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신동진 기자] LG전자가 이동통신사업자별 맞춤형 하이엔드 스마트폰을 선보이고 있다. 이들 제품간에는 콘셉트와 사양차이가 명확하게 구분된다.
옵티머스 마하, 2X, 블랙은 어떻게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 KT로 출시키로 결정된 것일까.
![](http://img.newspim.com/content/image/2011/01/18/20110118000016_0.jpg)
18일 휴대폰 제조업체와 이동통신사업자에 따르면, 통상적으로 제조사들이 이동통신사업자에 출시모델을 제시하는 시기는 출시 6개월~9개월 전이다.
제조사들은 이동통신사업자의 스마트폰 가입자 수와 출시 예정시기에 경쟁사의 라인업에 대한 정보수집에 나선다.
정보수집 후 제조사들은 이통사에 제안서를 제출한다. 이들 제안서에는 하이엔드 제품인지 보급형인지와 경쟁력으로 내세울 수 있는 콘셉트가 무엇인지 등의 전략이 담겨있다.
이를 토대로 해당 이통사와 제조사는 단말 협의에 들어간다.
때문에 제조사들에게 스마트폰 라인업과 관련한 출시 일정은 대외비가 될 수 밖에 없다.
옵티머스 마하, 2X, 블랙 등도 이런 프로세스를 거쳐 각각 LG유플러스, SK텔레콤, KT로의 출시가 확정됐다.
하이엔드 스마트폰이 전무했던 LG유플러스는 듀얼칩과 멀티미디어 성능을 강화한 '옵티머스 마하'를, 향후 듀얼코어가 탑재된 갤럭시S2(가칭) 등 하이엔드 라인업이 대거 포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SK텔레콤에는 세계 최초 듀얼코어를 탑재한 '옵티머스 2X'를, 상대적으로 두께의 차별화를 강조해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옵티머스 블랙'을 KT로 LG전자는 각각 출시키로 결정한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동일한 제조사로부터 동일한 시기에 출시됐다고 하더라도 이동통신사업자의 상황을 고려하기 때문에 각기 다른 사양의 스마트폰이 나올 수 밖에 없다"고 귀띔했다.
▶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 뉴스핌 Zero쿠폰 탄생! 명품증권방송 최저가 + 주식매매수수료 무료”
[뉴스핌 Newspim]신동진 기자 (sdjinn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