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 이영기 박사, 한양대 박사학위 논문 ‘재정학연구’ 발표
[뉴스핌=박영암 기자] 앞으로 법인세 인하경쟁이 더 이상 수용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연구논문이 발표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현재 법인세율 수준이 세수와 법인세율간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래퍼곡선상의 최저세부담률보다 낮아 법인세율 추가인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실증분석이다.
![]() |
31일 학계에 따르면 뉴스핌 이영기(사진)차장이 한양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한 <OECD국가들의 법인세율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는 1980년 레이거노믹스의 세제정책의 핵심분석수단인 '래퍼곡선'분석을 통해 그간 법인세율 인하경쟁 지속되기 어렵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논문은 선진국 등 주요국가의 법인세율이 1980년대에 비해 절반수준으로 내려왔고 복지재원마련 등 재정수요가 커져 법인세율 추가 인하를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래퍼곡선은 1970년대 미국의 경제학자 아더 래퍼교수가 제안한 이론으로 세율과 세수관계를 곡선으로 나타내고 설명한 것이다. 래퍼곡선은 일정한 수준의 최저세부담률을 초과하면 세수가 감소한다는 것 을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1981년~1985년의 OECD 법인세율은 평균 47.5%이었지만 레퍼곡선상의 세수극대화 세율 은 43%대였다고 주장한다. 198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주요 7개국(G7)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법인세 인하가 가능했던 것의 이면에는 이런 근거가 있었다.
하지만 20%대후반까지 내려온 법인세율과 2008년이후 금융위기 정부부채의 임계치(한계 상한선) 도달로 법인세율 추가 인하는 강력한 반대에 직면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저자는 "자본시장 개방과 외국인직접투자(FDI) 등 글로벌 경제의 세계화로 1980년대 이후 각국이 법인세율을 경쟁적으로 인하했다"며 "하지만 래퍼곡선상의 최저세부담률보다 주요국가의 법인세율이 낮고 재정지출수요도 많은 상황에서 법인세를 더 내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개별국가수준의 분석은 제외된 것이라서 한국에 대해 뭐라 말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한국재정학회가 지난 8월 발간한 <재정학 연구> 제9권 제3호(통권 제90호)에 실려있다.
저자는 서울대 경제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뉴스핌 Newspim] 박영암 기자 (pya84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