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호우 대비…서울시, 방재시설 대폭 확충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가 주요 풍수해 재해우려지역을 집중 관리하고, 좁은 골목까지 침수 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신기술을 도입한다. 빗물이 한꺼번에 시내 하천으로 쏠리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빗물을 담는 '물그릇' 12곳도 확보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여름철 기후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2025 풍수해 안전대책'을 12일 발표했다. 시는 이달 15일부터 10월까지 기습 폭우에 대응하는 '풍수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할 예정이다.
시는 올해 위험도가 높은 저지대와 재해 우려지역을 관리하며, 반지하 주택, 지하차도, 하천 변 산책로 등 침수 위험이 있는 시설을 중점적으로 들여다본다. 서울 전역에 설치된 강우량계와 도로수위계를 활용, 침수 우려 지역의 실시간 수위를 측정해 예측 경고를 실시하며, 침수가 발생할 경우 자치구에서 신속한 주민 경고 문자를 전송하게 된다.
![]() |
서울 관악구 반지하 주택에 차수판이 설치돼 있다. [뉴스핌DB] |
특히 반지하 주택이 많은 관악, 동작, 영등포구의 15개 골목길에는 '반지하 침수경보시설'을 도입해 침수 감시를 강화한다. 이 시스템은 수위 관측장비가 달린 레이더 센서가 실시간 수위를 감지해 경보해 주는 시스템으로, 침수 감시망을 좁은 골목 단위까지 확대할 수 있게 됐다.
또 98개 지하차도를 중점 관리하며, 차도면에 10cm 이상의 침수가 발생할 경우 즉시 통제한다. 하천 산책로는 예비특보 단계부터 진입 차단·자동 경보 시설을 가동할 계획이다. 하천 순찰단을 운영해 신속한 현장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산사태 취약지역에 대한 사전 대피 체계도 마련한다.
시는 집중호우가 내릴 때 빗물이 시내 하천으로 몰려 급격하게 수위가 상승하는 현상을 억제하고자 공원 연못․호수에 빗물을 담는 '빗물그릇(자연형 저류지)' 기능을 도입해 침수 예방효과를 높인다.
'빗물그릇'은 서울대공원 등 7곳에 운영 중이며, 올해 5개소가 추가돼 총 12곳이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이 시스템을 통해 빗물 최대 75만7000톤을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여름철 빈번한 폭우에 대비해 수도권 기상청과의 핫라인을 구축, 실시간 소통을 통해 기상 정보를 신속히 교류하고 있다.
이 외에도 경찰, 군, 소방과 협의체를 운영해 현장 대응력을 높이고, 관계기관과 함께 훈련을 실시해 재난 대응 역량도 점검할 예정이다.
시는 방재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으며 올해 강남역, 도림천, 광화문 일대에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착공에 들어간다. 현재까지 주요 방재시설에 대한 점검을 완료하고 침수 요인을 사전 제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오세훈 시장은 이날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2025년 풍수해 안전대책 추진현황 보고회'에서 각 분야의 풍수해 대비 상황을 종합적으로 점검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