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지속시 보험료 인상 주춤"…2금융권 상반된 반응
[뉴스핌=이지현 기자]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보험·카드 등 2금융권은 상반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자산운용수익률 증가에 기대를 걸고 있는 보험업계는 금리인상이 지속된다면 보험료 인상 추세도 주춤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카드업계는 자금 조달비용 증가에 고심하고 있다.
1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국내 보험사들은 자산운용 수익률 개선에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저금리 기조 장기화로 보험사들의 자산운용수익률은 올해 3%대로 떨어졌다. 이 때문에 과거 판매했던 연 7~8%의 고금리 확정형 상품의 역마진을 우려해왔다. 하지만 이번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으로 내년까지 3차례 더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보험사들은 안도의 한숨을 쉬게 됐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아직 한 번의 금리인상으로 판단하기는 이르다"면서도 "다만 보험사 입장에서는 금리가 인상되면 운용수익률이 높아져 긍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보험 소비자 입장에서도 금리 인상으로 혜택을 보는 부분이 있다. 금리 인상이 추세로 자리잡을 경우 보험상품의 공시이율(보험적립금에 부리하는 금리)과 예정이율(보험사가 보험가입자에게 보장하는 금리. 보험료 책정의 기준)도 함께 높아진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사진=AP/뉴시스> |
공시이율이 인상되면 금리연동형 상품 가입자는 이전보다 이자를 더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보험 만기나 해지시 더 많은 해지환급금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예정이율이 인상되면 보험료 인상 추세도 주춤하게 된다. 보험사는 보험료를 산출할때 예정이율만큼 할인해 적용한다. 지금까지는 저금리 기조로 보험사 예정이율이 꾸준히 하락해 보험료가 인상되는 추세였다. 통상 예정이율이 0.25% 인하되면 보험료는 10% 오른다. 하지만 금리가 올라 보험사의 향후 자산운용수익률이 좋아지면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예정이율도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
또 다른 보험사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금리인상 기조가 이어지면 예정이율 인상이 가능하다"며 "이번 기준금리인상으로 당장 보험료에 변화가 있기는 어렵겠지만, 지속적인 금리인하 기조가 멈췄기 때문에 예정이율 인하로 인한 보험료 인상도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금리인상으로 지급여력비율(RBC)이 하락할 수 있는 만큼,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RBC비율은 보험계약자가 일시에 보험금을 요청했을 때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수치화한 것으로, 금융당국에서는 이 비율이 150% 이상을 유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조재린 보험연구원 금융전략실장은 "금리가 오르게 되면 채권 평가액이 낮아지는 등 자산 가치가 하락하게 돼 RBC비율이 낮아질 수 있다"며 "RBC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형 보험사들의 경우 이를 면밀히 모니터링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카드사는 조달비용 증가 우려에 고심
반면 카드사들은 이번 미국 금리인상에 걱정이 깊어졌다. 카드사들은 보통 회사채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는데, 이번 금리 인상으로 시장금리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카드사들의 조달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
자금 조달 비용이 오르면 대출 금리를 높이거나 수수료 등을 올려 이를 상쇄해야 하는데, 최근 금리인하 요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미국 금리 인상분이 시장에 선반영돼 카드사 조달 비용은 일정부분 상승하기 시작했다"며 "장기적으로 금리인상 추세가 지속되면 수익성 악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당장 저금리 상황에서 내려간 대출금리를 다시 올리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카드사들은 금리 인상에 따른 시장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해 자금 조달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셈.
앞선 업계 관계자는 "현재 카드사들은 국내 채권위주로 발행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국내외 금리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자산유동화증권(ABS)등 조달 다변화를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효찬 여신금융연구소 실장은 "12월 금리인상은 어느정도 예견됐기 때문에 카드사들은 회사채 발행을 미리 하는 등 대비를 해왔다"며 "앞으로 금리인상 추세가 계속된다고 봤을때 카드사들은 금리를 모니터링하면서 조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채권 발행 시점을 면밀히 살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이지현 기자 (jh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