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중국 100대 상장기업 분석] ⑧솽후이(雙匯·SHUANGHUI)

기사입력 : 2013년06월07일 18:09

최종수정 : 2014년06월20일 16:31

[뉴스핌=조윤선 기자]
◇두 육가공 공룡기업간 인수합병(M&A)

2013년  5월 29일 중국 최대 육류가공 업체 솽후이(雙匯)그룹과 미국 최대 육류가공 업체 스피스필드 푸드 인수 소식이 전해진 후 중국 국내는 물론 세계 관련 업계가 이 M&A건에 대해 큰 관심을 표시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人民日報)는 5월 31일자에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오바마 미국 대통령 회담 관련 소식과 함께 솽후이의 M&A기사를 대서 특필했다.  솽후이 그룹은 자사 홈페이지에 인민일보가  ‘솽후이 71억 달러에 미국 최대 육가공 업체 인수, 중국의 미국 기업 인수로는 최대 규모’라는 내용의 기사를 1면을 게재했다고 소개했다.

중국과 미국의 최대 육가공 업체간의 M&A라는 점만 놓고 봐도 솽후이의 이번 인수건은 매우 큰 의미를 지닌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솽후이궈지(雙匯國際) 산하의 솽후이파잔(雙匯發展)은 중국의 곡창지대로 불리는 허난성의 대표적인 기업이다.  중국 최대 육류 가공업체로 2012년 31만 마리의 돼지를 출하했으며, 돼지 도살량은 1142만 마리, 육류 총 생산량은 270만t으로 397억 위안(약 7조원)의 영업 수입을 달성했다.

또한 중국 내 13개 성(省)에 생산 공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가공공장 4개를 추가로 건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스미스필드 푸드는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최대 돼지고기 생산 업체로 2012년 1400만 마리의 돼지를 사육, 도살량은 2800만 마리로 미국 전체의 28%를 차지하고 있다. 육류가공 제품 생산량은 130만t 가량으로 지난해 영업 수입 131억 달러(약 15조원)를 달성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또 솽후이의 이번 M&A가 중국 기업이 해외 투자 다원화를 실현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가진다고 진단했다. 그 동안 에너지와 제조업 영역에 집중됐던 중국 기업들의 해외 투자가 기타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 

2012년 중국 부동산 업체인 완다(萬達)그룹과 유제품 업체 광밍(光明)식품이 문화와 식품 분야의 대규모 해외 인수합병을 추진한데 이어 솽후이가 육류가공 분야에서 최대 규모 M&A에 나서면서 중국 기업들의 해외 진출 다원화가 이뤄지고 있다며 전문가들은 의의를 설명했다.

◇솽후이 세계적 육가공 업체로 ‘부상’

최근 중국 언론과 업계에서는 스미스필드 인수 이후 솽후이의 향후 경영 전망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 언론들은 솽후이와 스미스필드의 2012년 영업 실적을 감안, 두 업체의 인수합병이 완성되면 연간 매출 1300억 위안(약 25조원) 규모의 세계 최대 육가공 업체가 탄생할 것이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특히 업계 전문가들은 솽후이의 스미스필드 인수가 두 업체의 장단점을 상호 보완해 중국의 식품 안전 문제를 개선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차이나마켓리서치 관계자는 “솽후이가 중국 소비자의 미국 식품 안전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이번 인수건을 추진했다”며 “솽후이가 매우 영리하게 움직였다”고 말했다.

완룽(万隆) 솽후이 그룹 회장도 “인수합병 후 육류 업계의 선진 기술과 자원, 인재 등 역량을 집중하고 상호보완성을 발휘해 세계 최대 육류 가공 업체로 변신할 것”이라며 포부를 드러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완룽 회장은 줄곧 부가가치가 높은 고급 육류 제품 비중을 확대하는데 고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업계 관계자들은 육가공 제품 중 부가가치가 높은 베이컨을 비롯한 스미스필드가 보유한 다년간의 고급 제품 개발 경험이 솽후이의 향후 경영에 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세계 육가공 시장에서 매우 유리한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한편 솽후이가 스미스필드를 인수한 데는 급증하는 중국 내 돼지고기 물량 확보를 위해서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최근들어 도시로 진출하는 농민공(농촌출신 도시 이주 노동자)이 늘어나면서 농촌의 양돈업 종사자가 줄어들고 있는데다, 양돈업이 다량의 수자원과 식량자원을 낭비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각 지방정부가 양돈 사업을 꺼려 중국 내 돼지고기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것.

