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글 황수정 기자·사진 이형석 기자] 살아남았다. 전문 방송인이 아닌 그에게 '살아남았다'는 표현이 어색할 수 있겠으나, 반갑게도 프로그램 개편의 칼바람이 그를 비껴갔다. 이탈리아 출신 알베르토 몬디(33)는 JTBC 예능 프로그램 '비정상회담'의 원년 멤버로 의장단(전현무, 유세윤, 성시경), 캐나다 대표 기욤 패트리와 100회를 넘어 더 도약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비정상회담'은 예능계에 외국인 열풍을 선도한 선구자적 프로그램. 한국말 잘하는 외국인들의 등장은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고 나라마다 독특한 스타일과 캐릭터로 모든 멤버가 사랑을 받았다. 일부 멤버 교체가 있었지만 이번처럼 대다수 인물이, 그것도 제작진까지 다 교체된 적은 처음이다.
"처음엔 많이 놀랐죠. 지금은 좀 복잡한 심정이에요. 샘 오취리나 타일러, 줄리안처럼 방송 잘하는 친구들 대신 제가 어떻게 남았는지 잘 모르겠어요. 제작진은 제가 다양한 콘텐츠를 가졌다고 보는 듯해요. 사람들이 많이 바뀌었으니까 예전과 똑같은 방송은 나올 수 없겠죠. 시청자도 처음 같은 방송을 기대하면 실망할 수밖에 없어요. 새로운 '비정상회담'이라고 생각해주셔야 해요.(웃음)"
알베르토는 '비정상회담'이 한국에 있는 동안 겪은 가장 재밌고 좋은 일이며, 돈으로 살 수 없고 평생 잊지 못할 경험이라고 자랑했다. 뿐만 아니라 '비정상회담'은 알베르토에게 또다른 가족을 선물했다. 새로운 인연도 좋지만 처음 맺었던 인연은 알베르토가 잊을 수도, 끊을 수도 없는 소중한 관계다. 알베르토는 '비정상회담'의 스핀오프 예능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를 통해 친구들의 고향과 가족을 만나며 더욱 가까워졌다.
"기본적으로 우정이 없으면 토론하기 쉽지 않아요. 공격적으로 말하면 오해할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멤버들과 친해지는 게 중요하죠. 특히 처음부터 함께했던 멤버들과 특별해요. 연락도 자주하고 방송이 아니라도 만나고. 정말 가족 같아요.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를 할 땐 잠을 거의 못 자서 힘들었는데 보람이 컸죠. 부모님도 만나고 같이 자고 여행하니까 평생가는 관계가 된 거죠. 저희끼리는 자선행사, 재능기부 같은 좋은 일도 많이 하려고 해요. 얼마 전 자선 바자회에 참가했는데 다니엘, 수잔, 블레어, 줄리안이 다 와서 도와줬어요."
원년멤버로 따지자면 의장단 MC 전현무, 유세윤, 성시경도 빼놓을 수 없다. 세 사람은 개성 강한 각 나라 비정상 대표들을 보이지 않게 조율하고, 자칫 엉뚱한 방향으로 빠질 수 있는 토론의 방향을 잡았으며, 예능 프로그램의 본분을 잊지 않도록 재미까지 더했다. 알베르토는 이들에 대해 "괜히 유명하고 성공한 게 아닌 것 같다"며 존경심을 보였다.
"(전)현무 형은 정말 전문 방송인이에요. 진행도 잘하고 웃기고 짓궂은 장난도 잘 받아들이죠. 뭐라고 해도 다 재밌게 살려줘요. (유)세윤 형은 말 그대로 개그맨이죠. 가끔 아무 말도 안 하고 진행도 안하다가 갑자기 개그하면 그게 정말 웃겨요. 노래도 잘하고 음악에 대한 관심도 많고 예술적인 재능도 많아요. (성)시경이 형은 제일 형 같은 느낌이에요. 빨리 친해지기가 쉽진 않지만 힘든 일이 있으면 가장 먼저 연락할 것 같은 사람이죠. 다 캐릭터가 다르지만 정말 좋은 형들이에요."
알베르토는 방송 초반 '알차장'이라는 별명으로 관심을 모았다. '비정상회담'이 일요일에 녹화해 일에 지장을 주진 않았지만 그만큼 알베르토의 시간이 줄어들었다. 이에 대해 알베르토는 "체력적으로 힘들었다"고 솔직히 털어놨다. 다만 그는 일을 줄일 생각이 없다. 현재 한 일간지에서 칼럼도 연재 중이다. 여전히 한국어 공부를 하고 있고, 패션에도 관심이 있다. 언제나 다양한 경험과 식견으로 풍부한 이야깃거리를 선사했던 알베르토다운 생활이다.
