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기타

속보

더보기

[오늘 A주] 美 115%p 관세 인하에 상승...홍콩 상장에 CATL 3%대 상승

기사입력 : 2025년05월12일 16:42

최종수정 : 2025년05월12일 17:19

상하이종합지수 3369.24(+27.24, +0.81%)
선전성분지수 10301.16(+174.33, +1.72%)
촹예반지수 2064.71(+52.94, +2.63%)
커촹반50지수 1011.23(+4.91, +0.49%)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12일 중국 증시는 일제히 상승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이 성과를 낼 것이라는 기대감이 이날 증시에 훈풍을 불어넣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0.81% 상승한 3369.24, 선전성분지수는 1.72% 상승한 10301.16, 촹예반지수는 2.63% 상승한 2064.71로 각각 장을 마감했다.

미국과 중국이 스위스 제네바에서 11일(현지 시각)까지 이틀간의 고위급 무역 협상을 벌였다. 양국 대표는 12일 추가 협상을 진행한 후 공동 성명을 발표하기로 했다. 미국의 협상 대표인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11일 "미국과 중국 양국이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으며, 중국 측 대표인 허리펑(何立峰) 중국 부총리는 "회담에서 중요한 합의를 도출했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이날 중국 증시 장 마감과 동시에 미·중 양국은 공동 성명을 통해 관세를 대폭 인하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지난 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 이후 미국은 펜타닐 문제를 이유로 중국에 20%의 관세를 부과했으며, 이후 125%의 상호 관세를 부과했다. 모두 145%의 관세를 부과한 것. 이에 대해 중국은 미국에 대해 125%의 보복성 상호 관세를 부과했다.

이날 양국은 공동 성명을 통해 125%의 상호 관세를 동시에 10%로 낮춘다고 발표했다. 양국 모두 90일 동안 24%의 관세 부과를 중단시켰으며, 나머지 90%의 상호 관세는 취소했다.

이로써 미국의 대중국 관세율은 145%에서 30%로 낮아졌고, 중국의 대미국 관세율은 125%에서 10%로 낮아졌다.

[그래픽=퉁화순재경] 상하이종합지수 12일 추이

이날 특징주로는 방산주가 또다시 강세를 보였다. 치펑징궁(七豊精工), 쿤촨즈넝(昆船智能), 항톈난후(航天南湖), 화루커지(華如科技) 등 20여 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11일 인도와 파키스탄이 전격적으로 휴전을 선언했으며, 휴전의 배경으로 파키스탄의 전력이 예상외로 강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이 파키스탄에 수출했던 전투기와 방공망의 경쟁력이 실전을 통해 입증받았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중국 무기의 해외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이날 방산주의 주가를 끌어올렸다.

이와 함께 시가총액 1조 1300억 위안(220조 원)의 대형주인 CATL(닝더스다이, 寧德時代)이 3.52% 상승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CATL은 12일 홍콩 증시 상장 설명서를 공개하며, 오는 20일 1억 1800만 주를 홍콩 시장에 추가로 상장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모집 자금 규모는 40억~50억 달러(7조 원)로 예상되고 있다. CATL은 이번에 조달된 자금 중 90%를 헝가리 공장 건설에 투입한다고 발표했다.

한편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 거래 센터는 이날 위안화 기준 환율을 달러당 7.2066위안으로 고시했다. 전 거래일(7.2095위안) 대비 0.0029위안을 내린 것이며, 위안화 가치로는 0.04% 상승한 것이다.

중국 증시 자료사진[신화사=뉴스핌 특약]

