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곳 개성공단상회 중 북한산성점만 명맥 유지
제품 입고 중단 1년..아웃도어 침체까지 겹쳐
[뉴스핌=한태희 기자] 대학생과 고등학교 3학년에 올라가는 자녀를 둔 중년 여성이 창 밖을 내다보고 있다. 그의 주변에 있는 진열대에 등산용 점퍼와 바지가 걸려있다. 한쪽엔 등산용 티셔츠와 양말, 장갑도 쌓여있다.
그가 일하는 곳은 고개를 들면 북한산이 보이는 북한산성분소에서 약 200m 떨어져 있는 한 아웃도어 매장.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704번 버스를 타고 약 1시간 가면 나오는 개성공단상회의 북한산성점이다.
개성공단상회는 한 때 전국에 6곳이 있었다. 개성공단상회는 개성공단에서 만든 제품을 전문으로 파는 매장이다. 지난해 여름 안국동 본점마저 문을 닫았지만 북한산성점은 유지 중이다. 지난 7일 오전 북한산성점을 찾아갔다.
"글쎄 전 잘 몰라요. 얼마 버냐고요? 사장님이 알지 몰라요." 그가 북한산성점에서 일한 지 두달째 된다. 등산복을 진열하고 파는 게 주 업무지만 요샌 바뀌었다.
매장을 지키는 일로. 봄 신상품을 꺼내고 겨울 등산복은 진열대에서 내려야 하지만 그러지 않아도 된다. 새로 꺼낼 신상품도 없다.
![]() |
개성공단상회 북한산성점 <사진=한태희 기자> |
"작년에 새로 물건을 들여온 게 없다고 들었어요. 개성공단이 저렇게 됐는데. 재고 빼면 더 없어요. 양말도 여기 있는 게 전부고요." 개성공단 폐쇄로 신제품 입고가 중단됐다는 그의 설명이다. 계절 변화에 맞춰 옷을 바꿔 걸지 못하다보니 반팔티가 겨울 내내 걸려있다. 반팔티 가슴팍에 '개성공단상회'란 글씨가 큼직하게 써 있다.
북한산성점은 재고 처리를 위해 안간힘이다. 1만2900원짜리 기능성 티셔츠를 1만원에 판다. 두꺼운 내피 등산복은 3만9000원에 2벌을 준다. 원래는 1벌에 3만9000원이다. 그래도 안 팔린다. 등산복을 사기 위해 북한산성점까지 일부러 오는 사람은 없다. 아웃도어 시장도 쪼그라들고 있다. 엎친 데 덮칙 격이다.
"손님이 없죠. 옆에 매장도 다 닫았잖아요. 돈을 안 쓴다니까요. 중산층이 없어지잖아요." 난로 불을 쬐던 그가 말했다. 30분 넘게 손님 한명 없어 썰렁한 매장 안의 온기는 난로 두개가 채웠다.
![]() |
개성공단상회 북한산성점은 재고 처리를 위해 1벌 가격인 3만9000원에 등산용 내피 2벌을 팔고 있다. <사진=한태희 기자> |
남북 경제 협력의 상징이던 개성공단은 지난해 2월10일 전면 중단됐다. 북한이 4차 핵실험에 이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하자 한국 정부는 설 연휴 마지막 날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북한은 다음날 공단 폐쇄를 통보하고 남측 인원을 추방하며 맞대응했다. 이로 인해 어떤 기업은 폐업 위기에 몰렸다. 어떤 이는 졸지에 실직자가 됐다.
"글쎄 사장님이 알아서 하겠지만 재고 다 팔면 문 닫아야 하지 않겠어요? 한 손님이 9월에 개성공단이 재가동 될 수도 있다는 얘기를 하더라고요. 맞아요?" 내년에 대학교에 들어갈 학생을 둔 그가 한숨을 쉬며 되물었다. 개성공단 재가동 여부에 그의 일자리도 달려있다.
[뉴스핌 Newspim] 한태희 기자 (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