"많이는 하는데 잘 하는 게 없어요.(웃음) 고등학교 때는 꿈이 기자였어요. 책 보고 글 쓰는 걸 제일 좋아해서 하루에 한 권씩 봤어요. 지금은 그렇게 하긴 어렵지만 칼럼 덕분에 공부를 많이 하고 있죠. 전문적으로 한국어를 배운 게 아니라서 더 시간을 많이 들이고 공을 들이고 있죠. 음악에 대한 온라인 칼럼도 쓰고 있어요. 어릴 때 꿈이 조금씩 이뤄지고 있어서 어렵지만 재밌어요."
한국에서 이탈리아를 대표하게 되면서 어찌보면 부담도 클 터. 알베르토는 "부담감보다는 책임감이 더 크다"며 오히려 열정을 보였다. 그는 현지 친구들에게 꼼꼼하게 확인하고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는 열심히 공부한다. 그래서인지 유독 그의 말은 신뢰감이 높다. 알베르토는 "요즘 한국인들의 시각이 많이 바뀐 것 같아서 좋다"고 뿌듯해했다.
"옛날에는 대부분 사람들이 저에게 영어로 말을 걸었어요. 외국인이면 무조건 미국인이라고 생각하더라고요. 그때 당시에는 '하이(Hi)'라고 하는 것 자체가 기분 나쁘기도 했죠.(웃음) 그런데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나라의 사람들이 있다는 인식이 생긴 것 같아요. 또 한국말에 대한 자부심이 생긴 것 같아 정말 뿌듯하죠. 어떤 팬은 저한테 '영어 콤플렉스가 있었는데 한국말이 나쁘지 않은 것 같다, 좋은 언어인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어요. 문화는 언어를 통해서 전달되는 거예요."
알베르토가 한국에 온 일화는 유명하다. 중국 유학 당시 만난 여자친구를 따라 한국으로 왔고, 결혼했으며 이제 곧 아빠가 된다. 특히 알베르토는 토론 도중 여심을 사로잡는 발언으로 '로맨티스트 혹은 카사노바=이탈리아 남자'란 이미지를 굳어지게 만들었다. 이와 동시에 알베르토 본인은 가정적인 면모를 보여 '1등 신랑감'으로 꼽히기도 했다.
"아내가 보고 싶어 한국에 왔었죠. 그때 제일 친한 친구가 '사람을 쉽게 포기하면 안된다'고 조언해줬죠. 우리 부부도 가끔 '신기하다'고 말하긴 해요. 부모님께서는 멀리 떨어져 사는 걸 좋아하진 않았지만 어차피 남동생이 두 명 있으니까요. 또 옛날부터 이탈리아에 외국인이 많았고 국제결혼이 많아서 편견은 없어요. 부모님이 아내에게 했던 유일한 요청은 이탈리아어를 빨리 잘 했으면 좋겠다는 거였어요. 지금은 정말 잘해요.(웃음)"
한국에 정착한 지 벌써 9년차인 알베르토. 그는 "이탈리아와 한국은 많이 비슷하다"며 적응이 어렵진 않았다고 말했다. 현재 '유로2016'이 진행 중이어서 친구들과 술 한잔 기울이며 응원하는 즐거움이 그립긴 하지만 한국에서의 삶에 많이 익숙해졌다. 유럽에 가면 오히려 힘든 부분도 있다.
"한국과 이탈리아는 국민성도 그렇고 요리도 많이 비슷해요. 마늘도 많이 먹고 매운 음식도 좋아해요. 가족 중심 문화도 비슷하고 반말과 존댓말도 있죠. 최근에 이사해서 인터넷 설치를 하는데 그날 바로 다 되더라고요. 이탈리아에서는 몇 주일 걸려요. 그냥 기다려야 하죠. 한국 속도에 너무 익숙해져서 유럽에 가면 힘들어요. 배달도 안되고, 전자정부도 없어서 직접 가서 하염없이 기다려야 하죠.(웃음)"
앞으로도 알베르토는 '비정상회담'에서 꾸준히 활약할 예정이다. 그는 앞으로의 관전포인트에 말을 아끼면서도 "좀 더 깊이 있는 토론,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 방송인은 아니지만 의미 있는 프로그램에 기꺼이 출연하고, 짧은 역할이라면 영화도 찍어보고 싶다며 욕심을 드러냈다(알베르토는 영화 '용의자'에서 짧지만 기자로 등장한다). 물론 이 모든 활동은 자신을 사랑해주는 팬들이 있기에 가능한 것. 알베르토는 그들에 대한 고마움도 잊지 않았다.
"받은 편지는 다 읽어봤어요. 일일이 전부 답장할 수 없어서 아쉽죠. 꼭 답장하고 싶은 편지는 책상 위에 올려뒀어요. 한 명씩 다 보답하고 싶고, 감사한 마음을 표현하고 싶은데 아쉽네요. 그래도 정말 고마워하고 있다는, 이 마음만은 꼭 알아줬으면 좋겠어요."
[뉴스핌 Newspim] 황수정 기자(hsj1211@newspim.com)·이형석 기자(leeh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