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中기업 신흥 전통간 격차 심화, A주 2015년 예고실적 분석

기사입력 : 2015년12월03일 11:20

최종수정 : 2015년12월03일 13:03

[뉴스핌=이승환 기자] 중국 A주 1000여개 상장사가 2015년도 실적 예고를 발표한 가운데 IT, 바이오 등 신흥산업 업종과 제조업, 철강 등 전통업종 간 실적 격차가 점점 더 크게 벌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 산업계 전반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중국 제일재경에 따르면 지난 2일까지 A주 전체 상장사의 약 40%에 해당하는 1061개 기업이 2015년 실적 예고를 발표했다. 이중 643개 기업의 실적이 전년대비 호전됐고, 374개 기업의 실적이 악화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나머지 44개 기업은 실적 미확정으로 발표했다.

미디어, 바이오, IT 전자 등 소위 신흥산업으로 분류되는 기업들의 실적이 전반적으로 호조세를 나타낸 반면 철강, 석탄 등 전통산업 관련 기업들의 부진이 지속됐다.

 

중국 오성홍기 <사진=바이두(百度)>

지난 3분기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한 미디어 업계의 선전이 도드라졌다. 지난 2일 기준 4분기 실적을 예고를 23개 미디어 기업 중 19개 기업의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증가세를 기록했다. 이중 30%에 해당하는 6개 기업의 2015년 연간 매출이 60% 넘게 증가했다.

특히 차량 부품 제조업체에서 종합 엔터테인먼트로 기업으로 구조를 전환한 순영삼칠(順榮三七,002555.SZ)의 2015년 연간 순수익이 전년대비 1182.5~1213.6% 증가한 것으로 잠정집계 됐다. 같은 기간 인수합병을 통해 규모확장에 나선 뉴미디어플랫폼 업체 동방명주(東方明珠,600637.SH) 와 모바일 애니매이션 기업 토크웹(拓维信息,002261.SZ)의 순익도 200% 넘게 증가했다.

바이오 업종에서는 45개 상장사의 실적이 호조를 나타냈다. 2일 기준 실적을 예고한 바이오 관련 기업 61개의 70%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 중 14개 기업의 매출 증가폭이 60%에 육박했고, 매출이 100% 넘게 증가한 기업도 6곳으로 집계됐다.

손실 자회사를 매각하는 등 구조조정을 진행한 바이오기업 해왕생물(海王生物,000078.SZ)의 지난 1~4분기 순수익은 3억8000만~4억5000만위안으로 전년대비 1497~1791% 늘었다. 이기간 의약업체 해상약업 (海上藥業,002099.SZ)의 순수익도 최대 927.67% 증가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지난 3분기 평균 15.47%의 순익 증가세를 기록한 IT업종에서는 실적을 예고한 51개 상장사 중 36곳이 실적 성장을 기록했다. 이중 중국 인터넷 검색 서비스 2345와 소프트웨어 업체 천대지승(川大智勝, 002253.SZ)의 연간 매출이 200% 넘게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인터넷 플러스 등 당국의 신흥산업 육성정책과 소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는 경제구조 전환의 영향으로 IT, 바이오 등 신흥산업 분야 기업들의 실적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기존 제조업, 건설 등 전통산업에서 신흥산업으로 구조전환을 실시한 기업들의 성과가 가시화되면서 관련 업종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실제로 지금까지 2015년 연간 매출이 10배 이상 증가한 10개 상장사 중 7곳이 지난 몇 년간 IT, 바이오 관련 업체를 인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 관련 업체를 인수하며 전년대비 순익이 1000% 이상 증가한 순영삼칠 외에도, 바이오 기업을 인수한 관복가용(冠福家用, 002102.SZ)과 IT업체를 합병한 거룡관업(巨龍管業,002619.SZ)의 2015년 연간 매출도 최대 3326%, 2390% 씩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 선전 투자업계의 한 관계자는“현재 전통산업과 신흥산업의 경계가 점점 모호해지고 있다”며 “전통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점점 신흥산업으로 외연을 확장하거나 기업구조를 전환하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제일재경은 중국 사모펀드 업계 전문가를 인용해 “중국 경제의 성장구조 전환 과정에서 전자, IT, 바이오 업종이 고속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며 “펀더멘탈이 탄탄하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으로 자본시장의 자금이 쏠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철강, 석탄 등 전통 강세 업종 기업들의 실적이 큰 폭으로 악화되며 신흥산업과 전통산업 간 성장 양극화 현상이 점점 더 뚜렷해지는 추세다. 

