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장주연 기자] 진실의 은폐가 과연 국익을 훼손하는 걸까, 아니면 국익에 도움이 되는 걸까.
세계 최초로 인간배아줄기세포 추출에 성공한 이장환(이경영) 박사의 연구 결과가 국민적인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PD 추적’ 윤민철 PD(박해일)는 익명의 제보자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게 된다. 발신자는 얼마 전까지 이장환 박사와 함께 줄기세포 연구를 해오던 심민호(유연석) 팀장.
그는 윤민철 PD에게 논문이 조작됐다는 사실과 함께 줄기세포 실험과정에서 벌어진 비윤리적 행위에 대해 양심선언을 한다. 윤민철 PD는 제보자 심민호의 증언 하나만을 믿고 사건에 뛰어들지만, 이장환 박사를 비판하는 것은 국익에 반하는 것이라는 여론과 언론의 거센 항의에 부딪힌다. 그리고 결국, 방송이 나가지 못하게 되는 위기에 처한다.
모두가 알다시피 ‘제보자’는 지난 2005년 대한민국을 뒤흔든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스캔들을 모티브로 했다. 그러나 영화에서, 또 메가폰을 잡은 임순례 감독이 끊임없이 언급했듯 실제 사건에서 영감만 얻었을 뿐 영화적으로 재구성된 픽션이다. 영화를 보면 실화와 픽션의 경계에서 중심을 잡으려 한 임 감독의 노력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 황우석 박사를 떠오르게 하는 장면들은 꽤 자주 등장한다. 어쩔 땐 오히려 그 역시 피해자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특히 “하나를 보여주면 둘 셋을 원해서 멈추지 못했다”고 읊조리는 이장환 박사의 모습은 어째 짠할 정도다. 임 감독은 이를 자제한다고 했지만, 관객의 입장에서는 영화를 보는 내내 실재 인물을 연관 지어 생각할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영화를 보지 않고 듣는다면 아이러니한 말이겠지만) 소재만큼 무겁지 않다는 점은 이 영화의 강점이다. 내용이 없다는 게 아니라 그만큼 어렵거나 복잡하지 않다는 거다. 민감한 사회적 이슈, 그리고 생명공학이란 낯선 소재를 다루고 있음에도 임 감독은 속도감 있는 전개, 가볍고 재치있는 대사로 노련하게 이야기를 풀어간다. 특히 임 감독 특유의 장기인 따스한 시선을 이번에도 스크린에 녹아냈다는 점은 영화의 가장 큰 미덕이 아닐까 한다.
물론 따뜻하다고 해서 날카롭지 않은 것은 아니다. 영화는 보이는 것만 맹목적으로 믿는 대중, 자신들의 출세가 우선인 학자, 편파보도쯤이야 개의치 않는 언론, 진실 은폐에만 신경이 곤두선 정부, 이 모두에게 따끔한 충고를 건넨다. 임 감독은 당시 사건에서 어느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을 지적, 이 일은 한 개인의 잘못이 아닌 사회의 총체적 잘못임을 꼬집다. 그리고 관객은 그가 하고자 하는 말이 비단 줄기세포 스캔들 사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님을 알게 된다. 결국, 어떻게 보면 영화는 우리 모두의 반성문인 셈이다.
배우들의 연기야 의심할 여지가 없다. 박해일은 이번에도 역시나 자신만의 색깔로 캐릭터를 탄생시켰다. 영원할 것만 같았던 로맨틱남 ‘칠봉이’ 유연석도 제보자 심민호를 통해 새로운 모습을 선보인다. 류현경과 송하윤의 연기 역시 훌륭하다. 하지만 뭐니 뭐니 해도 영화에서 가장 눈에 띄는 이는 이장환 박사 역의 이경영이다. 그의 안정감 있는 연기는 영화의 중심을 잡는 동시에 극을 끌어가는 힘을 가진다.
(스포일러일지 모르겠으나) 결말은 해피엔딩이다. 다소 진부하지만, 예상 가능하기에 행복한 결말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영화관을 나서는 관객의 마음이 온전히 개운할 수는 없다. 자기반성이 끝난 후 세상을 향한 시선이 날카로워졌을 때라서일까. 극 말미 윤민철 PD를 태운 택시기사의 대사는 유독 귓가를 맴돈다. “돈 있으면 이민 가야지, 이게 나라냐?” 현실로 돌아온 관객들이 공감과 한탄을 동시에 자아낼 수밖에 없는 순간이다. 2일 개봉. 12세 이상 관람가. [사진=메가박스㈜플러스엠 제공]
[뉴스핌 Newspim] 장주연 기자 (jjy333jj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