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마산YMCA가 마산 인공섬 조성사업과 관련해 정부의 정책 책임 인정과 국비 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마산YMCA는 13일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마산 인공섬은 정부의 잘못된 항만정책에서 비롯된 만큼 국가가 재정적 책임을 져야 한다"며 "창원시는 재원 확보를 위한 실질적 정치적 행동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마산YMCA가 13일 오전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마산 인공섬과 관련해 정부의 국비 지원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5.10.13 |
마산YMCA는 2025년 5월 2일 기자회견과 7월 16일 국정기획위원회에 공공개발과 정부 재정지원을 요구하는 민원과 정책 제안서를 제출했다.
해양수산부는 도시개발사업 주체가 창원시라며 재정 지원 요청은 창원시가 담당 부서와 협의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창원시도 국비 지원 없이 시비로 사업을 추진 중이며 재원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나 노력 중이라고 전했다.
마산YMCA는 "두 기관의 회신 모두 구체성이 없고 책임 떠넘기가 불과하다"면서 "마산만 인공섬 조성사업 비용은 명백히 정부의 잘못된 항만정책에서 비롯되었지만 해양수산부는 책임을 피하고 창원시는 적극 나서지 않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그러면서 "지난 1997년 해양수산부가 조작된 물동량 예측을 근거로 추진한 마산가포신항 사업의 결과물이 현재의 인공섬"이라며 "정책 실패의 부담을 창원시민에게 떠넘기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창원시는 매달 4억 원이 넘는 부채 이자를 시민 세금으로 상환해왔다"며 "국책사업 실패의 구조적 문제를 지방정부와 시민에게 전가하는 중앙정부의 태도는 책임 회피"라고 쓴소리를 던졌다.
YMCA는 "정부는 마산 인공섬이 국가 항만정책 실패의 결과임을 인정하고 공공성 확보를 위한 국비 지원 계획을 마련하라"고 요구하며 "창원시와 지역 정치권은 단순 건의에 그치지 말고 예산 편성과정에서 마산 인공섬 국비 반영을 핵심 지역 현안으로 다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마산 인공섬은 시민이 바다를 되찾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며 "투기 중심 개발이 아닌 시민의 휴식·생태·문화가 공존하는 공공공간으로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