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부한 IT 분야 경력...관련 벤처기업 '환영'
"AI 전환과 무관"...제조업계, 회의적 반응 쏟아내
경기 불황·내수 침체 등 현실적 문제 관심 가져달란 의견도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이재명 정부 초기 중기벤처기업부를 이끌 장관 후보자로 한성숙 전 네이버 대표가 발탁됐다. 정보통신(IT) 업계에만 집중된 경력 탓에 전통 제조업이 외면받을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반응도 나온다.
30일 중소기업계에 따르면 현재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는 서울 여의도 소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수도권평가실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청문회 준비에 매진 중이다.
![]() |
인사청문회에서 별 문제가 생기지 않는 이상, 한 장관 후보자의 취임은 확정적이다.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기술 혁신을 중기부 정책의 핵심 축으로 삼으려는 이재명 정부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중소기업계 반응 또한 긍정적이다. 지난 23일 중소기업중앙회는 23일 논평을 내고 "한 후보자는 IT업계에 오랜 경험을 가진 기업인 출신"이라며 "산업 대전환기에 중소기업, 소상공인의 AI 디지털화를 촉진하는 등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할 적임자다"고 밝혔다.
같은 날 한국여성경제인협회도 논평을 내고 "여성 기업인을 중기부 장관으로 지명한 것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한 후보자는 특히 네이버 최초의 여성 최고경영자(CEO) 출신이라는 점에서 여성 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혁신 성장을 선도할 적임자다"고 말했다.
특히 IT 업종 내 스타트업에서 한 후보자의 취임을 환영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한 후보자는 IT 전문지인 월간PC라인에서 기자로 근무했으며, 이후 엠파스 창립 멤버를 거쳐 네이버 대표까지 오르는 등 대표적인 업계 전문가로 꼽힌다.
스타트업과 벤처 생태계에 대한 이해도도 높다. 한 후보자의 네이버 대표 재직 기간 네이버는 사내독립기업(CIC) 분사, 전략투자, 창업 플랫폼 구축 등으로 벤처업계와 긴밀히 협력한 바 있다. 여기에 IT 업종 내 민감한 문제들을 정부와 소통하며 조율한 경험 덕분에 문제 해결 능력도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 IT 스타트업 관계자에 따르면 "한 후보자의 경력을 감안하면 IT 업계, 특히 스타트업과 벤처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자금조달, 인재 육성 등 업계에 산적한 문제가 많은 상황에서 한 후보자의 전문성이 더욱 빛을 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중소기업계 전체가 한 후보자의 취임을 환영하는 것은 아니다. AI 전환과 동떨어진 업종에서는 AI 분야에만 강점을 보이는 한 후보자의 취임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한 침대 제조업체 관계자는 "AI라는 게 모든 업계에 적용될 수 있는 거긴 하지만, 적용의 정도와 범위는 업종마다 천차만별"이라며 "침대 제조업의 경우 규모가 큰 몇 개 회사를 제외하고는 사실 AI를 작업장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고 토로했다.
이어 "전통 제조업을 영위 중인 중소기업에 AI는 뜬구름 잡는 얘기다"며 "경기 불황이라든지, 내수 감소 등 보다 현실적인 문제에 관심을 뒀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중소기업의 AI 전환을 지원하는 정책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여전히 어려운 일이긴 하지만 AI를 제조업에 잘 적용할 수 있는 방법도 분명 있을 것"이라며 "일반 중소제조업에도 AI를 적용해 공정을 효율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 이를 도입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의 지원책이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stpoems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