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광주정신·국민통합 강조…'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헬기사격 진상규명·역사왜곡 방지·헌법 수록 등 6가지 약속
[뉴스핌=이영태 기자] 문재인 대통령도 울고, 광주도 울고, 대한민국도 울었다.
문 대통령은 18일 취임 후 첫 정부 공식 기념행사인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해 사망자 유가족들을 포옹하며 응어리진 광주의 한을 달랬다. 한을 씻어낸 광주시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바라본 하늘은 구름 한점 없이 맑고 화창했다.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새 정부 제2호 업무지시로 내린 문 대통령은 9년 만에 '임을 위한 행진곡'을 처음부터 끝까지 부른 현직 대통령이란 기록도 남겼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민주화운동 당시 아버지를 잃은 김소형씨의 편지낭독을 들으며 손수건으로 눈물을 닦고 있다.<사진=뉴시스> |
문 대통령의 눈물은 기념사를 마친 후 시작된 기념공연 1부 '슬픈 생일'에서 흐르기 시작했다. 딸의 출산 소식을 듣고 광주에 왔다 민주화운동 과정에서 사망한 김재평씨 이야기를 소재로 한 공연인데 문 대통령은 이날 생일을 맞은 김씨의 딸 소형씨가 편지를 읽어내려가는 과정에서 안경을 벗고 눈물을 훔쳤다.
소형씨가 감정이 복받친 상태에서 돌아가신 아버지에게 보내는 편지를 눈물로 읽고 연단에서 내려 퇴장하자 문 대통령은 자리에서 일어나 뒤를 따랐다. 진행요원이 소형씨에게 뒤를 돌아보게 하는 사이 문 대통령이 다가와 포옹하며 함께 울었다. 전혀 예정에 없던 일이었다. 기념식 참석자들과 생중계로 이 장면을 지켜보던 많은 국민들도 함께 눈물을 흘렸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돌아가신 아버지(김재평씨)에게 보내는 편지를 낭독한 김소형씨를 안아주며 위로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검은색 정장과 넥타이를 매고 광주광역시 운정동에 위치한 국립 5·18 민주묘지 기념식 무대에 오른 문 대통령의 5·18 광주민주화운동 37주년 기념사는 치유와 진정성, 결의로 가득찼다. "37년 전 그날의 광주는 우리 현대사에서 가장 슬프고 아픈 장면이었다"고 시작한 기념사는 "삼가 5·18영령들의 명복을 빕니다"라는 인사말로 마무리됐다.
문 대통령은 A4 용지 3장 분량의 기념사를 통해 5·18 민주화운동과 광주정신에 대해 ▲대한민국 민주주의 버팀목 ▲민주주의의 이정표 ▲민주정부의 맥이자 적통(嫡統) ▲고통과 치유 ▲통합으로의 승화 ▲촛불혁명으로의 부활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면서 "광주의 희생이 있었기에 우리의 민주주의는 버티고 다시 일어설 수 있었다", "불의한 국가권력이 국민의 생명과 인권을 유린한 현대사의 비극이었지만 시민 항쟁이 민주주의의 이정표를 세웠다", "문재인 정부는 5·18의 연장선 위에 서 있고, 87년 6월 항쟁과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의 맥을 잇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5·18과 촛불정신을 받들어 이 땅의 민주주의를 온전히 복원하겠다"며 ▲오월 광주 왜곡과 폄훼 저지 ▲헬기사격 등 5·18 진상규명 ▲5·18 관련 자료의 폐기와 역사왜곡 방지 ▲5·18정신 헌법 전문에 담아 개헌 완료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업무지시 ▲5·18관련 열사들의 희생과 헌신 추모 등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또 5·18(광주)의 엄마가 2년 전 진도 팽목항에서 4·16(세월호) 엄마에게 보낸 "당신 원통함을 내가 아오. 힘내소. 쓰러지지 마시오"란 글을 소개하며 "국민의 생명과 사람의 존엄함을 하늘처럼 존중하겠습니다. 저는 그것이 국가의 존재가치라고 믿는다"고 다짐했다.
광주시민들을 향해서도 "광주정신으로 희생하며 평생을 살아온 전국의 5·18들을 함께 기억해달라"며 "광주의 아픔이 아픔으로 머무르지 않고 국민 모두의 상처와 갈등을 품어 안을 때, 광주가 내민 손은 가장 질기고 강한 희망이 될 것"이라고 국민통합을 호소했다.
문 대통령이 이날 15분 남짓 단호한 어조와 표졍으로 기념사를 읽어 내려가는 동안 참석자들로부터 24차례의 중간 박수가 터져나와 문 대통령은 연설하면서 말을 잠시 멈추기도 했다. 특히 5·18 민주화운동 진상 규명과 5·18 정신을 헌법전문에 수록하겠다는 부분에서 가장 큰 박수가 나왔다.
기념식에 참석한 5월 어머니회 회원들과 일부 시민들은 문 대통령의 기념사를 들으며 눈물을 닦기 바빴다. 광주에서 3선을 지낸 강기정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복받쳐 오르는 눈물을 참지 못하는 듯 두 손으로 얼굴을 감싸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50분, 행사 시작보다 10분 일찍 광주 북구 5·18민주묘지에 도착했다. 문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과 다르게 차를 이용하지 않고 민주묘지 입구 '민주의문'부터 기념식장까지 걸어서 이동했다. 5·18 전 묘역에는 '근조 대통령 문재인' 문구 리본이 달린 국화꽃을 헌화했다.
기념식장은 참배객, 문 대통령을 보러 온 시민들로 북적였다. 식장에 들어선 문 대통령은 자리로 이동하는 중에도 유가족과 5·18단체 회원들을 안으며 다독였다. 이날 기념식은 문 대통령 지시로 '유연한 경호'를 지향하며 검색대를 통과한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게 했다.
문 대통령은 방명록에 '가슴에 새겨온 역사, 헌법에 새겨 계승하겠습니다 2017.5.18 대통령 문재인'이라는 추모글을 남겼다.
이날 기념식은 국민의례와 문재인 대통령의 헌화 분향에 이어 김후식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장의 경과보고가 진행된 후 기념공연과 가수 전인권의 '상록수' 노래에 이어 '임을 위한 행진곡'이 제창됐다.
3부로 구성된 기념공연에선 1부 '슬픈 생일'에 이어 전국 16개 시·도를 대표하는 대학교수들(통합의 의미)과 가수 권진원이 함께 '그대와 꽃피우다'를 2부 순서로 노래했다. 가수 전인권은 3부에서 '상록수'를 불렀다.
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전 제37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광주광역시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참석자들과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왼쪽 두번째는 피우진 국가보훈처장.<사진=뉴시스> |
마지막 식순은 가장 큰 관심을 모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이었다. 이날 행사에는 '임을 위한 행진곡'의 작곡가 김종률 씨도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정세균 국회의장 등과 손을 맞잡고 흔들면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처음부터 끝까지 제창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임을 위한 행진곡 노래의 주인공 윤상원 씨 묘역, '슬픈생일'의 아버지 김재평 씨 묘역, 행방불명 묘역 등을 참배했다. 김재평 씨 묘역에 갈 때는 고인의 딸 소형씨와 함께 참배했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