중국 제일재경은 업계 전문가를 인용 “생산과잉과 경기부진으로 인한 수요침체, 원자재 가격 하락 등 문제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등 전통산업 관련 기업들의 실적 부진은 이미 예견된 일”이라고 설명했다.

신문에 따르면 지난 2일까지 4분기 실적예고를 발표한 25개 광업 관련 기업 중 20곳의 실적이 전년대비 악화됐다. 이중 올 들어 처음 순손실을 기록한 상장사가 5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석유기업 인지유복(仁智油服,002629.SZ)의 경우 생산량 감소 등의 원인으로 1억2000만위안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이 기업의 연간 기준 첫 순손실로 전년동기대비 순익이 20배 넘게 감소했다. 또 다른 석유기업인 준유고빈(準油股份,002207.SZ) 역시 유가폭락의 타격으로 순익이 최대 908.24% 감소했다.

철강업종에서는 실적을 예고한 17개 상장사 중 15곳의 실적이 악화됐다. 이중 올들어 처음 순손실을 기록한 기업이 10곳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 3분기 A주 철강섹터에서 순손실을 기록한 상장사 비중이 40%에 육박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 투자업계의 전문가는 “실적 성장세가 뚜렷하게 정체된 기업들이 대부분 제조업, 건설, 원자재등 전통산업에 몰려있다”며 “글로벌 원자재가격 하락과 수요 침체가 영향을 미친 가운데 이들 기업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중국 연신증권의 연구보고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기준 기계설비, 금속, 군수, 부동산, 철강 등 전통산업 관련 기업들 중 순손실을 기록한 비중이 50%에 달했다.




