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오찬미 기자] 서울시 지하철 운영이 '정시성'에서 '안전'으로 주안점이 바뀐다.
이에 따라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기관사는 안전조치를 마친 뒤 지하철 운행을 재개해야 한다. 또 승객 안전 강화를 위해 안전관리인력을 역마다 2명씩 늘리고 역무실도 '안전센터'로 명칭을 변경한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 지하철 안전보강대책'을 내놨다.
지난 6일 제252차 안전점검의 날을 맞아 전동차 내 화재 발생 시 비상탈출 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시는 지하철 운영기관 평가에서 안전을 우선해 평가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정부가 실시하는 평가에서 정시성 평가 대신 안전 평가 비중을 높일 계획이다. 지체운행에 대한 기관사 책임은 묻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오는 2023년까지 안전 콘트롤타워인 '스마트 통합 관제시스템'을 구축한다. 지금은 콘트롤타워가 기관별, 호선별로 따로 운영되고 있다. 이를 통합해 유사시 신속하게 운영한다는 게 시스템 개편의 목표다.
기관사와 지원인력 104명을 더 뽑아서 7호선 일부 구간에서는 2인 승무제를 시범 실시한다. 1인 승무로 기관사 업무 부담이 증가하고 비상상황 대처능력은 떨어지기 때문이다. 지금은 열차자동운전장치(ATO)시스템이 없는 구간만 2인 승무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차량이 고장 났을 때 관제보고보다 승객안내방송을 먼저 하도록 무정전 방송장치를 2020년까지 확대한다. 이밖에 지능형 CCTV, 객차 혼잡도 안내 시스템을 담은 '스마트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현행 평일기준 오전 1시까지 연장 운행되는 지하철 심야 운행시간을 30분 단축하는 것도 검토한다. 전동차 유지보수 시간을 30분 더 확보하기 위해서다.
시 관계자는 "안전이 현장에서 지켜지는 기준으로 전환되도록 시스템이나 매뉴얼을 바꾸겠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오찬미 기자 (ohnew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