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492개 단지 리모델링 계획
세대수 증가형 리모델링 수요 예측 및 기반시설 영향 분석
[용인=뉴스핌] 노호근 기자 = 용인특례시는 7일 '2030년 용인 공동주택 리모델링 기본계획'을 수립해 고시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용인의 도시환경 변화에 맞춰 2030년 기준 15년 이상 경과한 노후 공동주택 492개 단지를 대상으로 안정적인 리모델링 추진 지침을 담았다. 다만 재건축 정비예정구역 20개 단지는 제외됐다.
![]() |
| 용인시청사 전경. [사진=뉴스핌 DB] |
기본계획은 '주택법'에 따라 5년마다 타당성을 검토하며, 2018년 고시한 기존 계획을 바탕으로 2023년부터 도시 및 주거 여건을 재검토해 개선 방향을 마련했고, 지난 5일 경기도 승인을 완료했다.
대상 단지는 유지·관리형 79개, 맞춤형 353개, 세대수 증가형 40개 단지로 유형별 분류됐다. 입주민 의사에 따라 사업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주요 내용은 세대수 증가형 리모델링 수요 예측, 일시적 이주 수요 분산을 위한 단계별 시행 방안, 세대수 증가에 따른 기반시설 영향 분석, 도시 과밀 방지 계획 등이다. 기반시설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분석됐으나, 개별 단지 사업 추진 시 별도 검토 예정이다.
또한 2030년까지 이주 가능한 물량을 고려해 허가 총량 1만 5322세대를 제시하고, 허가 총량 초과 시 우선순위 평가 기준으로 추진 단지를 선정한다.
재건축 대비 공공성 부족과 택지 외 지역 과밀개발 문제 해결을 위해 인센티브 운용 기준과 도시경관 관리 방안도 포함했다. 도로 여건을 고려한 인센티브 항목도 마련해 적정 관리 수준을 제시했다.
'2030년 용인 공동주택 리모델링 기본계획'은 용인특례시청 홈페이지에서 열람 가능하다.
seraro@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