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군산, 전주, 정읍 돌며 집중유세
"전북 소외 알고 있어…안타깝게 생각"
"재생에너지 사업 집중…일자리 생긴다"
"균형발전, 방향 바꿀 때…반드시 해야 할 일"
[전북 전주=뉴스핌] 박찬제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텃밭'인 전라북도에서 그간 지적돼 온 '전북 홀대론'에 선을 그으며 "서남해안을 재생에너지의 보고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균형 발전을 강조하며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전북 익산부터 군산, 전주, 정읍을 돌며 시민들과 만났다. 가장 먼저 방문한 익산에서는 익산역 동부광장에서 시민들과 만나 "전북의 소외를 알고 있다"고 말했다.
![]() |
[익산=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6일 전북 익산역 동부광장 유세에서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5.05.16 yooksa@newspim.com |
그는 "(전북의 소외를)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별에 치이고 영호남에서 홀대받고 호남에서도 전북이라고 대접을 받지 못하는 '3중 소외'를 겪어 오지 않았나"라고 위로했다.
그는 "군사정권과 독재정권의 '분할지배'로 전북의 소외와 낙후가 고착화 됐다"며 "독재 지배의 핵심이 분할이다. 국민을 쪼갠 다음 한 쪽만 집중 지원하고 싸우게 만드는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른 지역들이 전부 대구·경북 통합이니 부·울·경 메가시티니 충청 메가시티 이야기를 한다"며 "그런데 전북은 '호남으로 묶이기 싫다'며 전북특별자치도로 분리하고 있다. 슬픈 일이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전북의 발전 방향으로 '기업 유치'를 꼽았다. 구체적 방법으로 그는 "서남해안은 재생에너지의 보고다. 앞으로 이 무한한 바람과 태양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으면 국제사회에 살 수가 없다"며 "전 세계가 '탄소제로 시대'를 향하고 있다. 화석 연료로 생산한 제품은 절대 안 산다"고 부연했다.
이 후보는 "재생에너지 사업에 집중하면 일자리도 생긴다. 전남부터 전북, 충남, 이쪽 서남라인이 재생에너지의 보고다"며 "여기에 재생에너지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면 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북에서 생산되는 에너지를 싸게 공급하고, 지방으로 이전하기 어려우면 세제 혜택을 대규모로 주고, 수도권의 인구과밀지역과 다르니까 규제를 완화하고 땅도 싸게 주면 된다"며 "그러면 기업들은 오지 말라고 해도 오려고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후보는 또 "이제는 균형발전의 큰 방향을 바꿀 때"라며 "균형발전은 (중앙정부나 정치권이) 인심을 쓰듯 주는 것이 아니다.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했다.
![]() |
[군산=뉴스핌] 김학선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 후보가 16일 오전 전북 군산시 구시청광장에서 열린 집중유세에 참석, 유권자들의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5.05.16 yooksa@newspim.com |
그는 군산에서 이어진 집중유세 자리에서도 균형발전을 이야기했다. 이 후보는 "대한민국은 지방과 수도권의 차등이 심했다. 옛날에는 자원이나 예산이 부족했기에 어쩔 수 없이 몰아줬다"며 "불균형한 성장 전략이었는데 이제는 한계에 도달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속적 성장을 가로막는 장애요소가 됐다"며 "지방은 사람이 없어 소멸하려 하는데, 서울은 사람이 많아서 터지려 한다. 새만금 서남해안 곳곳에서 농사 대신 태양광 바람농사를 지으면 된다"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게 가능하도록 정부가 송·배전망을 촘촘히 깔아주면 마을 회관이나 논둑길에 태양광 패널을 깔아서 생산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주에 위치한 전북대에서 벌인 집중유세 자리에선 "제가 지나가다가 들어보니 전북 분들은 소외감이 심하다고 하더라"며 "이해 한다. 중앙집권 국가에서 수도권에 너무 많이 집중되니까 전북과 전주를 포함한 지방이 많이 소외된 게 사실"이라고 위로했다.
이 후보는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 발전을 위한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을 언급했다. 그는 "전북대도 서울대도 똑같은 국립대학교인데 서울대가 전북대보다 왜 국가 지원 예산이 2.5배나 많느냐"며 "학생 1인당 예선이 서울대가 5000만원인데 여기는 2000만원 밖에 안된다"고 짚었다.
그는 "전국의 지방거점 국립대를 직접 지원해서 서울대까지는 아니라도 비슷하게 개발해서 연구중심지를 만들겠다"고 부연했다.
pcj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