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Anda 글로벌

속보

더보기

[중국증시] 쏟아지는 A주 호재, 돈 되는 유망주는?

기사입력 : 2014년08월21일 09:49

최종수정 : 2014년10월15일 14:42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홍콩에선 A주 ETF 상품 인기 절정

[뉴스핌=강소영 기자] 낮은 밸류에이션과 지나친 저평가로 돈안되는 시장으로 치부되던 상하이와 선전 거래소에 최근 투자자가 몰리면서 주가가 가파르게 올라가고 있다. A주를 자극할 호재가 연이어 등장하면서 강세장 도래에 대해 기대감이 커진데 따른 결과다.

20일 증권시보(證券時報) 등 복수의 중국 매체는 시장환경 변화,정책지원, 국제관계 및 제도개선 등으로 성장이 기대되는 유망주식을 소개, 돈 되는 종목 발굴에 나선 투자자에게 투자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그래픽=송유미 미술기자]
◇ 외자, RQFII ETF와 파생상품 통해 A주 레버리지 확대

홍콩 증시에는 최근 RQFII(위안화 적격 외국인 투자자)를 통한 A주 ETF(상장지수펀드)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즉, 외국 자금이 RQFII 통로를 통해 A주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는 의미다. 

상해증권보에 따르면, 지난주 11~15일 적어도 24억 위안의 자금이 RQFII관련 A주 ETF 상품에 유입됐고, 이런 추세는 이번 주에도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A주에 대한 낙관적 전망 외에도 RQFII ETF로 레버리지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도 ETF 상품에 대한 투자확대의 중요한 원인으로 보고 있다.

홍콩거래소의 최신 자료를 보면, 지난주 난팡A50ETF, 보세라A50 ETF와 톈푸(添富)상하이-선전300에 각각 10억 위안, 13억 위안과 1억 위안이 순유입됐다.

◇ 스마트홈 시장 폭발적 성장 예고

중국의 인터넷과 스마트 기기 보급 확산으로 스마트홈 시장의 폭발적 성장이 기대된다. 최근 스마트홈 관련 기업들은 신규주문량이 크게 늘고 있고, 일부 업체는 주문이 공급량을 초과하기도 했다.

중국증권보(中國證券報)는 시린먼(喜臨門, 603008),퉈방구펀(拓邦股份, 002139),량신전기(良信電器, 002706),안쥐바오(安居寶, 300155),허징커지(和晶科技, 300279) 등 종목을 스마트홈 분야 유망주로 꼽았다.

◇ 베이징-톈진-허베이 교통 통합, 고속철 건설 

최근 베이징, 톈진, 허베이성 과학기술 관련 부처는 '징진이(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 혁신전략 연구 협력서'를 체결하고,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징진이 도시권 일체화 추진에 적극 협조하기로 합의했다.

징진이 도시권 일체화 계획은 포화 상태인 베이징의 역할을 주변 지역에 분산해 상대적으로 낙후한 허베이성의 발전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징진이 도시권 구상은 대규모 인프라 건설과 정부기관 이동을 수반할 예정이어서 정부 차원 사업 프로젝트 가운데 가장 큰 규모가 될 전망이다.

징진이 도시권 일체화 사업이 가시화되면서 증시에서는 러카이자오폔(樂凱膠片, 600135) 보션궁쥐(博深工具, 002282), 팡다그룹(龐大集團,601258), 화예디찬(華業地產,600240), 허베이쉬안궁(河北宣工,000923), 톈진강(天津港, 600717) 등 관련 종목의 주가가 큰 폭으로 올랐다.

◇ 신국10조, 보험자본 A주 투자확대 촉진 

13일 중국 국무원은 보험업계가 학수고대하던 보험서비스 개선에 관한 의견을 발표했다. 보험업의 신국10조로 불리는 이번 방안 중 자본시장이 주목하는 부분은 보험자본의 운용 방식 다양화를 장려한다는 내용이다.

국무원은 보험자본이 기업 주식,채권,펀드 등에 대한 투자를 통해 중소기업과 창업을 지원하도록 했다. 이 같은 조치는 보험자본의 A주 투자 확대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2020년 A주에 투자하는 보험업계 자금이 5조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 정부, 대형 미디어 그룹 육성 

18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제4차 중앙전면심화개혁영도소조 회의에서 "전파력,공신력,영향력을 고루 갖춘 강력한 신형 미디어 그룹을 만들겠다"며 대형 미디어 그룹 육성 계획을 밝혔다.

소식이 전해지자 19일 중국 증시에서는 미디어 관련 종목의 주가가 급등했다. 미디어 관련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주식은 선샤인 미디어(粵傳媒,002181), 저장데일리미디어(浙報傳媒, 600633), 신화미디어(新華傳媒, 600825), 출판미디어(出版傳媒, 601999), 인민망(人民網, 603000),화수미디어(華數傳媒,00156),톈저우컬쳐(天舟文化,300148),중원미디어(中文傳媒,600373) 등이 있다.

