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법에 손해배상청구 소송 제기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고려아연의 최대 주주인 MBK 파트너스의 특수목적법인 한국기업투자홀딩스는 12일 고려아연 최윤범 회장과 박기덕 대표이사를 상대로 주주대표소송(손해배상)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최 회장과 박 대표가 지난해 11월 이사회 결의도 없이 고려아연이 보유 중이던 (주)한화 주식 543만6380주(발행주식총수의 7.25%)를 저가로 처분함으로써 고려아연에 손해를 입힌 데 따른 주주권리 행사 일환이라는 게 이유다.
![]() |
김광일 MBK 파트너스 부회장 [사진=뉴스핌 DB] |
한국기업투자홀딩스는 "이미 한 달여 전 고려아연 감사위원회에 대해 (주)한화 주식 저가 처분의 경위를 면밀히 조사하고 최 회장 등 손해 발생에 책임 있는 자들에게 배상 청구를 할 것을 요구했다"며 "하지만 이 같은 정당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한 달이 넘게 지나도록 회사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자, 대주주가 직접 행동에 나서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기업투자홀딩스는 12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제기하면서 "마땅히 프리미엄을 받아야 할 (주)한화 주식을 최윤범 회장과 박기덕 대표가 독단적으로 헐값에 처분해 고려아연은 물론 주주들에게 큰 재산적 손해를 끼쳤다"고 했다.
이어 "최 회장은 이같은 손해를 잘 알면서도 당시 경영권 박탈 위기에 몰리자 고려아연 주요주주인 한화 계열사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모든 주주의 이익에 반하는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볼 수 있다"며 "고려아연의 대주주로서 회사의 피해 회복을 위해 주주대표소송을 진행하게 됐다"고 말했다.
한국기업투자홀딩스는 손해배상액은 196억원을 청구했다. 이는 최소 규모로 처분하지 않고 계속 보유할 경우를 가정한 기대가치의 훼손을 반영하면 배상 규모는 1000억원을 훌쩍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한국기업투자홀딩스의 주장이다. (주)한화의 현재 주가는 처분 당시에 비해 80% 이상 높은 수준이다.
고려아연은 지난 2022년 11월 23일 (주)한화와의 사업제휴를 명목으로 양사의 이사회 결의를 거쳐 상호주 보유 명분으로 (주)한화 자기주식 543만6380주(7.25%)를 주당 2만8850원에 시간외대량매매 방식으로 취득했다.
한국기업투자홀딩스의 주장에 따르면 최윤범 회장과 박기덕 대표는 경영권 분쟁이 한창이던 2024년 11월 6일 처분제한 기간(3년)이 1년이나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화그룹 3세들이 지분 100%를 가지고 있는 한화에너지에 2022년 당시 매수 가격보다 3% 낮은 주당 2만7950원에 갑작스럽게 (주)한화 주식을 매도해 취득원가 대비로도 약 50억원의 손해를 봤다.
한국기업투자홀딩스 관계자는 "(주)한화가 상호주로 취득한 고려아연 지분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것처럼 고려아연이 (주)한화 주식을 지금까지 보유하고 있었다면 고려아연은 9일 현재 1307억원의 평가 이익을 볼 수 있었지만, 최 회장이 처분제한 기간 중임에도 이를 급히 매각함으로써 회사에 피해를 끼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 회장과 박 대표가 처분한 주당 2만7950원에 한화에너지가 (주)한화 공개매수 때 적용했던 할증률 12.92%를 적용한 차액만큼은 손해배상으로 우선 청구하고자 한다"고 했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