[뉴스핌 Newspim] 이승환 기자 (lsh89@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윗집 발망치 소리, 내년부터 끝" [세종=뉴스핌]김정태 건설부동산 전문기자= 지난 21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주택성능연구개발센터(HERI). 세종시에 위치한 이곳에는 주택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여러 시험동이 있지만, 5층짜리 실제 아파트 건물 한 동이 눈에 들어왔다. 출입구 한켠에는 'db35lab(데시벨 35 랩)'이란 영문과 숫자 표기가 부착돼 있었다. 아파트 1층 내부에 들어가야 이 표기의 의미를 알게 됐다. 이는 LH가 층간소음 1등급 기준인 37데시벨보다 낮은, 도서관처럼 조용한 집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은 층간소음기술연구소의 시험동 이름이다. 층간소음 등급별 시연 모습 [사진=국토부기자단 공동] 거실에 설치된 대형 모니터 화면에는 2층의 층간소음을 일으킬 수 있는 런닝머신, 책상과 의자, 공 등의 도구들이 보였다. 우선 화면을 통해 윗층에서 아래층에 전달되는 성인의 발걸음 소리를 들려줬다. 말 그대로 '발망치' 소리였다. 들려오는 소음은 49데시벨로 4등급 수준이다. 층간소음의 기준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2005년 전에 지어진 공동주택의 경우 일부에서 이러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중량충격음이다. 이번에는 실제로 윗층에서 걷는 소리를 듣는 순서였는데, 귀를 쫑긋 세우지 않고서는 소음을 느끼기 어려웠다. 미세한 진동음이 들리긴 했지만, 불편한 수준은 아니었다. 이어 1m 높이에서 3kg 무게의 공을 떨어뜨리는 실험도 시연됐다. 이는 아이들이 뛰어다니는 중량충격음으로, 역시 4등급 수준에서는 참기 어려운 소음과 진동이 느껴지지만, 이곳의 실제 시연에서는 역시 진동음이 확 줄었다. 의자 끄는 소리는 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음이어서 경량충격음이라고 하는데 4등급 수준에서는 참기 어려울 정도로 불편했지만, 실제 시연에서는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로 충격음이 전달되지 않았다. 이처럼 층간소음이 획기적으로 줄어든 데는 1등급 기준인 37데시벨에 맞춘 성능으로 시공된 바닥 때문이었다. 기존 슬래브 두께보다 두꺼운 250mm로 시공하고, 그 위에 40mm 복합완충재와 30mm 고밀도몰탈 및 와이어 메쉬 등을 함께 깔아 놓은 바닥재다.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기술은 2023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했으나, 슬래브 두께는 210mm로 상대적으로 얇고 낮은 등급의 완충재와 일반 몰탈을 적용해 3등급 수준에 머물렀으나, 이를 매년 개선해 온 결과 올해 1등급 기준을 충족하게 됐다. LH는 이러한 기술 개발을 실험동 연구에 그치지 않고, LH 공동주택 각 현장에 실증 시공을 하면서 실증 결과 데이터를 쌓아왔다. LH가 층간소음 저감기술을 처음으로 적용한 단지는 양주회천 A15블록으로, 당시 3등급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평택고덕 ab57-2블록에 2등급 수준으로 끌어 올려 적용했다. LH 연구원 관계자는 "이 같은 1등급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2022년부터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과 공법을 연구해 왔다"면서 "47개의 기술 모델 개발과 총 1347회에 걸친 실증을 거쳐 자체 1등급 기술 모델을 정립해 내년부터 주택 설계에 본격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같은 1등급 기준 설계로 분양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기존 공동주택 24평형(전용면적 59㎡) 기준으로 가구당 300만~400만 원의 공사비가 더 소요되는 것으로 LH는 추정하고 있다. 정운섭 LH 스마트건설본부장은 "층간소음 1등급 설계 적용 때문에 수분양자의 분양가 상승 부담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자체 원가절감과 함께 정부 재정 지원을 요청한 상태"라면서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공사비 상승의 주요인인 슬래브 두께를 슬림화하면서도 1등급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층간소음감지기를 통해 경고 알람이 뜨는 월패드 시연 장면 [사진=국토교통부기자단 공동] 층간소음 1등급 설계는 새로 짓는 공동주택에서만 가능하다. 때문에 구축에서는 이러한 혜택을 누리기 어렵다. LH는 이를 보완하는 방안으로 층간소음 감지기를 IT업체와 협력해 개발 중이다. 바닥에 여러 차례 충격을 줄 경우, 층간소음 감지기의 센서가 작동해 해당 세대 월패드를 통해 주의를 당부하는 알람이 뜨도록 하는 장치다. 정승호 LH 스마트주택기술처 팀장은 "구조적으로 층간소음을 줄일 수는 없겠지만, 층간소음을 일으키는 기준을 해당 세대에게 알림으로써 아래층 이웃과의 분쟁을 줄일 수 있도록 고안한 장치"라고 말했다. 실제 이날 시연은 기존 공동주택에 적은 비용으로도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팸투어에 참여한 국토교통부 기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 [사진=뉴스핌DB] LH는 바닥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국한하지 않고, 옆 세대와의 벽간소음, 화장실 배관 소음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생활소음 저감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벽간소음을 저감하는 소음 차단 성능 1등급 벽체 구조는 2019년 11월부터 이미 설계에 반영한 바 있다. 내년부터는 화장실 배관이 아래층을 통하지 않고 각 세대 내에서 설치되는 자체 배관을 적용해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도 줄여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내구성이 좋은 장수명 주택, 수요자의 취향에 맞게 가변형 평면 구성이 가능한 라멘 구조 주택, 레고처럼 조립·건설하는 모듈러 주택 등 주택 건설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는 주택 유형에도 층간소음 1등급 접목 방안을 모색해 적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LH는 층간소음 저감 기술 저변을 민간으로 확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선, 민간의 고성능 신기술을 발굴하고, 다양한 1등급 기술 요소의 시장화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올해에는 층간소음 기술 마켓을 통해 6개의 고성능 기술을 발굴했으며 LH 공공주택 현장에서 그 성능을 검증해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LH는 층간소음 1등급 적용 확산을 위해 db35lab을 내년 3월부터 전면 개방하기로 했다. 