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

속보

더보기

[뮤지컬 리뷰] 아시아 초연, 그 화려한 개막…'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기사입력 : 2015년01월19일 11:52

최종수정 : 2015년01월19일 11:52

[뉴스핌=장윤원 기자] 뮤지컬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가 고유의 아름다움으로 무대에 올랐다. 다른 뮤지컬에서는 맛 볼 수 없는 ‘바람사’만의 독특한 이미지가 인상적이다. 
 
아시아 초연으로 예술의 전당서 막 오른 뮤지컬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국내 대표 뮤지컬 배우로 자리매김한 S.E.S. 출신 바다와 걸그룹 소녀시대 서현이 스칼렛 오하라 역에 발탁돼 화제에 오른 바 있다.
 
마가렛 미첼의 원작 소설(1936년)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프랑스 뮤지컬로,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39년)를 기초로 제작됐다. 뮤지컬은 프랑스 최대 규모(4000석)의 실내 공연장 팔래 드 스포르 파리(Palais des Sports de Paris)에서 2004년 초연 오픈한 이후 9개월 동안 약 90만 명 관람 기록을 세우며 대흥행을 거뒀다. 
뮤지컬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공연 사진 [사진=쇼미디어그룹]
대략적인 전개는 미국 남북전쟁 전후의 남부를 무대로 스칼렛 오하라라는 여성이 겪은 인생의 발자취를 따라 벌어지는 이야기를 따라 간다. 스칼렛의 인생 역정을 통해 생존과 성장에 대한 메시지를 던진다. 표면적으로는 스칼렛과 레트, 애슐리와 멜라니 네 남녀의 사랑 이야기가 그려지지만, 시대적 배경에서 말미암은 인권과 박애, 자유 정신의 이야기가 녹아 있는 작품이다.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스크린관 속 이야기를 무대라는 한정적인 공간으로 옮긴 것뿐 아니라 4시간 이상의 런닝타임을 2시간30분으로 대폭 줄였다. 그럼에도 뮤지컬은 원작의 굵직한 틀을 잃지 않는다. 동시에, 서정성과 화려함을 아우르는 아름다운 그림을 완성시킴으로써 이 뮤지컬만의 고유한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쾌거를 이뤘다. 
 
이는 대사나 연기보다 노래 및 무대 이미지 구현에 집중했기에 비로소 가능했다. 대사를 통한 서사적 설명은 절대적으로 부족하지만, 각 장면의 상징성과 노래 가사를 통한 감정 전달은 그 어떤 수식을 모자라게 만든다. 원작 속 거대한 시간 흐름과 공간감이 상징적·압축적으로 표현됐다. 
마가렛 미첼의 원작 소설은 1936년 출간 후 그 해 6개월간 600만부 이상 판매되며 이듬해 퓰리쳐상을 수상했다. 1997년까지 7개국에 번역돼 3000만부 이상 판매됐다. 지금까지도 전설적인 판매부수를 기록한 작품으로 꼽힌다.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도 소설 못지 않은 흥행기록을 남겼다. 1939년 개봉 후 4년간 미국에서만 당시 미국인구의 절반인 6000만 명이 관람했고, 지난 50여 년 간 전세계 관객 12억 명이 관람했다. 1940년 제12회 아카데미시상식에서는 작품상, 여우주연상, 여우조연상, 감독상, 각색상, 촬영상, 실내장치, 편집상, 특별상 등 11개 부문을 휩쓸었으며, 1965년에 ‘사운드 오브 뮤직’이 나오기까지 25년간 세계 영화 흥행수익 1위의 자리를 지킨 영화로도 유명하다. 
 
뮤지컬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뮤지컬 ‘로미오 앤 줄리엣’, ‘모차르트 오페라 락’, ‘태양왕’, ‘십계’, ‘1789’의 프로듀서 도브 아티(Dove Attia)와 알베르 코헨(Albert Cohen)이 함께 했다. 작사·작곡에 뮤지컬 ‘로미오 앤 줄리엣’을 작곡한 제라르 프레스귀르빅(Grrard Presqurvic)이, 뮤지컬 ‘로미오 앤 줄리엣’, ‘태양왕’, ‘클레오파트라’의 안무 및 연출을 맡았던 카멜 우알리(Kamel Ouali)가 다시 한번 손 잡았다.  
프랑스 오리지널 뮤지컬과 비교해 한국 프러덕션은 부족함 없는 완성도를 보인다. 스칼렛이 부르는 1막의 ‘그런 여자 아냐(Nous ne sommes pas)’와 2막 레트의 ‘널 싣고간 바람(Que veulent les femmes)’은 오리지널보다 독창적·현대적인 해석이 돋보인다. 스칼렛과 멜라니가 함께 부르는 ‘당신들의 뭘 알아(Que savez-vous de l'amour)’의 경우, 한층 서정적이고 애절하게 표현됐다. 다만 작품 전체의 통일감을 떨어트리는 색채가 드문드문 엿보여 아쉽다. 벨과 앙상블이 부르는 ‘술집여자(Putain)’는 과하게 화려하다. 
 
