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부동산 쉬자인' , 'IT 마화텅' 누르고 중국 최고부자 등극

기사입력 : 2017년09월19일 17:30

최종수정 : 2017년09월20일 16:27

규제 안먹혀, 풍선효과로 3~4선 도시 가격 올라
업황 호조로 연말 부동산 주가 추가 상승 전망

[뉴스핌=백진규 기자] 지난해부터 지속된 중국 정부의 부동산 억제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기업들의 주가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쉬자인(許家印) 헝다(恒大)그룹 회장은 18일 마윈 알리바바 회장, 마화텅 텐센트 회장을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중국 1위 부호로 등극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부동산 기업들의 실적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포브스는 18일 쉬자인 회장이 헝다그룹(03333.HK) 회장이 중국 부호 1위에 올랐다고 발표했다. 쉬 회장은 전세계 부호 순위 15위에 올라 마화텅(18위) 마윈(19위)을 앞질렀다. 비록 근소한 차이지만 부동산 기업 CEO인 쉬자인이 중국의 IT기업 CEO들을 제친 것이다.

18일 중국 부호 순위 <캡쳐=포브스>

18일 헝다그룹 주가는 전일비 3.7% 오르면서 시가총액 3638억홍콩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1년간 헝다그룹 주가는 420.6%나 올랐다. 헝다그룹의 상반기 영업이익은 전년비 114.8% 증가한 879억8000만위안을, 순이익은 224.4% 증가한 231.3억위안을 기록했다.

헝다그룹 뿐만 아니라 대다수 부동산 기업 실적 및 주가가 올 들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A주 94개 부동산 상장사 중 90개 종목 주가가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완다그룹의 호텔사업 인수로 주목 받은 룽촹중궈(融創中國, 01918.HK) 주가는 1년새 543.9%나 올랐고, 자자오예(佳兆業, 234.6%), 비구이위안(碧桂園, 254.1%) 야쥐러(雅居樂, 203.0% 중궈아오위안(中國奧園, 208.3%) 등 4개 종목 주가는 200% 넘게 올랐다. 올 들어 주가가 2배(100%) 이상 오른 부동산 종목은 모두 19개에 달한다.

완커(萬科), 헝다, 비구이위안의 올해 1~8월 부동산 매출액은 각각 3000억위안을 넘어섰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돈 것으로, 연말까지 위 3개 기업 매출액은 각각 50000억위안에 달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부동산 억제 정책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투자가 줄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강력한 억제정책으로 1~2선 도시 주택 가격 상승률이 저조한 반면, 풍선효과로 인해 3~4선 도시 거래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올해 1~8월까지 중국 부동산 투자개발총액은 6조9494억위안으로 전년비 7.9% 증가했다. 특히 주택투자는 지난해 증가율(10.0%)을 상회, 전년비 10.1% 늘어난 4조7440억위안을 기록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부동산 실적이 더욱 개선될 전망이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 약정한 부동산 거래가 올해 하반기 체결되는데다, 부동산 종목 밸류에이션이 여전히 낮은 편이기 때문이다.

중항증권은 “지난해 정부가 부동산 규제책을 꺼내 들자 부동산 대기업들은 오히려 토지 매입을 늘려나갔고, 결국3~4선 도시 가격이 오르면서 수익이 급등했다”며 “정부 규제책으로 인해 부동산 신용대출이 위축되는 상황이나, 부동산 기업 주가가 급등하면서 회사채 발행, 어음 발행 등 다양한 자금조달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광발증권은 “단기적으로 8~9월은 부동산 성수기인데다, 장기적으로 중국의 도시화 비율이 아직 57.4% 정도여서 80~90%에 달하는 선진국과 비교할 때 개발 공간은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것이란 분석도 제기됐다. 초상증권은 “정부의 부동산 억제책으로 일부 부실기업이 퇴출되는 반면, 대기업 규모는 더욱 커질 것”이라며 “올해 말까지 시총 1000억위안을 넘는 부동산 기업이 16개, 2020년에는 30개로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1년간 헝다그룹 주가 추이 <캡쳐=텐센트증권>

[뉴스핌 Newspim] 백진규 기자 (bjgchin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日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이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 연안 지역에 발령했던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경보'로 상향 조정했다.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지역에 대피령을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 외 지역은 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미터이다. 지역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북부 제외),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구주쿠리·외해안, 지바현 내만 등이다. 쓰나미의 가장 빠른 도달 예상 시각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으로, 오전 10시경으로 예상된다. 30일 오전 8시 25분쯤 러시아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규모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 구시로시 등에서도 진도 2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상청은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의 쓰나미 경보 지역(빨간색 부분). 노란색은 주의보 [출처=웨더뉴스] goldendog@newspim.com 2025-07-30 10:15
사진
[단독] 내달 12일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 발표가 오는 8월 12일 이뤄질 전망이다. 해체가 유력해보였던 금융위원회는 존치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남은 기능은 금융감독원과 통합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안이 거의 확실시됐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전 금융위의 정책과 감독기능을 분리할 뜻을 밝혔고, 이재명 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도 이 같은 안을 확정해 대통령실에 보고했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3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29 photo@newspim.com 30일 뉴스핌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국정기획위의 분위기는 다소 바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위의 부동산 대출 규제와 중대재해 예방 제안에 대해 연이어 긍정 평가를 내놓은 것이 변화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정기획위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재논의를 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 분위기 변화의 이유는 전문성과 업무 능력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두달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금융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평가가 높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적절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안정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금융위원장을 칭찬한 것에 이어,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제안한 중대재해 예방 방안에 대해 "기준을 만들어서 대출과 투자에 불이익이 주는 것은 상장회사에 상당한 타격이 돼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 관련 전문성과 현안 대응력,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 금융위를 존치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으며, 현재 국정기획위가 채택한 금융정책과 감독의 완전 분리가 중복 규제, 책임 회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당 내에서는 금융위가 오히려 기획재정부가 맡고 있는 국제금융 기능까지 관할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윤준병 의원은 지난 7월 17일 발의한 정부조직개편안에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윤 의원은 "기획재정부는 거대 공룡과 같은 조직이니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금융 부문은 국제금융과 국내금융을 하나로 묶어서 한 기관이 전문성을 갖고 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물론 윤 의원이 경제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기획재정위나 정무위원회 소속이 아닌 국회 농림해양수산식품위원회 소속인데다 국정기획위 내에서도 금융 파트를 담당하는 경제 1분과 위원이 아니라는 점에서 발의된 정부조직개편안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대부분 금융위의 분리안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에서는 키를 대통령실이 쥐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대통령실에 의해 정부조직안이 만들어지면 여당에서 이를 비토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정부조직개편안 추이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계엄이나 탄핵 상황에서도 부지런히 일해왔다. 최근에는 이 같은 노력들을 조금씩 인정받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8월 14일 임기를 마치는 가운데, 임기 종료일 직전인 12일 경에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여당에서 나온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가 존치될지, 아니면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으로 나눠질지 금융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dedanhi@newspim.com 2025-07-30 14:4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