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Anda 글로벌

속보

더보기

A증시, 中영화계 벼락부자 탄생의 산실

기사입력 : 2014년06월13일 11:23

최종수정 : 2014년06월20일 14:33

유명 감독 은막의 스타들 자고나면 '주식재벌'

[뉴스핌=조윤선 기자] 중국 유명 영화감독 펑샤오강(馮小剛)이 소속 영화사인 화이브라더스(華誼兄弟)가 2009년 차스닥에 상장한 후, 주식을 현금화한 금액이 2억 위안(약 328억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져 화제를 모으고 있다. 펑샤오강 , 장이머우(張藝謀), 장궈리(張國立) 등 감독을 비롯해 유명 여배우 쑨리(孫儷)와 유명 MC 천루위(陳魯豫)에 이르기까지 잇따른 중국 영화계와 방송계 주식부자 탄생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왼쪽부터 펑샤오강(馮小剛), 장이머우(張藝謀), 장궈리(張國立). [출처: 봉황망(鳳凰網)]

12일 봉황망(鳳凰網)은 최근 화이브라더스 창립 20주년 기념식에서 유명 연기자이자 펑샤오강 감독의 배우자인 쉬판(徐帆)이 펑 감독이 화이브라더스 증시 상장 후 2억여 위안을 현금화했으며, 납부한 세금만 4000여만 위안(약 66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쉬판은 "화이브라더스 창립 초기에 왕중쥔(王中軍) 회장이 우리 부부에게 당시로서는 큰 돈이었던 5만 위안(약 820만원)을 빌렸다" 면서 "갚지못할까 불안해하던 내게 왕 회장이 10배 이상의 이익을 내 돌려주겠다"고 말했다고 회고했다.

왕 회장의 약속대로 펑샤오강 감독은 화이브라더스와 두 번째 계약을 체결할 때 받은 3%(288만주)의 지분으로 중국 감독으로서는 주식 현금화로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사람이 됐다.

펑샤오강 감독이 만약 288만주를 현재까지 그대로 보유하고 있었다면, 주식 가치가 5억 위안을 훌쩍 뛰어넘었을 것이란 보도도 나와 주목을 받았다.

중국 매일경제신문(每日經濟新聞)은 펑샤오강 개인의 영화계에서의 눈부신 활약과 화이브라더스 발전과정에서 그가 세운 혁혁한 공에 비할때 2억 위안은 사실 그다지 많은 액수라고 할수 없다고 지적했다.

1998년 펑샤오강 감독의 '몰완몰료(沒完沒了)'를 시작으로 화이브라더스와 펑 감독은 16년간 함께 일해왔다. 중간에 펑 감독이 1년정도 화이브라더스를 떠나있긴 했지만, '집결호(集結號 Assembly)', '비성물요(非誠勿擾, If You Are The One)', '퍼스널테일러(私人定制 Personal Tailor)' 등 13편에 이르는 히트작을 만들어냈다.

이들 작품 중 박스오피스 수입이 억 위안대를 기록했던 영화를 합하면, 펑 감독의 영화가 달성한 흥행수입은 무려 31억2800만 위안(약 5100억원)에 이른다.

펑 감독의 몸값은 앞으로 더욱 치솟을 것으로 기대된다. 7일 하이난(海南)성 하이커우(海口)에서 펑 감독의 이름을 딴 영화테마파크인 '펑샤오강영화공사(馮小剛)'가 오픈했기 때문이다.

총 투자비용이 55억 위안에 달하는 '펑샤오강영화공사'는 호텔·골프장 사업을 하는 홍콩 관란후그룹(觀瀾湖集團)이 60%의 지분을, 화이브라더스 자회사 스징위러공사(實景娛樂公司)가 35% 지분을 가지고 있는데, 나머지 5% 지분은 펑샤오강 감독이 소유하고 있어 향후 주가 상승에 따른 수익이 기대된다고 중국 매체는 전했다.

중국 영화계의 거장 장이머우 감독도 주식부자 대열에 합류할 전망이다.

작년 장 감독이 손을 잡은 신생 영화사 '러스잉예(樂視影業)'가 최근 수 억위안에 달하는 투자 자금을 유치하면서 회사 가치가 상승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진다.

한 업계 전문가는 "러스잉예가 최근 수 억위안에 달하는 자금을 유치해 기업가치가 15억 위안(약 2500억원)을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며 "장이머우 감독이 얼마만큼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지 밝혀진 바가 없지만 지분 가치가 수 억위안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러스잉예는 2011년 창립한 민영 영화사다. 신생 영화사이기는 하지만 '인터넷 시대의 영화사'라는 기업 포지셔닝을 바탕으로 온·오프라인 영화 서비스를 제공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중국의 '국민 배우'이자 감독인 장궈리도 주식부자로 등극했다. 작년 9월 화이브라더스가 2억5200만 위안에 장궈리의 영화사 지분 70%를 인수한 후, 이 영화사 가치가 3억6000만 위안(약 590억원)으로 크게 올랐다.

