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난쟁이들’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동화 ‘신데렐라’ ‘백설공주’ ‘인어공주’의 이야기를 요즘 세태에 비추어 새로운 이야기로 재창조한 것. 난쟁이 찰리(정동화·조형균)와 빅(진선규·최호중)이 공주들을 만나기 위해 모험을 떠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았다.
배우 진선규는 극 중 백설공주를 향한 일편단심 순애보를 간직한 늙은 난쟁이 빅으로 무대에 오르고 있다. 난쟁이 역할은 무릎을 바닥에 댄 채 난쟁이의 걸음걸이를 연기해야 하는 만큼 만만찮은 무릎 통증이 따를 것이라 생각되지만, 진선규의 증언(?)은 달랐다.
“무릎에 대는 난쟁이 신발에 쿠션이 있어서 무릎은 많이 안 아파요. 되려 허리가 아파요. 할아버지 역할이라 계속 허리를 굽히고 있어서 그런가? 또, 키가 커진 모습으로 변신하는 부분에서 (앉았다 일어서니)쌓여있던 열이 빠져나가면서 좀 힘들더라고요. 무릎으로 걸어 다닐 때는 이래저래 힘들기도 하지만, 공연 자체는 재미있어요.”(웃음)
“제 대표작은 대부분 연극인데, 뮤지컬 중에서는 단연 ‘난쟁이들’이 아닐까요? 지금도 잘 되고 있지만, 더 잘 됐으면 좋겠어요(웃음). 초연이기도 하고, 무척 색다르고 재미있는 작품이거든요. 중소극장의 경우엔 리얼리티한 공연이 트렌디하게 나오고 있는 상황인데, 이런 공연이 나와서 좋아요.”
‘난쟁이들’은 의심의 여지 없이 누구나 재미있게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웃음을 주는 요소 중 하나는 디즈니의 간판 얼굴인 ‘백설공주’ ‘신데렐라’ ‘인어공주’ 세 인물의 강렬한 대비. 세 공주가 말하는 ‘사랑’의 여러 형태는 작품의 주요 테마이기도 하다. 극 중 백설공주(최유하)는 남자의 정력을, 신데렐라(전역산)는 재력을, 그리고 인어공주(백은혜)는 순수한 사랑을 갈구하는 인물. 동화 속 공주들의 처절한 망가짐은 묘하게 현실적이고, 그래서 비로소 공감과 웃음을 준다.
“세 공주의 욕망은 누구나가 갖고 있는 것 같아요. 인어공주처럼 순수하게 지고지순한 마음을 갖고 있으면서도, 누군가와 만나다 보면 상대방의 재력을 보게 되고. 또, 누구나 성욕은 있으니까 상대방과 그런 부분이 잘 맞을까도 생각하게 되고요(웃음). 누구든 사랑을 시작하면 그 세 가지 마음을 전부 갖게 되는 거죠.”
극 중 빅은 백설공주와 어른의(?) 사랑을 보여주며 아슬아슬한 수위를 넘나든다. ‘빅’이란 이름의 의미심장한 뉘앙스(?) 역시 웃음보를 자극하는 요소다. 진선규는 ‘빅’의 이름과 관련해 “주위에서 다들 ‘이름 잘 지었네~’라 말한다”며 웃음을 터뜨렸다. 그는 ‘빅’이란 이름이 남자의 상징(??)과 마음의 크기 모두를 의미하는 이중적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해석했다.
현재 충무아트홀 중극장 블랙에서 공연 중인 ‘난쟁이들’은 창작 초연임에도 탄탄한 마니아를 형성하며 성황리에 여정을 이어가고 있다.
“이렇게 잘 될 거라곤 생각 못했죠. 그 보단, 재미있을 거란 생각은 했어요. 연습할 때를 생각해보면, 코미디니까 한두 번 하면 재미있거든요? 근데 계속 하다 보면 어느 순간 덤덤해지는 거예요(웃음). 연습 할 수록 점점 안 웃는 우리(배우들)를 보면서, 관객들은 과연 무대를 어떻게 볼지 걱정도 들었어요. 그런 기대감과 불안감이 같이 있었는데, 이렇게 좋게 평가를 해주셔서 다행인 것 같아요.“
“배우가 욕심을 굽힐 때도 있고 표현할 때도 있을 텐데, 저의 경우엔 표현했을 때 얻은 게 있었던 것 같아요. 작은 역할이라도 드라마에 큰 요소가 될 수 있는 역할이 끌리고요. 지금까지 기억에 남는 역할이요? ‘여신님이 보고계셔’란 작품의 창섭이나 ‘선녀씨 이야기’의 종우 등. 사람이란 게 원래 환경에 따라 변하고, 마음 속 무언가 때문에 악해지기도 하고 울기도 하잖아요. 창섭은 속은 약하지만 겉으로는 강할 수밖에 없는 인물이에요. 저는 어머니께 늘 착하게 살아야 한다는 가르침을 받고 자라서 이런 태도가 몸에 베어있는데, 저 역시 악한 모습이 있을 거고 그런 내면은 창섭의 겉모습과 같을 것 같아요. ‘선녀씨’에선 겉은 양아치이지만 속으로는 아픔을 간직한 인물이란 점이 와 닿았고요. 제 마음 속 어떤 부분을 끌어내는 역할 혹은, 제게 감동을 주는 역할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무대에서 진선규가 보여준 모습은 ‘믿고 보는 배우’란 수식이 아깝지 않게 만든다. 그런 그가 생각하는 ‘좋은 작품’이란 무엇일까. 진선규는 오랜 생각 끝에 입을 열었다.
“등장인물들이 한 주제를 위해 달려가는 느낌의 작품은 좋아하지 않아요. 무대 위 인물들이 그냥 저마다의 삶을 살아갈 때, 거기서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감동이 있다면 그게 주제이지 않을까 생각해요. 왜, 사람들이 말을 하면서 본인의 마음을 다 내보이지는 않잖아요? 표면적으로 보여지는 일상의 모습에서 그런 속마음이 빤히 드러날 때 오는 감동이 있거든요. 극적인 기승전결이 없더라도 소소하게 이야기하는 작품들. 저 개인적으로는 셰익스피어보단 체홉이 좋고, 체홉보단 (민)준호가 쓴 글들이 좋아요. ”
배우 진선규, ‘장미빛 연인들’ 후속 MBC 새 주말드라마 ‘여자를 울려’ 출연 예고 |
[뉴스핌 Newspim] 글 장윤원 기자(yunwon@newspim.com)·사진 김학선 기자(yooks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