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캠퍼스톡 業&UP’ 마케팅/영업 편 출연해 대학생들에 강의
[뉴스핌=황세준 기자] 정원화 제일기획 상무(사진)가 광고회사를 '브랜드 종합병원'으로 정의했다.
정 상무는 10일 건국대 새천년관에서 열린 ‘삼성캠퍼스톡 業&UP’ 마케팅/영업 편에 출연헤 "광고회사는 브랜드가 가진 문제의 원인을 찾아내 솔루션을 만드는 곳, 즉 브랜드를 위한 종합병원”이라고 말했다.
올해 초 제일기획 임원으로 승진한 정원화 상무는 20여 년간 광고계에서 애니콜 ‘Talk Play Love’, 삼성카드 ‘실용’캠페인, 아모레퍼시픽 ‘헤라’, 에스오일 등 다양한 브랜드의 광고를 담당해 온 광고기획 전문가다.
먼저 정 상무는 “브랜드와 기업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광고의 역할”이라며 “광고업에 종사하려면 의사 못지않은 강한 책임 의식을 바탕으로 24시간 브랜드에 대해 고민하고 소비자를 연구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광고인의 삶은 아이디어를 위한 끝없는 여정”이라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견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인사이트”라고 강조했다.
정 상무는 또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 새롭게 학습하는 지식과 달리 인사이트는 우리가 아는지 모르는지조차 모르는 것들”이라며 “인사이트를 찾기 위해서는 일상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새로운 것에 직접 부딪쳐 경험해보는 탐험가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예로 아모레퍼시픽의 브랜드 ‘헤라’와 진행한 ‘서울리스타(Seoulista)’ 캠페인을 소개했다. 그는 “‘서울리스타’는 뉴요커, 파리지엔느와 같이 글로벌 트렌드를 이끄는 ‘서울 여성’을 뜻하는 신조어로, 화려함과 평온함, 강인함과 섬세함 같은 대립되는 양가적 가치가 공존하는 서울 여성들에게서 인사이트를 얻었다”고 전했다.
아울라 정 상무는 수많은 브랜드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때로는 어려운 순간이었다며 “누구에게나 건너야 할 사막이 있고 사막을 건너는 방법은 참으로 다양하다. 남에게 이끌려가기보다 자신만의 방법으로 그 사막을 건너길 바란다”고 현장을 찾은 대학생들을 응원했다.
이날 정 상무 외에도 김윤만 삼성물산 과장, 조영찬 삼성전자 대리 등 마케팅/영업 직무에서 일하고 있는 삼성인들이 무대에 올랐다.
10년 차 경력 MD인 김 과장은 일모, 빈폴 골프 등 삼성물산 패션 브랜드들의 새로운 상품을 계획하는 것부터 제품 생산, 매장 전시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관리한 경험이 있다.
그는 “흔히 패션회사라고 하면 디자이너부터 떠올리지만 디자이너가 악기 연주자라면 MD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라며, 악기들이 좋은 화음을 낼 수 있도록 지휘하는 것이 MD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휴대폰 상품기획팀에서 일하는 조영찬 대리는 지난 7월 출시된 폴더형 스마트폰 ‘갤럭시 폴더’의 개발 과정을 소개했다.
조 대리는 "스마트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진 50대 이상의 시니어들이 스마트폰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갈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하는 제품을 기획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편, 삼성 캠퍼스톡은 삼성인 선배들이 전국의 캠퍼스를 돌며 현장 업무 경험과 노하우를 전하는 캠페인이다. 오는 16일에는 연세대 대강당에서 연구개발 편으로 진행한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