자체 층간소음 시험 시설이 없는 중소기업에 데시벨 35랩을 테스트베드로 제공해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LH는 또 그간 개발해 온 층간소음 저감 기술 요소와 시공법, 실증 결과를 중소 민간 건설사들과 공유할 계획이다. 더불어 자체 기술 개발과 층간소음 저감 시공·품질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건설사들에 대한 기술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이한준 LH 사장은 "2년 전 취임 당시 제일 먼저 강조한 게 층간소음 문제 해결을 약속한 것이었다"면서 "내년부터는 LH가 짓는 모든 아파트에 1등급 기준을 적용해 국민 일상의 생활 고통을 덜어주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궁극적으로는 벽식 구조의 공동주택에서 벗어나 라멘(기둥식) 구조와 모듈러에도 층간소음 1등급 기준을 적용해 100년 이상 가는 장수명 주택의 근간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dbman7@newspim.com 2024-11-24 11:00
사진
기후동행카드, 고양·과천도 30일부터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가 오는 11월 30일 첫 차부터 고양시와 과천시까지 서비스를 확장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로써 서울~고양~과천을 오가는 시민들도 월 5만~6만원대로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지난 1월 27일 서울 지역을 대상으로 출발한 기후동행카드는 3월 30일 김포골드라인, 8월 10일 진접선·별내선까지 확대됐다. 서울 공동생활권인 인구 100만의 대규모 도시 고양시와 지리적으로 서울시와 경기남부의 길목에 위치한 과천시까지 연결됨에 따라 수도권으로 본격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서울 외 지역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도시철도 구간 [이미지=서울시] 서울시와 고양시, 과천시는 지난해 2~3월 기후동행카드 참여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후속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고 11월 30일 고양시(3호선·경의중앙선·서해선), 과천시(4호선)의 기후동행카드 참여를 확정지었다. 관계기관들과 함께 시스템 개발·최종 점검을 완료했다. 이번 확대로 3호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역에서 서울시 송파구 오금역까지 모든 역사(44개)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경의중앙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역에서 구리시 구리역까지 34개 역사, 서해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역에서 서울시 강서구 김포공항역까지 7개 역사, 4호선은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역사까지 34개 역사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현재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범위에 이미 고양시를 경유하는 서울 시내버스 28개 노선과 과천시를 경유하는 6개 노선이 포함돼 있음을 고려하면 서울과 고양·과천을 통근·통학하는 약 17만 시민의 이동 편의가 더욱 증진될 것으로 보인다.  또 이용범위가 대폭 확대되면서 과천·고양 등 시민들도 기후동행카드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동일하게 누릴 수 있다. 과천시 4호선 확대로 대공원역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만큼 방문 시 서울대공원 50% 할인 등 혜택을 참고하면 된다.  기후동행카드는 올해 1월 23일 서비스 시작 이후 70일 만에 100만 장이 팔리는 등 시범사업 단계부터 큰 호응이 확인된 바 있다. 7월부터 본사업에 들어가면서 청년할인권·관광객을 위한 단기권 등 다양한 혜택이 더해졌다. 평일 최대 이용자가 65만명이 넘어가는 등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 서울시는 고양·과천 지하철 적용을 시작으로 수도권 시민들에게도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협의·시스템 개발 검토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확장을 위한 타 경기도 지자체와의 논의 역시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고 시는 덧붙였다.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려면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전화에서 '모바일티머니' 앱을 무료로 다운받아 충전하면 된다. 실물카드는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 지하철 인근 편의점 등에서 구매한 후 서울교통공사 1~8호선, 9호선, 신림선·우이신설선 역사 내 충전기에서 권종을 선택·충전 후 사용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의 고양시, 과천시 확대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고양시(031-909-9000), 과천시(02-3677-2285),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윤종장 서울시 교통실장은 "김포·남양주·구리에 이어 고양·과천 확대로 경기도 동서남북 주요 시군까지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대중교통 혁신이 이어지고 있다"며 "교통비 절감·생활 편의·친환경 동참 등 일상 혁명을 수도권 시민들까지 누릴 수 있도록 수도권 지역 서비스 확대·편의 향상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 2024-11-21 11:1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