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부터 5년간 국비 107억원 투입
시도청·자치경찰위·연구기관 공동 치안문제 해결 과학기술 개발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찰청은 2025 자치경찰 연구개발 신규과제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실종아동 수색 플랫폼과 자율순찰로봇 등을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자치경찰 수요기반 문제해결 연구개발사업은 경찰청이 2022년부터 5년간 국비 107억원을 들여 추진하고 있다. 지역별 연구기관, 자치경찰위원회, 시도경찰청과 협력해 지역 특성에 맞는 치안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할 수 있는 과학기술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해당 사업은 과학기술이 치안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지속 보완해 발전할 수 있도록 연구기관과 자치경찰 사무기관등이 협업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서 1차 사업에서는 지난 2023년 대구 자치경찰위가 대구 테크노파크와 협력한 '여성·어린이 안심귀가를 위한 인공지능(AI) 데이터 범죄 취약지구 디지털 순찰서비스'와 제주 자치경찰위와 제주테크노파크가 협력한 '교통사고·혼잡 예측 및 확산 방지를 위한 현장 데이터 기반 교통현장 관리지원 기술 개발'이 선정됐다.
경찰청이 과학치안진흥센터와 협력해 선정한 2025 자치경찰 연구개발 신규과제는 실종아동 수색 및 범죄예방 사업 지원 플랫폼(서울)과 순찰 로봇 및 영상센서 활용한 안전관리 체계(전북)다.
![]() |
경찰청 [사진=뉴스핌DB] |
AI 활용 실종 아동 수색 및 범죄예방 사업 지원 플랫폼은 서울시 자치경찰위가 동국대와 협력한 사업으로 서울 지역 아동 안전을 확보하고 범죄예방 사업을 지원한다.
AI 분석 기술을 활용해 학교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동의 이상행동을 미리 감지해 범죄를 예방하고, 아동 실종상황 발생시 폐쇄회로(CC)TV에 촬영 흔적을 신속히 탐지해 아동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
서울 시내 공간 정보, 범죄 발생 통계 등을 통합 분석해 범죄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해 서울 경찰의 범죄예방 사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순찰 로봇 및 영상센서 활용한 안전관리 체계는 전북 지역 치안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주천 산책로 주변 범죄를 예방하고, 야간 적외선 탐지와 AI 기술을 활용해 이상행동 탐지 기능을 개발해 자율순찰 로봇에 적용할 계획이다.
공중화장실 내 불법촬영을 예방하기 위한 감지시스템도 개발한다. 기존 감지시스템은 빛을 한쪽으로만 보내고 감지도 한 지점에서만 이뤄져 빛이 닿지 않는 공간은 감지되지 않는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이번에 개발되는 감지시스템은 화장실을 엿볼 수 있는 모든 공간에 센서를 부착해 사각지대를 없앴다.
지역 문제해결 연구개발사업은 2027년 연구개발이 종료돼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되는지 실증 결과에 따라 과학기술 성과물이 치안현장에 배치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경찰청, 자치경찰위, 시도경찰청, 지역 연구기관이 과학치안 협력체계를 구축해 지역의 치안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과학치안 기술 개발로 자치경찰의 범죄예방 및 대응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krawj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