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최주은 기자] 미래에는 주택 규모가 축소되고 주거비를 절감하는 실속형으로 주거 트렌드가 바뀔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주거소비 패턴은 전세에서 월세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전체적인 현상이 아닌 연령 및 소득에 따라 양극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산업연구원은 17일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 중회의실에서 열린 ‘미래 주거 트렌드’ 세미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제 1주제는 김지은 책임연구원이 ‘주거 트렌드 변화’, 제 2주제는 김미경 책임연구원이 ‘중장기 주거소비 선택 변화’에 대해 소개했다.
제1주제 발표에서 김지은 책임연구원은 “미래 주거트렌드는 에코세대가 중심계층이 되면서 주택규모를 축소하고 주거비를 절감하는 실속형으로 바뀐다”며 “주택 가치는 첨단기술과 친환경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 향상과 임대사업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용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변화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10년 동안 주거트렌드는 실속 추구를 위한 2-Downgrade(주택규모 축소, 주거비 절감)와 사용가치 증진을 위한 4-Upgrade(주택의 기능, 주거환경, 주택기술, 임대용 주택)가 될 전망이다.
즉 앞으로 10년 동안 주거트렌드는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 수요교체 ▲실속형 주택인기 ▲주거비 절감 주택 인기 ▲주택과 공간기능의 다양한 스타일링 ▲자연주의 ‘숲세권’ ▲ 첨단기술을 통한 주거가치 향상 ▲ 월세시대, 임대사업 보편화를 지향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거 소비는 월세 전환이 지속되지만 이는 연령 및 소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제 2주제 발표자로 나선 김미경 책임연구원은 ‘중장기 주거소비 선택 변화’에서 “전세가 월세로 전환되는 것과 같은 주거소비 패턴이 변화되고 있다”며 “하지만 이는 전체적인 현상이 아니라 생애주기(연령) 및 소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주거소비 변화를 고려했을 때 주거안정을 위한 정부의 정책방향은 가구의 생애주기와 소득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청년층을 위한 주거비부담 완화 프로그램 강화 ▲ 소득 증가에 따른 자가소비 계층을 위한 내 집 마련 지원 정책 지속 ▲안정적인 주거소비를 위한 민간임대주택공급 확대 ▲고령 가구를 위한 월세 부담이 없는 장기전세주택이나 월세 부담을 최소화하는 집주인 리모델링 주택 등의 꾸준한 확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최주은 기자 (jun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