현재 중국의 연간 돼지고기 소비량은 5000만t 가량으로, 전 세계 소비의 절반을 차지하는 중국은 세계 최대 돼지고기 소비국이다.


◇M&A 변수 발생

솽후이의 스미스필드 인수 소식이 전해진지 얼마되지 않아 5월 31일 매일경제신문(每日經濟新聞)을 비롯한 중국 언론들은 솽후이와 스미스필드의 M&A에 새로운 변수가 생겼다고 전했다.

태국 정다(正大)그룹 산하의 정다푸드와 브라질의 육가공 업체 JBS그룹이 스미스필드 인수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

스미스필드와 솽후이의 인수 계약에 따르면 스미스필드는 솽후이와 M&A계약을 체결한 후에도 30일간 타사와 인수협상을 진행할 수 있다고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중국의 업계 관계자들은 스미스필드가 정다푸드 또는 JBS와 협상을 마무리한 30일 이후 솽후이와의 계약을 파기한다면 1억7500만 달러(약 1960억원)를 배상해야 할 뿐만 아니라, 솽후이측이 인수합병 후에도 스미스필드의 경영 방식과 브랜드 등 기존의 경영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조건을 제시해 사실상 스미스필드가 솽후이와의 계약을 파기할 가능성은 적다고 보고있다.

완룽 회장도 최근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정다그룹 측이 스미스필드 인수 경쟁에 참여하지 않을 것임을 확인했다며, JBS는 미국 현지에 이미 도축장을 운영하고 있어 스미스필드를 인수할 경우 반독점을 위반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인수 경쟁에서 솽후이가 여전히 유리한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언론들은 솽후이의 스미스필드 인수에 ‘중국의 식품 안전문제’가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식품은 전반적으로 비위생적이라는 인식과 함께 실제로 지난 2011년 돼지고기에서 금지약물인 클렌부테롤이 다량으로 검출된 사례가 있어, 중국이 미국 업체를 인수함으로써 미국산 먹거리 안전도가 떨어질 것이란 지적도 제기됐다.

중국 언론들은 솽후이의 스미스필드 인수합병은 현재 미국 관련 부처의 인가를 기다리고 있다며 최종 확정까지는 향후 1~2개월의 시간이 더 소요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솽후이 실제 주인은 국제 PE ?

최근 중국 경제 뉴스 포털 텅쉰재경(騰訊財經)은 솽후이궈지(雙匯國際)가 실제로 중국 기업이 아니라며 솽후이궈지의 최대 주주는 국제 PE(사모펀드) 딩후이투자(鼎暉投資)로 33.7%의 지분을 점유하고 있으며, 기타 주주들도 해외 투자은행과 국제 PE들이라고 보도했다.

솽후이의 이번 스미스필드 인수가 중국 내에서 대체로 중국 기업의 해외 진출 사례로 평가 받고 있지만 사실상 이 회사의 최대 주주는 외국 회사라는 것.

따라서 텅쉰재경은 중국 선전(深圳) A 증시에 상장되어 있는 솽후이파잔(雙匯發展)이 실질적으로 이번 인수합병을 통해 얻는 상업적 이익은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번 인수합병의 배경이 외부에서 생각하는 것처럼 그리 간단하지 않다고 전했다.

스미스필드를 인수한 솽후이궈지는 영국의 식민지로 자메이카의 북서쪽에 위치한 케이먼제도에 등록된 회사로 실제 사업 활동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지적이다.

