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속보

더보기

니콘, 액션캠 '키미션 시리즈' 이달 국내 출시

기사입력 : 2016년11월03일 13:26

최종수정 : 2016년11월03일 13:26

360도·초광각·초경량 등 3가지 라인업…방수·방진·방한 성능

[뉴스핌=황세준 기자] 니콘이 액션캠 신제품 3종을 이달 국내에출시한다.

니콘이미징코리아는 3일 액션캠 '키미션 시리즈'를 공개했다. 니콘이 액션캠을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니콘에 따르면 키미션은 360도 4K(UHD) 촬영이 가능한 '키미션 360', 170도 광각을 촬영할 수 있는 '키미션 170', 초경량 웨어러블 카메라 '키미션 80' 등 세가지 라인업이고 이달 중순 출시한다. 가격은 각 60만원대, 40만원대, 30만원대다.

<사진=니콘이미징코리아>

'키미션 360'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 렌즈를 통해 사용 주변의 모든 환경을 담아내는 제품이다. 무게는 배터리와 메모리 카드 포함 198g이다. 수심 30m 방수 및 영하 10도 방한 성능, IP6X 등급 방진을 지녔다. 2m 높이에서 떨어뜨려도 견디는 내충격 성능도 갖췄다. 

이 제품의 충전 시간은 2시간 20분이고 완충 상태에서 1시간 10분 연속으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사진은 230장 촬영 가능하다. 블루투스 4.1과 와이파이 연결을 지원한다.

'키미션 170'도 4K 동영상을 촬영한다. 무게는 배터리와 메모리 카드 포함 134.5g이다. 전자식 손떨림 보정 기능을 탑재했다. 수심 10m 방수 성능, 영하 10도 방한 성능을 지녔다. 하우징을 장착하면 40m까지 잠수 가능하다. IP6X 등급 방진성능과 2m 낙하 내충격 성능도 지녔다.

충전 시간은 3시간이고 완충 상태에서 60분 연속으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사진은 250장 촬영 가능하다. 사진 규격은 JPEG, 동영상 규격은 MP4다. 블루투스 4.1과 와이파이를 지원한다.

'키미션 80'은 무게가 배터리와 매모리 포함 74g에 불과하다. 광각 80도 범위를 촬영할 수 있다. 광학식 손떨림 보정 기능을 탑재했다. 충전 시간은 2시간 30분이고 완충 상태에서 정지화상 220매, 동영상 40분을 촬영할 수 있다. 수심 1m  방수 성능과 1,5m 낙하 내충격 성능, 영하 10도 방한 성능, IP6X 등급 방진 성능을 갖췄다.

이 제품은 몸레 착용해 자유럽게 이동하면서 촬영하기에 적합하다. 구도를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는 셀피용 서브 카메라도 탑재했다. 사용자들은 니콘의 스마트폰용 이미지 공유 앱인 '스냅브리지'와 연결해 촬영 화면을 실시간으로 온라인에 업로드 할 수 있다.

키타바타 히데유키 니콘이미징코리아 대표이사는 "키미션 시리즈는 니콘에서 최초로 선보이는 액셔카메라로서 소비자들이 영상 촬영의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니콘은 이달 중 키미션 시리즈 전용 액서서리도 선보일 계획이다. 액세서리는 다양한 형태의 거치대(마운트), 방수케이스, 렌즈 프로텍터, 충전기 등이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