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J특공대'가 냉동참치의 모든 것을 공개한다. <사진=KB> |
[뉴스핌=박지원 기자] ‘VJ특공대’에서 냉동 참치의 모든 것을 공개한다.
26일 방송되는 KBS 2TV ‘VJ특공대’에서는 국내 유일하게 냉동 어종 하역 작업이 이뤄지는 부산 감천항의 모습이 그려진다.
무려 영하 50도라는 극한의 추위 속에서 이뤄지는 참치 하역 작업. 온갖 위험 무릅써가며 어창 밖으로 꺼낸 참치는 무게에 따라 분류해 가공공장으로 보내진다. 마블링으로 참치의 등급을 판별한 뒤 부위별로 다듬어진 참치는 참치 전문점으로 보내진다.
‘VJ특공대’는 이색 참치 요리와 꽁꽁 얼어붙은 냉동 참치를 생참치처럼 신선하게 만드는 놀라운 비법 등 ‘냉동 참치 상륙작전’을 카메라에 생생하게 담았다.
'VJ특공대'에서 대마도 여행 팁을 소개한다. <사진=KB> |
이와 함께 10만 원대로 식도락부터 숙박까지 풀코스를 즐기는 1박 2일 대마도 여행을 소개한다.
부산에서 약 1시간 거리에 위치한 일본의 섬, 대마도에서는 풍성한 볼거리와 먹거리를 시간과 경비에 쫓기지 않고도 알차게 즐길 수 있다.
먼저 전동 자전거를 빌려 대마도 시골 마을의 구석구석을 느긋하게 둘러보다 보면, 어느새 미우다 해변의 에메랄드빛 풍경이 눈앞에 펼쳐진다.
특히 대마도에서 가장 아름다운 경치를 자랑하는 ‘아소우 만(灣)’에서의 선상 낚시가 인기다. 국내에서는 보기 드문 고급 어종이 줄줄이 낚이기 때문에 본전을 뽑는 건 기본이다. 여기에 선장님이 즉석에서 손질해 주는 활어회까지 놓칠 수 없는 별미다.
대마도에는 이색 먹거리도 가득하다. 일명 ‘돌 구이’라고 불리는 대마도 전통음식 ‘이키야키’. 달궈진 돌 위에 한가득 차린 육해공 재료들을 지글지글 구워 먹는 것으로 풍미 깊은 맛을 자랑한다.
이 밖에 대마도 붕어빵인 ‘타이야키’, 도미 모양 속에 앙금을 가득 채운 ‘도미 빵’, 팥소를 넣어 돌돌 말아 만든 ‘카스텔라 마키’ 등 이색 디저트도 소개한다.
숙박도 남다르다. 현대식 호텔 대신 저렴한 일본의 가정집에서 ‘민숙’으로 하룻밤을 묵는 것이야말로 진짜 일본을 느껴보는 기회. 싱싱한 해산물과 고기, 전통 가정식 만찬이 상다리 부러지도록 차려지는 건 물론 주인 할머니가 이불을 깔아준 다다미방에서 보내는 포근한 잠자리까지 진짜 일본 시골집에서 누리는 최고의 하룻밤을 ‘VJ특공대’ 카메라에 담았다.
'VJ특공대'가 '푸드트럭' 창업기를 공개한다. <사진=KB> |
저렴한 초기비용으로 누구나 도전할 수 있어 창업 시장의 대세로 떠오른 ‘푸드 트럭’ 창업기도 소개한다.
시중가 3~4만 원을 호가하는 스테이크를 9900원에 즐길 수 있는 푸드 트럭. 매출만 해도 최고 월 1억 원이라고. 이 푸드 트럭의 성공신화를 이뤄 낸 주인공은 청년 사장 백상훈(26세) 씨. 280만 원의 중고트럭으로 시작해 지금은 억대 매출을 달성, 푸드 트럭 계의 전설로 떠오른 그에게서 성공 비결을 들어본다.
적은 돈으로 부담 없이 푸드 트럭 창업을 할 수 있는 방법도 전한다. 하루 9만9000원의 대여비만 내면 트럭부터 식재료까지 제공되는 특급 대여 서비스를 누릴 수 있는 것. 이에 ‘VJ특공대’ 제작진이 일일 푸드 트럭 창업에 도전한다.
한편 대여는 물론, 푸드 트럭 개조와 컨설팅까지 한 번에 해결해 주는 업체는 최근 푸드 트럭 창업이 뜨면서 덩달아 매출도 두 배로 상승했다.
조리 시설, 가스, 수도, 전기 시설 설치부터 다양한 음식 레시피를 제공해주는 것은 물론심지어 푸드 트럭 영업에 필요한 16가지의 복잡한 서류들까지 이곳에서 모두 해결해준다.
드러머 형과 비보이 동생이 도로 한복판과 고속도로 쉼터에서 운영 중인 푸드 트럭에서는 매콤한 핫도그와 직접 원두를 내린 커피로 승부수를 던지고 있다. 그런데 이들의 창업비용은 단돈 0원. 한국도로공사에서는 '청년 지원 사업'을 통해 전국 14곳의 졸음쉼터에 푸드 트럭을 설치해준다. 트럭과 조리기구가 무료로 제공되고, 6개월간은 임대료 0원으로 운영할 수 있어 청년들의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소자본 창업으로 창업계의 블루오션으로 떠오른 푸드 트럭 창업기를 VJ카메라에 담았다.
'VJ특공대'가 비비정 마을의 특별한 결혼식을 소개한다. <사진=KB> |
마지막으로 ‘VJ특공대’에서는 ‘나만의 결혼식’을 원하는 예비부부를 위해서 특별한 결혼식을 선사하는 비비정 마을을 찾았다.
개성 있는 결혼식을 선호하는 예비부부들이 연일 찾는다는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의 비비정. 마을의 어르신들이 합심해 주차관리부터 식권 받기, 마을에서 직접 수확한 갖가지 나물로 만든 찬과 일반 결혼식에서 보기 힘든 전골까지 피로연 음식으로 준비해줘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매주 마을을 찾아오는 예비부부와 하객들을 맞이하기 위해 똘똘 뭉쳤다는 마을 사람들이 1년 새 맺어 준 예비부부는 어느덧 18쌍. 이곳이 처음으로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약 5년 전, 신문화공간조성사업지로 비비정마을이 선정되면서 마을 어르신들이 일명 ‘농가레스토랑’을 차린 이후부터다.
평균연령 약 70세, 50평생 가족을 위해 요리를 해온 어르신들이 차려낸 따뜻한 밥상은 고향의 맛과 어머니의 손맛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호응을 얻었고, 피로연 음식까지 의뢰받게 되면서 마을은 야외 결혼식장으로 탈바꿈됐다.
성공적인 피로연을 책임지기 위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는 비비정 마을 이야기를 ‘VJ특공대’가 전한다.
[뉴스핌 Newspim] 박지원 기자 (pj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