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스핌=김세혁 기자] 세상 대부분의 아빠는 딸을 지극히 사랑한다. 그 방법이 남들 눈에 생소하고 괴팍할지라도.
살면서 누구나 한 번쯤 떠올릴 성공과 행복의 의미를 담은 영화 '토니 에드만'이 3월 관객 앞에 선다. 제89회 아카데미시상식 외국어영화상에 노미네이트된 이 작품은 오직 성공을 바라는 딸과 그 곁을 배회하는 괴짜 아빠의 이야기다.
16일 개봉하는 독일 영화 '토니 에드만'은 극중 남자주인공인 중년남성의 이름이다. 오스트리아 배우 페테르 시모니슈에크가 연기한 이 캐릭터는 키우던 개가 죽은 뒤 적적함을 못 이겨 딸을 찾아 루마니아로 날아간다. 일 잘하는 딸 이네스(산드라 휠러)는 누구나 동경하는 커리어우먼이지만, 아버지 토니에겐 그저 일에 환장한 노처녀 딸일 뿐이다.
![]() |
행복에 대한 인식 자체가 다른 딸과 아빠는 사사건건 부딪힌다. 고객 유치를 위해서라면 CEO 사모님 쇼핑까지 불려가는 이네스가 자신을 깨우지 않았다며 아빠를 나무라는 장면이 대표적이다. 감독은 영화 속 캐릭터 이네스를 차가우리만큼 이성적으로 그리는 한편, 토니는 상식을 뛰어넘는 괴짜로 묘사해 극적 대비를 얻어냈다.
덕분에 영화 속 이야기는 냉탕과 온탕을 수도 없이 오간다. 이네스와 토니의 관계를 바라보며 관객은 언제 무슨 일이 터질 지 몰라 롤러코스터를 탄다. 언제 어디서든 사고를 치는 토니는 중반을 넘어가며 민폐 캐릭터로 전락할 즈음, 놀라운 반전의 주인공이 된다. 이네스처럼 사회가 그어놓은 선 안에서 평안함을 느끼도록 설계된 우리는 마지막에 가 토니의 매력에 빠진다.
![]() |
토니와 티격태격하는 이네스 역시 영화 종반에 가서 관객의 심리를 과감하게 쥐고 흔든다. 참고로 이 영화는 19금인데, 감독이 이네스의 생일파티 신에서 보여주는 신이 꽤 신선하다. 통쾌하고 어딘가 신랄하다. 영화가 끝날 때까지 성공을 위해 스스로를 꾹 누르던 이네스는 비로소 자신을 내려놓고 관객과 소통한다.
영화 '토니 에드만'은 적잖게 명장면을 안고 있는데, 그 중 하나만 꼽으라면 산드라 휠러가 '그레이티스트 러브 오브 올(Greatest Love of All)'을 부르는 신을 택하겠다. 휘트니 휴스턴의 명곡을 소화한 이 독일배우는 이 장면을 통해 묘하게 관객을 빨아들이며 영화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완성한다.
[뉴스핌 Newspim] 김세혁 기자 (starzooboo@newspim.com) 사진=그린나래미디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