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건설 플랫폼 기업과 손잡고 디지털 트윈 구현
정확한 토공량 산출로 생산성도 높여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DL이앤씨가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기반으로 한 드론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 |
드론 플랫폼으로 제작된 서울 서초구 '아크로 드 서초'(서초신동아 재건축) 현장 전경 [자료=DL이앤씨] |
28일 DL이앤씨는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는 드론 플랫폼을 국내 업계 최초로 주택사업 전 현장에 도입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트윈이란 현실 세계의 사물을 가상 세계에 그대로 옮겨오는 기술이다. 건설 분야에 적용하면 가상 공간에 현실과 똑같은 현장을 만들 수 있다. 공정∙품질∙안전 관리부터 설계∙분양∙유지보수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DL이앤씨는 스마트건설 플랫폼 기업인 '메이사'(Meissa)와 손을 잡고 드론 플랫폼을 개발했다. 메이사는 국내 유일 3차원 매핑(3D Mapping) 엔진을 보유하고 있다. 양사는 드론을 활용해 건설 현장을 주기적으로 촬영하고 정밀 분석한 후 정교한 디지털 트윈을 구현했다.
해당 드론 플랫폼에서는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공기·공정별 현장 상황을 한눈에 3D로 확인할 수 있다. 경사도와 면적, 거리 등 현장을 측정하고 기록하는 한편 현장 상황을 도면과 비교하며 시공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철저한 원가 관리로 생산성도 높였다. 기존에는 토공량(공사에서 다루는 흙의 양) 산출을 위해 현장 반∙출입 트럭 데이터를 활용함에 따라 오차가 다소 발생했다. 드론 플랫폼을 활용하면 항공 촬영을 통해 토공량을 자동으로 산출해 정확성을 대폭 높일 수 있다.
DL이앤씨는 드론 플랫폼을 주택 전 현장과 일부 토목·플랜트 현장에서 적용한다. 시공뿐 아니라 수주 단계에서 사업성을 검토하는 업무에도 쓰이고 있다. 향후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 AI가 스스로 현장 내 오류를 찾아주고 관리하는 등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DL이앤씨 관계자는 "드론 플랫폼을 활용하면 품질과 안전 확보는 물론 생산성까지도 높일 수 있다"며 "드론과 AI, 건설정보모델링(BIM) 등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건설 분야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