솽후이궈지는 중국에 등록된 기업인 솽후이 그룹의 대주주로 솽후이그룹은 또 솽후이파잔의 대주주이다. 이 솽후이파잔이 실제로 육류 가공 업종에 종사하는 A주 상장회사인 것.

따라서 솽후이의 스미스필드 인수를 중국 기업의 미국 업체 인수가 아닌 사실상 해외 업체(솽후이궈지)의 미국 기업 인수로 보는 시각도 있다.


한편 6월 7일 현재 선전증시 솽후이파잔의 주가는 39.99위안선에서 오르내리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3초안에 13가지 암 찾는다" [서울=뉴스핌] 김용석 기자 = 혈액 검사 데이터만으로 3초 안에 13가지 조기 암을 찾아내는 시대가 열렸다. 미국 식약청(FDA)은 12일(한국시간) AI를 활용한 의료 시범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전 부문으로 확장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마틴 A. 마카리 FDA 박사가 이끄는 이번 계획은 올 6월 30일까지 모든 FDA 센터에 AI를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진= 뉴스핌 DB] FDA에 따르면 AI의료 혁신은 단순히 진단만 하는 게 아니라, 유전자 수준에서 향후 5년간 암 발생 확률을 예측할수 있게 됐다. 이 시스템에는 '거짓말 필터'가 내장돼 있어, 환자가 숨긴 병력도 감지할 수 있을 정도다. 특히 혈액 검사 데이터만으로 3초 안에 13가지 조기 암을 찾아낼 수 있으며, 정확도는 대형병원 의사를 능가하는 수준으로 알려졌다. 진료 비용은 인간 의사의 1/20에 불과하며. 다만, 매년 999달러의 'AI 사용 연회비'를 내야 한다. 마카리 박사는 "AI 시범 사업 성공에 큰 감명을 받았다. 검토 과정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했던 비생산적인 반복 작업을 줄일수 있다. AI혁신 의료 기술은 새로운 치료법 검토 시간을 가속화하는 데 큰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라고 밝혔다. FDA의 신약평가연구센터(CDER) 신약평가과학국 부국장인 진중(진) 리우는 "이는 게임 체인저 기술이다. 3일 걸리던 작업을 몇분 만에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새 AI의료 혁신은 FDA의 패스트트랙(그린 채널)을 통과해 다음 주부터 뉴욕 장로회 병원에서 시험 운영된다. fineview@newspim.com 2025-05-12 11:48
사진
와이스 호투...한화 12연승 날다 [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독수리가 마침내 12연승까지 날아올랐다. 김광현은 양현종과의 '레전드 매치'에서 웃었지만 김도영에 솔로 홈런을 허용했다. 화장한 날씨를 보인 이날 더블헤더를 포함해 8경기에 총 14만7708명의 관중이 입장해 역대 일일 최다 관중 신기록을 세웠다. 종전 일일 최다 관중은 지난해 6월 23일 역시 8경기에서 기록한 14만 2660명이었다. 단독 선두 한화는 11일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키움과의 방문 경기에서 라이언 와이스의 호투를 발판 삼아 8-0으로 승리했다. 와이스는 8이닝 동안 삼진 9개를 뽑으며 1안타 무실점으로 키움 타선을 봉쇄했다. 라이언 와이스(왼쪽)와 노시환. [사진=한화] 한화가 12연승을 거둔 것은 빙그레 시절이던 1992년 5월 이후 33년 만이다. 당시 빙그레는 14연승까지 거뒀다. 