 가능성에 대해 임 회장은 "지금까지 보건복지부가 의협을 대해 왔던 것은, 그리고 의사들을 대해 왔던 것은 범죄자 취급을 했고, 노예 취급을 했다"면서 "저도 압수수색을 두 번이나 당했고, 거의 10시간 가까이 경찰 조사를 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정상적인 대화가 되겠냐"고 발끈했다. 그러자 소 의원은 "서로 동시에 양보해 가지고라도 병원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정부와 의사협회가 정말 노력을 추진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에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의료공백 해소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의협에 올바른 의료개혁을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도 구성됐으니 대화를 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jsh@newspim.com 2024-06-26 16:2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