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0조원 이탈...가속 붙을 수 있어 우려
장기채 투자자 보험사, 환헤지·규제에 발목
[뉴스핌=허정인 기자] 올 초만해도 100조원을 넘겼던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채권 보유액이 90조원으로 줄었다. 1년새 10조원이 대한민국을 빠져나간 셈이다. 특히 이 가운데 2조원은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 이후 한달새 이탈했다. 앞으로 이탈 속도가 빨라질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외국인 투자자금이 한국을 빠져나가는 건 금리 차이 때문이다. 금리가 더 높고, 안정성이 큰 미국으로 간다는 얘기다.
![]() |
◆ 달러강세에 절대금리까지 높아…짐 챙기는 외국인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과 미국의 금리 차이(스프레드)는 전날 종가 기준으로 ▲3년만기 12bp ▲5년만기 -15bp ▲10년만기 -37bp ▲30년만기 -98bp다. 한국의 30년만기 국채금리가 2.198%인 반면 미국의 30년만기 국채금리는 3.996%다. 한국 국채를 사는 대신 미국 국채를 사면 수익을 더 올릴 수 있는 것.
절대금리 수준뿐 아니라 신용등급도 미국은 AAA로 우리나라(AA-)보다 높다. 안전성도 우월하다는 것. 아직은 5년 이상의 중장기물의 금리가 역전됐지만 갈수록 3년이하 중단기물에서도 같은 일이 벌어질 수 있다.
이에 외국인 투자자들이 대거 빠져나가고 있다. 15일 기준 국내 채권시장에서의 외국인의 채권 보유 잔액은 90조2000억원이다. 트럼프 당선 전인 8일 92조8000억원이었으나 한달 새 2조원 넘게 줄었다.
신동수 유진투자증권 연구위원은 “국내 조달비용이 높아진 상황에서 환율 역시 안정적이지 않고 절대금리도 국내가 낮기 때문에 외인의 자금유출 우려는 존재하고 있다”면서 “펀드자체에서 자금이 이탈했을 경우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리보(런던은행간 금리)까찌 올라가면 원화채권에 대한 투자매력도는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김일구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남은 90조원 중 공공기관 50조~60조원을 제외하면 나머지가 단기투자로 들어오는 민간펀드들”이라며 “장기물에 이어 2년이나 3년물 금리마저 역전된다면 자본 유출이 심각해질 수 있다”고 전했다.
![]() |
◆ 1%p 금리 더 주는데…사고 싶어도 못사는 보험사
10년 이상 장기 국채에 주로 투자하는 보험사들은 이같은 장세에 속만 태우고 있다. 30년만기 미국채에 투자하면 국내채보다 1%p(98bp) 가량 수익을 더 낼 수 있지만 환헤지, 규제 등도 고려해야하기 때문이다.
보험사 채권 딜러는 “30년물의 경우 100bp 정도 벌어졌지만 환헤지 코스트를 반영하면 미국채 매력도가 그렇게 높지는 않다”면서 “1년 이상 헤지해야 듀레이션을 인정받는 보험사의 규정도 있고, 지금보다 스프레드가 더 벌어져도 헤지 코스트가 금리차에 따라 반영되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아직까진 원화채가 낫다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고 말했다.
규제도 보험사의 해외자산 투자를 막고 있다. 보험업법 상 보험사는 총자산 대비 30% 미만에 한해서만 해외자산을 운용할 수 있다.
다른 보험사 채권 딜러는 “원화채 매력도가 많이 떨어져서 해외쪽 비중을 늘리는 중이지만 30% 한도 분이 거의 다 차 있어 추가로 원화채를 팔고 해외채를 매입하는 것은 무리가 있는 상황”이라면서 “환헤지의 경우 선도 거래로 두고 1년 미만으로 끊어가면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 같은데 규정 상 (해외채의) 추가매입이 어렵다”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허정인 기자 (jeon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