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대만 화롄 6.4강진 2명사망 수백명 부상 매몰. 초강력 지진 전조 우려 (종합)

기사입력 : 2018년02월07일 09:22

최종수정 : 2018년02월07일 09:28

100년 주기 초강력 지진 발생 주장 주목

[뉴스핌=강소영 기자] 대만(타이완)에서 리히터 기준 6.4도의 강진으로 건물 붕괴와 인명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향후 더 큰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현지의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중앙통신사 등 대만 주요매체에 따르면, 6일 밤 11시 50분(현지시각) 화롄(花蓮) 북동부 18km 해역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7일 오전 7시 현재 2명이 사망하고 202명이 부상을 당했다. 이번 지진은 대만 전역은 물론 멀리 홍콩에서 까지 진동이 느껴질 정도로 강력했다. 지진 발생 깊이가 10km로 얕아 피해 규모가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대만 소방서(消防署)는 이날 지진으로 10층 높이의 마셜 호텔을 포함해 모두 4채의 건물이 한쪽으로 기우는 등 건물 붕괴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현재 마셜 호텔에는 호텔 직원을 포함해 3명이 매몰돼 있고, 다른 건물에도 약 20여 명이 사람들이 건물에 갇힌 것으로 추정된다.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은 지진 발생 후 즉각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현지에 인력을 급파해 신속한 구호를 진행하도록 지시했다.

대만에서 사상자가 발생할 정도의 큰 지진은 2016년 2월 이후 2년 만이다. 당시 대만 남부 타이난(台南)에서 발행한 6.0도의 강진으로 아파트 건물이 붕괴되고 100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다.

한편 최근 대만에서는 5도 이상의 지진이 이어지고 있어 현지 주민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월 17일에는 수도인 타이베이에서 41년만에 진도 5.7의 강진이 발생했고, 이틀 전인 이번달 5일 화롄에서도 5.8도의 지진이 있었다.

대만 지진전문가는 향후 더 큰 규모의 강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천궈창(陳國昌) 대만 지진센터 대리주임은 대만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6.0도의 강진이 더 큰 규모 지진의 전조일 수 있냐는 기자의 질문에 "가능성이 크진 않지만, 배제할 수 없다"고 답했다.

일부 학자는 8도 이상의 초강력 추가 지진 발생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리시디(李錫堤) 대만 중앙대학 응용지질연구소 교수는 "대만의 지진 발생 주기는 100년으로 현재 이 단계에 진입해있다. 지난 1920년 8.1도의 강진이 발생한 바 있다. 향후 10년 내 8도 이상의 초강진이 화롄 바깥 해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대만 중앙기상국 지진센터 린주웨이(林祖慰) 감측과 과장은 "지진 연구 학자들의 가설을 존중하지만, 현재 과학 기록으로는 일부에서 주장하는 100년 지진 주기설을 입증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주니어, 내주 방한…정용진 초청 [서울=뉴스핌] 남라다 조민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다음주 한국을 방문한다. 이는 사이가 각별하다고 알려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23일 재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는 다음주 중 한국을 찾을 예정이다. 그는 방한 후 정용진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을 만나 트럼프 정부와 가교 역할을 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을 위해 지난 18일(현지시간) 워싱턴을 찾은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가운데)이 트럼프 주니어(왼쪽)와 만나 부인 한지희씨(오른쪽)를 소개 후 반갑게 사진을 찍었다. [사진=신세계그룹] 트럼프 주니어의 초청은 '절친'으로 알려진 정용진 회장이 주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한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했지만,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수출기업과 유관 단체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정 회장이 지난주 미국을 찾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 한국 기업들의 우려를 전달하며 방한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다음 주, 트럼프 주니어가 정용진 회장 초청으로 방한해 국내 주요 기업 인사를 만날 예정"이라며 "일정하고 장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mkyo@newspim.com 2025-04-23 16:49
사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전합 회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한 대법원이 22일 곧바로 심리에 들어갔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전합)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첫 합의기일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리는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혐의' 1심 속행 공판에 출석 하고 있다. 2025.04.22 leemario@newspim.com 앞서 대법원은 이날 오전 이 전 대표 사건 2부에 배당하고 주심으로 박영재 대법관을 지정했다. 하지만 이후 조희대 대법원장이 이 전 대표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했고, 첫 합의기일도 열리게 됐다. 전합은 종전의 판례를 바꾸는 등 사회적 파장이 큰 중요 사건을 다룬다. 대법원장이 직접 재판장을 맡고, 법원행정처장을 겸임하는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대법관 12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단 이번 사건에선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맡고 있는 노태악 대법관이 회피신청을 했다. 이에 이 사건은 조 대법원장과 나머지 대법관 11명 등 총 12명이 심리할 전망이다.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전합에 회부되면서, 이 전 대표는 2020년에 이어 두 번째 전합 판단을 받게 됐다. 이 전 대표는 2016년 6월 성남시장으로 있으면서 보건소장, 정신과 전문의 등에게 친형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하고,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열린 TV토론회 등에서 친형을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한 적이 없다는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2심에선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2020년 7월 전합은 이 전 대표 사건을 7(파기환송)대 5(상고기각)로 무죄 취지 파기환송했고, 이후 파기환송심에서 무죄가 나온 뒤 그대로 확정됐다. 대법원이 본격적인 심리 절차에 들어가면서 이 전 대표 사건 선고 시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직선거법 사건은 '6·3·3원칙(1심 6개월, 2·3심 3개월)'을 준용하게 돼 있기 때문에 원칙대로라면 오는 6월 26일까지 선고가 나와야 한다. 하지만 같은 달 3일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고 이 전 대표가 유력 후보로 꼽히는 만큼, 이전에 결론이 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및 백현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전 대표는 1심은 이 전 대표가 방송 인터뷰에서 "해외 출장 중 김문기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고 한 부분과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요구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용도변경을 해준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부분이 허위사실에 해당한다며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하지만 2심은 해당 발언들이 모두 허위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1심 판단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검찰은 "법원의 판단은 피고인의 발언에 대한 일반 선거인들의 생각과 너무나도 괴리된 경험칙과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판단으로 공직선거법의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며 상고를 제기했다. hyun9@newspim.com 2025-04-22 15:2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