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기 역할 성공적...혁신 DNA 갖춰야 궤도 진입
[뉴스핌=문형민 금융부장] 메기가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기세로는 돌풍을 넘어선 태풍이다.
"겁이 덜컥 났다."(김도진 IBK기업은행장) "금융업의 경계가 무너지고 경쟁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다."(위성호 신한은행장) "경쟁자보다 한 발 빨리 의사결정을 하고 고객에게 우선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란 말이 엄살이 아니다.
![]() |
1호 인터넷 전문은행인 케이뱅크가 나흘만에 10만명을 모았다. 시중은행보다 0.4~0.7%포인트 높은 연 2.0%의 정기예금을 3일 만에 200억원 어치 팔았다. 그러자 4대 시중은행 중 하나인 우리은행이 연 2%대의 정기예금을 출시했다. 다른 은행들도 비슷한 상품을 준비중이다.
‘슬림K 중금리대출’은 최저 연 4.18%, ‘미니K 마이너스 통장’은 연 5.50% 가량의 금리를 케이뱅크가 제시했다. 중금리 대출의 경쟁자인 저축은행 중 SBI저축은행이 최저금리를 1%포인트 낮춘 연 5.9% 상품을 내놨다. 예금 금리는 높아지고, 대출 금리는 낮아진 것.
금리뿐 아니다. 케이뱅크가 출범하기 전부터 은행들은 모바일 비대면 서비스를 강화했다. 리브(국민) 써니(신한) 위비(우리) 원큐(하나) 올원(농협) 등 모바일 뱅킹 플랫폼이 그것이다. 인터넷전문은행에 뒤지지 않는 시스템을 갖췄다.
여기에 카카오뱅크가 오는 6월 영업을 시작한다. '국민 메신저'라는 카톡(카카오톡)을 갖고 있어 더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이란 기대를 받고 있다. 이미 해외송금 수수료를 시중은행의 10분의 1 수준으로 낮추겠다고 선전포고를 하기도 했다. 시중은행이 따라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찻잔 속의 태풍'에 그칠 수 있는 우려도 있다. 우선 규모다. 작년말 기준으로 4대 시중은행에 고객이 맡긴 예금 규모는 220조~230조원에 달한다. 시중은행의 인력 수로 나누면 인당 110억~150억원. 반면 케이뱅크는 이제 인당 1억원. 살아남을 수 있는 수준까지 성장하려면 갈 길이 멀다.
또 리스크 관리 능력을 갖춰야 한다. 빠르게 성장하는 것에만 집중하다간 큰 코 다칠 수 있다. 기존 은행들이 산전수전 겪으며 쌓은 노하우는 만만치 않다.
여기에 자본 확충이란 난제도 풀어야한다. 은산 분리라는 장벽을 넘어 은행법 개정이 이뤄져야 한다.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힘은 결국 혁신의 DNA다. 증권업계에서 키움증권은 후발주자로서 온라인 위탁매매 부문 1위로 뛰어올랐다. 업계를 주도하던 대형사들을 제치고, 넘볼 수 없는 위치를 확고히 했다. 독보적인 IT 기술과 투자자들의 편의성에 맞춘 혁신이 필살기였다.
첫 발을 뗀 인터넷전문은행이 필살기를 보여주길 바란다.
[뉴스핌 Newspim] 문형민 기자 (hyung1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