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연춘 기자] 부동산경기 침체 등의 여파로 국내 건설업체 10곳 중 9곳은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따른 주택수요 변화에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주택건설업체 6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건설업계 대응 실태’ 조사 결과, 94.1%의 기업들이 저출산․고령화현상 등에 따른 주택수요 변화에 별다른 준비를 하지 못하고 있었다.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는 응답은 5.9%에 그쳤다.
응답비율을 기업규모별로 살펴보면, ‘좀더 있다 대책을 마련할 것’이란 응답이 대기업은 47.8%인 반면 중소건설사는 26.8%로 나타났으며, ‘향후에도 대책을 마련 계획이 없다’는 응답 역시 대기업은 40.6%, 중소건설사는 68.3%로 나와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미래 주택시장 변동위험에 더 크게 노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대책 마련 중’인 기업들이 강구하는 방안으로는 ‘소형주택 공급확대와 다양한 평면제공 등의 수요변화 대응’(39.8%)이 가장 많았고, ‘부동산 개발․임대사업 진출 등 사업 다각화’(38.1%), ‘건강․친환경․실버주택 등 전문주택 건설’(19.9%), ‘해외주택사업 진출’(2.2%) 등이 뒤를 이었다.
건설사들이 이처럼 인구구조 변화에 적극 대비하지 못하는 이유는 ‘부동산경기 침체로 투자여력 부족’(32.0%)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소형주택 건설 및 경쟁심화에 따른 수익률 하락’(26.5%), ‘분양위주의 공공주택 공급’(20.6%), ‘주택건설 관련 정부규제’(12.9%) 등을 들었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부동산경기 침체로 건설사의 여력이 바닥난 상황에서 중대형 주택이 외면받는 등 주택수요까지 급변하고 있어 이에 대응하는 건설기업들의 어려움이 크다”면서 “정부는 저출산․고령화 시대 건설사들의 대응능력 제고를 위해 신개념 주택 건설 저리자금 지원, 분양가 상한제 폐지, 법인의 주거용부동산 투자에 부과하는 법인세 중과세 폐지 등을 시행해 줄 것”을 요청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수익률대회 1위 전문가 3인이 진행하는 고수익 증권방송!
▶검증된 전문가들의 실시간 증권방송 `와이즈핌`
[뉴스핌 Newspim]이연춘 기자 (ly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