◇ 중국-러시아 IT분야 협력 강화 

러시아는 18일 중국과 IT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중국산 서버·메모리 시스템 등 중국산 IT 제품의 수입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최근 러시아는 서방 국가와의 관계가 악화되자 중국과의 교류 강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러시아의 중국산 IT 제품 수입량 확대는중국의 관련 산업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증시에서는 중국업체로는 유일하게 비구조화 데이터베이스 분야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한 팡정커지(方正科技,600601), 메모리 패키징 업체 선두기업 타이지실업(太極實業,600667), 클라우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화궁커지(華工科技,000988)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李정부, 123개 국정과제 공식 확정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정부가 향후 5년간 국정 운영의 핵심 로드맵이 될 123대 국정과제를 본격 추진한다. 정부는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국정과제를 포함한 국정과제 관리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123대 국정과제는 지난달 13일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제안한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정부 차원의 검토 및 조정·보완을 거쳐 확정한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면서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KTV] 최종 확정된 국정과제 체계는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비전 아래 5대 국정목표, 23대 추진전략, 123대 과제로 구성됐다. 5대 국정목표는 ▲국민이 하나되는 정치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다. 우선 정부는 국민주권 실현 및 대통령 책임 강화를 위한 개헌을 추진한다. 4년 연임제 및 결선투표제 도입, 감사원 국회 소속 이관, 대통령 거부권 제한, 국무총리 국회추천제 도입 등이 개헌안에 담길 전망이다. 권력기관 개혁을 통한 민주주의 확립, 독자 인공지능(AI) 생태계 및 AI고속도로 구축, 5극3특 중심 혁신·일자리 거점 조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 산재 감축 등의 내용도 국정과제에 담겼다. 또 이재명 정부 임기 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완료하는 강군 육성 방안도 포함됐다. 행정수도 세종 완성과 2차 공공기관 이전도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균형발전 관련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있다. [사진=KTV]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범정부 추진체계도 구축한다. 온라인 국정관리시스템과 오프라인 범부처 협의체를 운영, 국정과제 추진상황을 지속 관리한다. 입법성과 조기 창출을 위해 법제처에 국정입법상황실을 두고, 국정과제 입법 전주기를 밀착 관리한다. 국정과제 중 입법조치가 필요한 사항은 법률 751건, 하위법령 215건 등 총 966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법률안 110건은 연내 국회 제출하고, 하위법령 66건 올해 제·개정한다는 계획이다.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정책성과를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온라인 소통창구인 '국정과제 소통광장'을 마련, 국민이 제기한 의견을 정부가 신속히 답하는 쌍방향 소통채널을 만든다. 국민만족도 조사는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민생 관련 중요 국정과제는 민관합동 현장점검을 실시한다. 국정과제 추진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정부업무평가 기본계획('25~'27)' 및 '2025년도 정부업무평가 시행계획 수정안'도 이날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 올해는 미래 전략산업 육성 등 각 부처가 역점 추진하는 정책과제, 신산업 등 규제 합리화, AI 활용 일하는 방식 혁신, 디지털 소통·홍보 노력 강화 등을 중점 평가할 예정이다. 국민주권정부에 걸맞게 평가 과정에 국민 참여를 확대하고, 국민 만족도 조사 결과도 비중 있게 반영한다. 국무조정실은 "향후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의견을 수시로 청취하고 소통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며 "국민요구와 정책여건 변화를 반영해 이행계획도 지속 보완하며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9-16 14:04
사진
코어위브, 엔비디아와 8조원대 계약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데이터센터 운영업체인 코어위브(종목코드: CRWV)는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와 63억 달러(8조7160억원)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 주문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번 계약을 통해 2032년 4월 13일 까지 코어위브가 고객에게 판매하지 않은 모든 클라우드 용량을 구매하기로 했다. 엔비디아와 수주 계약 체결 소식이 전해진 후 코어위브 주가는 뉴욕 정규장 거래에서 8% 상승했다. 지난 3월 상장 이후 이 회사 주가는 3배 뛰었다. 코어위브는 미국과 유럽에서 엔비디아의 GPU 칩을 탑재한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이를 임대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판매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핵심 클라우드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AI 컴퓨팅 용량 수요 감소 가능성에 대한 완충장치를 마련하게 됐다고 로이터 통신은 평가했다. 코어위브는 일찌감치 엔비디아의 눈도장을 받아 2023년 투자를 받았다. 엔비디아는 코어위브 지분을 6% 넘게 보유하고 있다. 코어위브는 지난 3월 공모가 40달러에 뉴욕 증시에 상장한 후 AI 열풍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급증에 힘입어 주가가 급등했다. 투자은행 바클레이즈는 "이번 계약은 최종 고객과 상관없이 용량이 활용될 것을 보장함으로써 코어위브의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며 "투자자들은 코어위브가 최대 고객사 2곳(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 외에 데이터센터 용량을 채울 수 있을지 우려해왔는데, 이번 계약으로 이런 우려가 사라졌다"고 분석했다.  코어위브 로고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9.16 kongsikpark@newspim.com 코어위브는 지난 3월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119억 달러 규모의 5년 계약에 합의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기로 한 바 있다. 오픈AI는 2029년 4월까지 40억 달러까지 지급하기로 약속하는 추가 협정을 맺었다. kongsikpark@newspim.com 2025-09-16 13:03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