영화감독 뿐만이 아니다. 최근 중국의 유명 MC이자 앵커인 천루위(陳魯豫)를 비롯해 유명 배우 쑨리(孫儷)가 지분을 가진 업체나 소속사가 증시 상장을 추진하면서 연예인 억만장자로 부상할 것이란 소식이 잇따라 보도되기도 했다.

중국 A증시가 영화인 벼락부자 탄생의 산실이 되는 요인에 대해 스촨(石川) 상하이(上海)희극학원 교수는 "업계 내부에 인재를 비롯한 우수자원이 희소하기 때문"이라며 "눈에띄는 흥행성적을 내는 몇 안되는 감독을 영화사마다 서로 모셔가려고 하는 통에 감독들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몸값이 한 감독의 실질적인 가치를 대변한다고 볼 수 없다며, 일부는 실제 가치에 비해 부풀려진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미중 관세협상, 명백한 중국의 승리"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중 관세협상에 대해 중국내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승리'를 거뒀다며 고무된 분위기다. 중국의 매체들은 13일 일제히 미중관세협상 결과를 보도하고 나섰다. 관영매체들은 '승리했다'는 표현을 자제하고 있지만, 협상이 성공적이었다는 논조를 유지했다. 중국의 SNS상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중국이 승리했다는 반응 일색이다.  12일 미중 양국의 협상단은 스위스 제네바 공동성명을 통해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추가적인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5년전인 2020년 1월 타결됐던 미중 관세협상 결과와는 차이가 크다. 당시 중국은 2000억달러 규모의 미국 제품 구매할 것을 약속했고, 강도 높은 지재권 보호 , 금융 서비스 시장 개방, 환율 투명성 강화 등을 보장했다. 이에 대한 대가로 미국은 관세를 일부 인하했다. 하지만 이번 미중 관세협상에서는 양국이 모두 동등하게 115%의 관세를 취소하거나 연기했다. 중국의 미국산 물품 구매나 시장개방에 대한 약속은 없었다. 양보 일변도였던 5년전과 달리 이번 미중 관세협상은 공평하고 평등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국 매체 블룸버그는 "이번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은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었고, 미국은 끝내 양보했다"며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강대강 전술이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 관찰자망은 "양국의 제네바 경제·무역 회담 공동성명 발표는 중국이 무역 전쟁에서 거둔 중대한 승리이자 중국이 투쟁을 견지한 결과"라며 "미국의 무역 괴롭힘에 맞서 항쟁할 용기가 조금도 없는 국가들과 비교하면 이번 승리의 무게가 더 무겁다"고 논평했다. 광다(光大)증권은 13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국제 무역 투쟁에서 패권을 두려워하지 않고 굳건하게 맞선 결과 단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가장 먼저 미국에 대등한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국내적 국제적으로 대응조치를 내놓았다"고 덧붙였다. 자오상(招商)증권은 "중국은 미국과 공평하고 평등한 협상을 진행했으며,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고 호평했다. 이어 "중국은 우호적인 국가들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중국 경제의 대미 의존도를 낮췄고, 기술 진보와 군사력 확충 등이 이뤄졌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이같은 성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여론이 지나치게 고무되는 것을 경계하는 논설기사도 나왔다. 신화사는 '중미 경제무역 회담이 세계 경제 압박을 낮추고 신뢰를 증진시켰다'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양국의 대화 재개는 기쁜 일이지만, 양국간의 의견 차이 해소는 복잡하고 어려우며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오성홍기와 미국 성조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ys1744@newspim.com 2025-05-13 09:53
사진
대법 "대법원장 청문회 출석 곤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은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이 오는 14일 예정된 '사법부의 대선개입 의혹 진상규명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국회에 전달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12일 기자단 공지를 통해 "재판에 관한 청문회에 법관이 출석하는 것은 여러모로 곤란하다는 입장"이라며 "출석 요청을 받은 16명의 법관 모두 '청문회 출석요구에 대한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조희대 대법원장. [사진=뉴스핌DB] 앞서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지난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서 무죄를 선고한 항소심 판결을 파기하고 유죄 취지로 사건을 파기환송했다. 민주당은 대법원이 이 후보 사건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심리·선고해 사실상 대선에 개입했다며 대법원장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난 7일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청문회 실시계획서 채택과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 등을 의결했다. 청문회 증인으로는 조 대법원장과 판결에 관여한 대법관 11명이 전원 채택됐으며 대법원 수석·선임재판연구관, 대법원장 비서실장, 법원행정처 사법정보화실장 등 판사들도 포함됐다.  shl22@newspim.com 2025-05-12 18: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