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롯데·경남기업 등 MB 때 잘 나간 기업 줄줄이 수사
[뉴스핌=송주오 기자] 재계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 부정부패 척결을 내세운 검찰이 대기업 전반으로 수사를 확대하면서 수사선상에 오른 대기업 뿐만 아니라 나머지 기업들도 사태파장을 예의 주시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한 대응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19일 법조계 및 재계에 따르면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문제로 시작된 검찰의 대기업 수사는 경남기업, 롯데, 신세계 등 대기업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지난 13일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조상준)는 포스코건설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이어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 등 전·현직 임원들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를 내렸다. 검찰은 포스코건설이 조성한 비자금을 정 전 회장 등이 유용했을 것으로 보고 수사하고 있다. 압수수색 이후에는 전·현직 임원들을 소환해 조사 중이다.
이 과정에서 추가로 포스코가 2007년 경북 포항에 파이넥스 공장을 지으면서 500억원대의 비자금 조성 의혹이 불거졌다.
포스코건설발(發) 검찰 수사는 동부그룹으로 이어졌다. 검찰은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이 자녀들에게 거액의 돈을 건넨 단서를 포착, 수사에 나섰다. 사실 검찰은 지난해부터 김 회장 일가에 대한 비자금 조성 정황을 포착해 자금 흐름을 추적해왔다.
지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김 회장 관련 계좌에서 자녀들 것으로 의심되는 계좌로 수십억원이 송금된 정황을 포착하고 사실 관계 파악에 나선 상황이다.
검찰이 포스코건설 해외법인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시작으로 일주일 도 안돼 7개 기업을 수사 선상에 올렸다. <그래픽=송유미 미술기자> |
이들 기업은 하나같이 "비자금이 아니다"며 "이미 충분히 소명한 사안"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정부와 검찰이 비리 척결을 기치로 내세운 터라 적극적인 해명보다는 당국의 눈치를 보고 있는 형국이다.
검찰의 수사에서 눈여겨 볼 점은 수사 근거 자료와 해당 기업이다. 검찰은 금융정보분석원(FIU)의 자료와 의견을 근거로 수사에 착수하고 있다. 기업들을 확실히 옭아맬 수 있는 자금 흐름을 단서로 수사에 나서다 보니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또 수사 대상에 오른 기업들이 'MB정권' 당시 소위 '잘 나가던' 기업들이라는 것이다.
롯데그룹은 오랜 숙원사업이던 제2롯데월드를 MB정권 때 허가 받았다. 또 맥주사업에 진출하고 롯데면세점의 AK글로벌 인수 등도 MB정권 하에서 이뤄졌다. 이에 따라 계열사 수가 2007년 말 46개에서 2011년 말 79개로 크게 증가했다.
포스코는 MB정권이 들어서면서 이구택 회장에서 정준양 회장으로 교체됐다. 이후 MB측근과 연루된 업체들을 인수합병(M&A)하면서 몸집을 키웠다. M&A 과정에서 당시 부실 기업을 인수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검찰이 주목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최근 압수수색을 당한 경남기업도 MB정부 시절 자원외교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면서 많은 특혜를 받았다.
검찰의 칼날이 'MB정권'과 특별한 인연을 갖고 있는 기업으로 좁혀지면서 한국타이어 등에 대한 수사 가능성도 솔솔 제기되고 있다. 조현범 한국타이어 사장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삼녀 이수연씨의 남편으로 이 전 대통령의 사위다.
조현범 사장은 자원외교와 관련해 주가조작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홍익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측에 따르면 조 사장이 지난 2007년부터 해외 자원 개발 사업에 나선 엔디코프와 코디너스, 동일철강 등에 50억여원을 투자한 뒤 해당 주식의 주가가 최고 1747%까지 뛰었다.
홍 의원은 "조 사장 일가의 자원 개발 종목에 대한 주식 투자를 금융감독원에 조사를 의뢰하거나 검찰에 수사를 의뢰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재계 관계자는 "전방위적인 검찰의 조사로 기업들의 심리가 최악으로 위축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검찰의 사정 한파가 몰아치면 해당 기업이 아니어도 몸을 사리게 되는게 이치다"고 조심스레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송주오 기자 (juoh8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