소녀시대 서현은 도도하고 오만한 스칼렛으로 변신, 놀라운 싱크로율로 기대치 않았던 선물을 준다. 연기력과 가창력, 양 면에서 전작인 ‘해를 품은 달’ 때와는 확 달라진 모습이다. 배우 주진모는 이번이 첫 뮤지컬 도전인 만큼 무대를 압도하는 카리스마가 희미해 보인다. 그에게 가장 부족한 것은 연기도 노래도 아닌 자신감이 아닐지 짚어 본다.
 
스칼렛 오하라 역에 바다와 서현이, 레트 버틀러 역에 임태경 김법래 주진모, 애슐리 역에는 마이클 리와 정상윤, 멜라니 역에는 김보경과 유리아, 마마 역에는 정영주와 박준면, 노예장 역에 한동근이 나선다.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2월15일까지.
 
[뉴스핌 Newspim] 글 장윤원 기자 (yunwon@newspim.com)·사진 김학선 기자 (yooks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부지법 난동' 4명 오늘 선고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지난 1월 서울서부지법 난동 사태 당시 언론사 취재진을 폭행하거나, 법원에 난입하는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들에 대한 법원의 선고가 16일 내려진다. 서울서부지법 형사합의11부(재판장 김우현)는 이날 오전 10시 우 모 씨 등 4명의 선고기일을 연다. 지난 1월 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우 씨는 지난 1월18일 서부지법에서 취재 중이던 MBC 취재진에게 가방을 휘둘러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힌 혐의를 받는다. 남 모 씨와 이 모 씨는 시위대를 법원 밖으로 이동시키려던 경찰을 폭행한 혐의(공무집행방해 등)를 받는다. 안 모 씨는 서부지법 경내에 들어간 혐의(건조물침입)다. 지난 30일 결심공판에서 검찰은 우 씨, 남 씨, 이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안 씨에게 징역 1년을 구형했다. 피고인들은 모두 죄를 반성하며 선처를 호소했다. 앞서 '서부지법 난동' 첫 판결이 나온 지난 14일, 서부지법 형사6단독 김진성 판사는 특수건조물침입 등 혐의를 받는 김 모 씨와 소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과 징역 1년을 각각 선고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6 07:26
사진
사직 전공의 복귀 수요조사 마무리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대한수련병원협의회가 정부에 전공의 복귀를 위한 '5월 추가 모집'을 공식 건의할 예정이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 수련병원 단체인 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복귀 희망 여부를 조사한 설문 결과를 마무리했다.  복지부는 지난 7일 이달 중 복귀를 원하는 사진전공의를 대상으로 복귀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공의 수련은 3월과 9월에 각각 상·하반기 일정을 게시한다. 만일 사직전공의가 하반기 모집에 맞춰 복귀하면 다음 해 2월에 실시되는 전문의 시험에 응시할 수 없다. 이에 일부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할 방안을 요구했고, 복지부가 추가 모집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다만 복지부는 복귀 의사가 확인돼야 추가 모집을 검토하겠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정부가 복귀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는 사직 전공의를 대상으로 추가 모집을 실시할 예정이다. 사진은 6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의 의료진 모습. 2025.02.06 yooksa@newspim.com 이에 따라 수련병원협의회는 사직 전공의 복귀 의사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8일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 참여한 전공의 중 절반가량은 '조건부 복귀'를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재논의, 제대 후 복귀 보장 등을 조건으로 내세웠다. 아직까지 실제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미미한 수준이다. 앞서 대한의학회가 시행한 설문 조사에서 복귀 의사를 밝힌 사직 전공의는 300명에 불과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수련 병원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는 올해 3월 기준 1672명으로 지난해 전공의 집단 사직 이전 1만3531명 대비 12.4% 수준이다. 전공의 사직 이전의 50%(6765명)까지 돌아오려면 최소 5093명이 돌아와야 한다. 익명을 요청한 한 사직 전공의는 "바뀐 게 없는데 복귀하겠느냐"며 "복귀하지 않겠다는 전공의가 대부분"이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한편, 복지부는 의료 단체들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받은 후 추가 모집 결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다만 복귀 마지노선이 5월인 점을 감안해 조속히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오늘 오후 기준 전달 받은 설문 결과는 없다"며 "설문 조사 결과를 받게 되면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2025-05-14 17:1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