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서울코어' 기공식 27일 개최
1만3천가구 주택공급…서울시·여권 추가 주택공급 검토
[서울=뉴스핌] 이동훈 선임기자 = 미래 글로벌 비즈니스 전략거점인 용산국제업무지구 '용산서울코어'가 첫 삽을 뜬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는 27일 오후 2시 용산구 한강로3가 40-1일대에서 '용산서울코어' 기공식이 열린다.
용산 국제업무지구는 용산 일대의 입지적 잠재력을 극대화해 서울역~용산역~한강변 축을 하나로 연결하는 '입체 복합 수직 도시' 비전을 실현하는 초대형 도시 개발 사업이다.
이번 사업은 용산구 한강로3가 40-1일대 축구장 63개 크기인 45만6099㎡구역을 개발하는 것으로 오는 2028년까지 도로와 공원 등 부지 조성 공사를 완료하고 이르면 2030년 기업과 주민 입주를 시작한다.
![]() |
|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 조감도 [자료=서울시] |
용산 국제업무지구는 주된 용도에 따라 국제업무와 업무복합, 업무지원 3개 구역으로 구성된다. 특히 국제업무 구역은 기존 용도지역 제3종일반주거에서 중심상업지역으로 상향해 고밀 복합 개발을 유도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제업무와 문화생활, 주거와 녹지 공간이 수직적으로 융합된 구조로 도시의 효율성과 쾌적성을 동시에 확보해 업무·주거·여가문화 등 생활에 필요한 모든 활동과 이동이 한 건물이나 도보권 내에서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콤팩트 시티(Compact City)'를 구현한다는 구상이다.
주택 공급도 신속하게 추진한다. 시는 이르면 2027년 말 주택 분양이 이뤄지도록 토지 분양과 건축 인허가에 대한 행정 지원을 발빠르게 추진할 예정이다. 시는 또 국제업무 기능을 유지하고 신속한 사업 추진 가능 범위 내에서 주택 공급 물량을 늘리는 방안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박원순 전시장 시절인 2013년 서울시의 사업포기 선언과 글로벌 금융위기 등으로 인해 10년 이상 사업이 멈춘 바 있다. 이후 오세훈 시장의 재취임과 함께 서울시는 2021년 코레일과 용산국제업무지구에 대한 공동사업시행 실시협약을 체결하며 사업 재개에 나섰고 이후 개발계획 고시 등을 통해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서울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를 글로벌 기업의 아시아·태평양 본부 등이 모인 업무 중심지로 개발해 서울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최고 100층 수준의 초고층 빌딩들이 들어서는 국제업무존, 오피스·오피스텔·상업 시설 등이 조성되는 업무복합존, 주거·의료·교육 시설 등이 자리 잡는 업무지원존을 조성할 예정이다.
대규모 주택 공급도 이뤄진다. 서울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에서 주거 시설 6000가구, 주변 정비사업 지원 등을 통해 늘어나는 7000가구를 포함해 총 1만 3000가구의 주택 공급을 추진하기로 했다. 최근 여권 일각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주택 공급 규모를 늘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서울시는 신속한 사업 추진이 가능한 범위에서 확대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올해 말 시작될 기반시설 착공 등 개발사업 추진 일정을 고려해 기존 개발계획의 도로·공원 등 기반시설로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국토부 등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주택 공급 확대 물량을 결정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용산서울코어는 서울을 세계 5대 글로벌 도시로 도약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nglee@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