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리 출수 청자 <사진=뉴시스> |
[뉴스핌=이현경 기자]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는 '태안 마도해역 시굴조사 보고서'와 '수중문화재 탐사기법 개발 연구 종합보고서'를 발간했다.
'태안 마도해역 시굴조사 보고서'는 2011~2012년, 2014년 충청남도 태안군 마도해역에서 이루어진 수중 탐사와 시굴조사 결과를 담은 보고서다. 마도해역은 고려 시대 선박 3척과 조선 시대 조운선 1척이 발견되어 '바닷속의 경주' '고선박의 무덤'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4척의 고선박 발견은 체계적인 계획에 따라 진행된 광역탐사와 시굴조사가 바탕이되어 이루어진 결과로 보고서에는 당시의 발굴과정과 성과가 자세히 담겨있다.
마도해역에서는 3년 동안 도자기, 금속, 석재 등 유물 710점이 나왔다. 유물들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교역 항로의 중간 기착지로서의 마도해역을 조명해준다. 보고서에 수록한 유물인 청자베개는 상감기법이 장식된 비색청자로 최고급품이다. 또한 백자의 해상유통 과정을 보여주는 첫 사례로 알려진 백자의 집중 매장처에 관한 조사내용을 담아 조선 시대에 선박을 이용한 자기 운송이 이루어졌음을 밝히고 있다.
이외에도 중국의 닻돌(나무 닻에 매다는 돌), 자기, 개원통보(開元通寶), 희녕중보(熙寧重寶) 등 중국 유물도 수록하였는데 이 유물들은 고려 시대에 중국 선박과의 활발한 교류를 알려준다. 즉, 마도해역은 고대부터 한국과 중국이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뒷받침해 준다.
'마도해역 시굴조사 보고서'와 '수중문화재 탐사기법 개발연구 종합보고서' <사진=문화재청> |
'수중문화재 탐사기법 개발 연구 종합보고서'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 2013~2016년까지 4년간 수행한 '수중문화재 탐사기법 개발 연구' 사업의 내용을 종합한 보고서이다. 보고서에는 수중탐사장비의 운용 기술과 자료의 취득, 해석 방법, 탐사장비 개발과정 등을 정리하고 그 결과를 수록했다. 무엇보다 어둡고 조류가 빠른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의 환경을 극복하고 조사원이 직접 잠수해 탐사하는 방식의 한계를 해결했다는 평이 나온다. 다양한 수중탐사장비와 조사기술을 개발한 결과 다중빔음향측심기(조사선박에 설치해 해저면의 모습을 3차원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비), 자력계(물질이 가지고 있는 자기장의 강도를 측정하는 장비) 등과 같은 다양한 수중탐사장비를 활용해 좀 더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조사를 진행할 수 있었다.
보고서에는 각종 탐사기법과 수중 탐사장비를 투입하여 재질별로 도자기, 철제솥, 청동화포, 고선박과 같은 실험시료들이 우리나라의 해역별 매장환경별로 어떠한 신호로 탐지되는지에 대한 실험 진행 과정과 결과를 소개한다. 또한 연구사업의 세부과제로 국내 수중 문화재 매장환경에 적합한 금속문화재 수중탐사장비로 개발해 2017년 특허를 취득한 'EM-MADO1' 등 탐사 장비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2종의 보고서는 국립해양문화재 연구소 홈페이지(www.seamuse.go.kr)에서 살펴볼 수 있다. 국민과 공유하고 전국의 박물관, 대학도서관, 문화재 조사기관 등 관련 기관에도 배포하여 널리 활용할 계획이다.
[뉴스핌 Newspim] 이현경 기자(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