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들이 스마트폰의 급팽창에도 불구하고 마케팅비용이 크게 증가하지 않은 점은 긍정적이다. 그렇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는 시각이다.
이를 두고 이동통신업계에서는 이통사들이 변형된 마케팅을 통해 겉으로 드러난 보조금 규모가 크게 늘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있다.
2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올 연말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500만명을 예고하고 있으나 이통사들의 마케팅비용이 크게 증가하지 않는 이상한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 잇따라 갤럭시S와 아이폰4등 최신식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가입자도 크게 날어나면서 이통사들의 마케팅비 부담도 커질 것으로 관측됐다. 그렇지만 상황은 전혀 다른 모습이다.
지난달 10일 국회 문방위 나경원 의원(한나라)이 공개한 '2010년 1월~8월까지 마케팅비 및 광고선전비 현황' 자료에 따르면 SK텔레콤의 경우 올해 들어 5월까지 매출액 대비 마케팅비 비중이 25~29% 수준이었다.
재밌는 현상은 갤럭시S를 출시한 6월 이후의 마케팅비가 오히려 감소했다는 것이다. SK텔레콤의 마케팅비중은 갤럭시S 출시이후 약 5% 정도 떨어진 21%대로 집계됐다. SK텔레콤 마케팅비 비율은 7월과 8월에 각각 21.99%, 21.86%로 갤럭시S 출시 이후 급격히 떨어졌다. 갤럭시S를 가장 많이 판매한 달의 마케팅비가 대폭 줄어든 것이다.
이같은 이유는 SK텔레콤이 구 요금제인 '올인원' 요금제와 결과적으로 할인폭은 동일하지만 보조금을 요금할인으로 바꾼 새 요금제 '스페셜'을 지난 6월부터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KT 역시 지난 6월과 7월 마케팅비 비중은 각각 24.36%, 23.88%이었다. 그러나 아이폰4 출시가 지연된 지난 8월에는 마케팅비가 29.85%대로 크게 올랐다. 아이폰의 판매량이 급감한 달의 마케팅비 비율이 대폭 오른 것이다.
LG유플러스의 경우에는 스마트폰의 라인업 열세로 인해 7, 8월의 마케팅비가 급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 판매가 늘어날수록 마케팅비가 줄어드는 기현상이 나온 배경은 무엇일까. 이동통신업계에서는 이통사들이 단말기 지원금(보조금)을 요금할인으로 둔갑시킨 효과로 풀이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KT의 i요금제와 SK텔레콤의 스페셜 요금제가 단말기 지원금을 요금 할인으로 전환한 사례다. 과거와 달리 마케팅비를 요금할인으로 처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스마트폰 가입자가 많아질수록 마케팅비가 감소하는 구조다.
이는 이통사들이 요금 할인이라는 유사 보조금을 통해 방통위가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고 있는 22% 마케팅비 규제에서 벗어나려는 의도로 해석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역차별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스페셜 요금제등과 같은 요금할인을 통한 유사 보조금이 스마트폰에 한정되기 때문에 저가폰이나 중고폰 또는 단말기 교체 여력이 없는 계층이 소외되거나 차별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동통신업계에서는 올해 신규나 기변 전체 가입자 중에서 스마트폰을 선택한 가입자만이 요금 할인을 통한 유사보조금의 혜택을 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가입자 중 90% 이상이 요금 할인이 되는 고가 스마트폰 요금제를 선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스마트폰에 가입하지 않는 한 추가적인 요금 할인 혜택도 없는 얘기다.
고가 스마트폰 요금제 선택으로 인해 가계통신비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가계통신비는 09년 2/4분기 13만2000원에서 올 2/4분기 13만9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에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소비와 합당한 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방통위의 마케팅비 규제는 합당하다는 판단이다. 단말기를 살 때 27만원(가입자 1인당 평균 예상이익+가입자 1인당 평균 제조사 장려금에서 조성된 단말기 보조금) 이상 보조금을 제한하는 것은 모든 가입자 혜택을 위해서 필수불가결하다는 것이다.
이동통신업계 관계자는 "특정 고가단말기인 스마트폰에 한정할 경우 피처폰을 사용하는 가입자는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다"며 "방통위가 보조금 규제에 대한 강력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마케팅비의 실효성있는 규제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양창균 기자 (yang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