ys174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이재명의 사람들] 원조 친명' 김영진 [서울=뉴스핌] 이영태 선임기자 =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원조 친명'으로 분류되는 김영진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직언과 '쓴소리'를 할 수 있는 정치인으로 손꼽힌다. 이 대통령도 김 의원의 쓴소리는 합리적이라고 판단해 경청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2022년 대선 패배 이후 이 대통령이 인천 계양에 출마하겠다고 했을 때 반대했고, 지난해 당대표직 연임에 대해서도 "이 대표가 계속 '설탕'(감언이설)만 먹고 있다면 이빨이 다 썩을 수 있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냈었다. 이재명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를 국회 취임식장으로 안내하는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2025.06.23 [사진=김영진 블로그] 이로 인해 둘 사이가 껄끄러워졌다는 얘기도 있었지만 주변 사람들 사이에선 "그래도 (이 대통령이) 당내에서 진심으로 의지한 인물은 김 의원뿐"이라는 말이 돌았다. 김 의원은 중앙대를 졸업한 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이다. 이 대통령이 아끼는 중대 후배 중 하나로 내각 구성을 포함한 각종 인선 시나리오에 1순위로 회자된다. 운동권 출신으로 졸업 후 취업이 안 될 때 당시 변호사였던 이 대통령이 취업을 지원했다는 후문이 있을 정도로 인연이 깊다. 그는 2017년 대선부터 이 대통령을 지원한 '원조 친명' 7인회(김영진·문진석·정성호 의원, 김병욱·김남국·이규민·임종성 전 의원) 중 한 명이다. 김 의원은 지난 대선 때 선대위 상황실장, 이번엔 정무실장을 맡아 '전략통'으로 활약했다.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2025.06.23 [사진=김영진 블로그] 김 의원은 중앙대 총학생회장을 지낸 후 김근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상임의장직을 맡을 때 그를 보좌했다. 1998년 국회 인턴을 시작으로 조세형 의원 비서, 조한천 의원 비서관, 김진표 의원 보좌관 등을 지냈다. 국회의원 보좌진 외에도 민주당 경기도당 대변인 등을 지내면서 주로 당에서 근무하거나, 보좌관으로 활동했다. 2016년 20대 총선에서 수원시 병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첫 뱃지를 단 후 2017년 대선을 앞두고 문재인 후보 대세론이 굳어지던 민주당 후보 경선에서 대학 선배인 이재명 후보 캠프에 참여해 '진짜 친명'으로 불린다. 2018년 당 전략기획위원장직을 맡아 지방선거를 압승으로 이끌었고, 2년 후에도 다시 한 번 전략기획위원장을 맡았다. 이 대통령이 당내에서 전략적 조언을 구하는 소수의 인물 중 한 명으로 '이재명 당대표 1기' 당시 정무조정실장을 맡아 근거리에서 보좌했다. 2016년 처음 국회에 입성한 이후 수원병에서 22대까지 내리 3선에 성공했다. 여러 선거를 승리로 이끈 전략통으로, 경제정책과 실물경제 흐름에 밝다는 평가를 받는다. 민주당 관계자는 "실물경제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점이야말로 김 의원과 이 대통령의 닮은 점이자 잘 통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1967년 충남 예산 출신으로 유신고와 중대 경영학과(86학번)를 졸업했다. medialyt@newspim.com 2025-06-23 09:01
사진
"이란 의회, 호르무즈 봉쇄 승인"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이란 의회가 호르무즈 해협 봉쇄안을 승인했다고 이란 국영방송 프레스 TV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다만 최종 결정은 이란 최고 국가안보회의에서 내려져야 한다고 방송은 전했다. 호르무즈 해협은 전 세계 석유 및 천연가스 수요의 약 20%가 통과하는 곳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이라크, 쿠웨이트산 원유가 이곳을 지난다.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는 전 세계 원유 공급 압박으로 작용하며 유가를 띄울 가능성이 크다. MST마키의 사울 카보닉 선임 에너지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몇 시간, 며칠 동안 이란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많은 것이 달려 있지만 만약 이란이 이전에 위협했던 대로 대응한다면 유가는 배럴당 100달러 수준으로 치솟을 수 있는 길에 들어설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이란 혁명수비대 출신 의원인 에스마일 코사리는 인터뷰에서 "해협 봉쇄는 안건에 올라가 있으며 필요할 때 언제든 실행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덴마크 해운회사 머스크는 이날 성명에서 자사 선박들이 여전히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하고 있지만 상황에 따라 이를 재검토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해당 지역에서 선박들이 직면한 안보 위협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필요시 운영상 조처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설명했다.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는 선박.[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6.22 mj72284@newspim.com mj72284@newspim.com 2025-06-22 22: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