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뉴스핌 이고은 기자] 환경부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추기 위해 지능형 환경관리 대책반(T/F)을 발족하고 지난 10일 서울 서초구 LW컨벤션센터에서 1차 회의를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지능형 환경관리 T/F는 인공지능(AI) 등 첨단 IT기술을 적용해 대기질 예보를 강화하고 환경 변화를 사전 예측하는 등의 환경관리 정책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며, 올해 5월 중 추진과제를 발표한다.
이외에도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을 이루는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밀렵 감시체계 최적화, 대기 등 환경질 예보 고도화, 멸종위기종 행동 분석을 통한 안전한 서식처 유도 등 해외 사례를 참고해 '지능형 환경관리로의 혁신방안(가칭)'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능형 환경관리 T/F에는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생물자원관, 한국환경관리공단,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생태원 등 환경부 소속 산하기관을 비롯해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드론 관련 기술 전문가 등이 참여한다.
김영훈 환경부 환경정책관은 "4차 산업혁명은 기술적 측면에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독립적으로 발전해온 기술이 상호 융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한다"며 "환경관리 분야에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적용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발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이고은 기자 (goe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