한화는 3회초 2사 1, 3루에서 키움 포수 김재현의 2루 악송구 때 3루 주자가 홈을 밟아 1-0으로 앞섰다. 5회에는 2사 2, 3루에서 키움 선발 김윤하의 폭투로 1점을 추가한 뒤 노시환이 유격수 강습 중전 적시타를 때려 3-0으로 달아났다. 6회에는 이진영의 솔로 홈런과 이도윤의 적시타로 2점을 추가해 5-0으로 점수 차를 벌렸다. 한화는 9회초에도 3점을 보태 쐐기를 박았다. 대구에서는 문성주가 혼자 4타점을 뽑은 LG가 삼성을 7-4로 꺾었다. LG는 전날 더블헤더 1, 2차전을 포함해 3연승을 달린 반면 삼성은 8연패의 늪에 빠졌다. 1-3으로 끌려가던 삼성은 6회말 선두타자 구자욱이 좌중간 2루타로 포문을 열자 김영웅이 좌월 투런 홈런을 쏘아 올려 3-3 동점을 만들었다. 이어 르윈 디아즈는 우측 외야 스탠드 상단에 꽂히는 백투백 홈런을 터뜨려 4-3으로 역전시켰다. 문성주. [사진=LG] 하지만 LG는 7회초 2사 만루에서 문성주가 좌측 펜스 상단을 때리는 3타점 2루타를 터뜨려 단숨에 6-4로 다시 뒤집었다. 8회초에는 2사 만루에서 홍창기가 밀어내기 볼넷으로 1점을 보태 승부를 결정지었다. 더블헤더가 펼쳐진 인천에서는 SSG가 1차전에서 KIA를 8-4로 꺾었다. SSG는 4-1로 앞선 4회말에는 조형우의 적시타와 최지훈의 3루타 등으로 3점을 추가해 7-1로 달아났다. KIA는 5회초 최형우가 투런홈런을 날렸으나 더는 추격하지 못했다. KIA 선발 제임스 네일은 4이닝 동안 개인 최다인 7실점하고 무너졌다. 김광현과 양현종이 선발 대결을 펼친 2차전에서도 SSG가 5-1로 승리했다. KIA는 4회초 김도영이 좌중월 솔로홈런을 날려 선취점을 뽑았다. SSG는 6회말 채현우의 3루타 등 4안타와 볼넷 4개를 묶어 대거 5점을 뽑아 전세를 뒤집었다. 7이닝 1안타 1실점으로 호투한 김광현은 승리투수가 됐고 5.1이닝 3안타와 볼넷 2개로 3실점 한 양현종은 패전투수가 됐다. 김광현. [사진=SSG] 잠실에서는 NC가 두산을 맞아 더블헤더 1차전을 11-5로 이긴 뒤 2차전마저 5-2로 승리했다. NC는 7연승을 달리며 4위로 뛰어올랐다. 두산은 1차전 1회말 상대 실책 속에 양석환의 2루타와 볼넷 3개를 묶어 먼저 4점을 뽑았다. 그러나 NC는 2회초 두산 선발 콜 어빈의 제구가 흔들리는 사이 3안타와 4사사구로 6점을 뽑아 전세를 뒤집었다. 3회에는 안중열의 2루타로 2점을 추가한 NC는 4회에도 1점을 보태 9-4로 달아나며 일찌감치 승기를 잡았다. 천재환. [사진=NC] 2차전에서 NC는 2회초 천재환이 선제 솔로홈런을 날렸으나 두산은 2회말 1사 만루에서 김기연이 2타점 우전안타를 날려 전세를 뒤집었다. 그러나 NC는 3회초 4안타와 볼넷 2개로 4점을 뽑아 5-2로 재역전했다. 수원구장 더블헤더 1차전은 롯데가 6-1로 승리했으나 2차전은 kt와 1-1로 비겼다. 롯데는 1차전 1회초 전준우의 투런홈런 등으로 먼저 3점을 뽑았다. kt가 1회말 실책을 틈타 1점을 만회했으나 롯데는 3회초 전준우가 희생플라이로 다시 1점을 보탰다. 박세웅. [사진=롯데] 승기를 잡은 롯데는 6회와 9회에도 1점씩 보태며 승부를 갈랐다. 롯데 선발 박세웅은 6.1이닝을 4안타 1실점(비자책)으로 막고 시즌 8승(1패)째를 거둬 다승 단독 선두로 나섰다. 2차전에서 kt는 1회 안현민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뽑았으나 롯데는 4회초 안타 없이 사사구 4개로 동점을 만들었다. 이후 양 팀이 점수를 뽑지 못하면서 무승부가 됐다. psoq1337@newspim.com 2025-05-11 22:3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