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0월 연초 예상했던 추세흐름에서 크게 안벗어나"
재정경제부는 29일 "11월 산업생산이 작년 높은 증가율에 따른 기저효과로 증가세가 다소 둔화될 가능성이 있지만 선행지표 등을 감안할 때 증가추세는 지속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재경부는 이 날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대한 분석자료를 통해 이 같이 전망했다.
재경부는 "9~10월 지표를 종합해 볼 때 우리경제는 전체적으로 연초에 예상했던 추세적인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지난해의 상저하고 성장에 따른 반사적 효과 등으로 올해 상고하저의 성장흐름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
부분적으로는 최근 소비 증가세가 다소 조정받는 가운데 산업생산 증가가 수출 증가에 주도되는 모습이라고 평했다.
10월 지표에 대해서는 추석명절 이동과 조업일수 감소(-2일) 등으로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지만 추석이동 효과를 제거한 9~10월 평균 산업생산은 10.3% 증가해 추세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총평했다.
11월도 전년동월 11.8% 증가율을 고려하면 다소 둔화되겠지만 증가추세는 이어갈 것이란 전망.
재경부는 "앞으로 소비 등 내수의 흐름과 수출 등 대외부문 증가세의 지속가능성 등을 면밀히 관찰 분석해 12월중 명확한 경기판단과 함께 대응책을 내년도 경제운용방향에 담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재경부는 이 날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대한 분석자료를 통해 이 같이 전망했다.
재경부는 "9~10월 지표를 종합해 볼 때 우리경제는 전체적으로 연초에 예상했던 추세적인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지난해의 상저하고 성장에 따른 반사적 효과 등으로 올해 상고하저의 성장흐름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
부분적으로는 최근 소비 증가세가 다소 조정받는 가운데 산업생산 증가가 수출 증가에 주도되는 모습이라고 평했다.
10월 지표에 대해서는 추석명절 이동과 조업일수 감소(-2일) 등으로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지만 추석이동 효과를 제거한 9~10월 평균 산업생산은 10.3% 증가해 추세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총평했다.
11월도 전년동월 11.8% 증가율을 고려하면 다소 둔화되겠지만 증가추세는 이어갈 것이란 전망.
재경부는 "앞으로 소비 등 내수의 흐름과 수출 등 대외부문 증가세의 지속가능성 등을 면밀히 관찰 분석해 12월중 명확한 경기판단과 함께 대응책을 내년도 경제운용방향에 담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