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관광 경제효과로 생산유발액 37.8% 급증
MaaS(마스) 플랫폼 통한 다양한 여행 관련 서비스 추가 계획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이 특색 있는 철도 상품 개발을 통한 지방 관광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다양한 테마의 관광 상품을 바탕으로 철도 이용객 증대와 관광객 증가의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단 목표다.
![]() |
[대전=뉴스핌] 최지환 기자 = 7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 따르면 지난해 7월 출시한 지역사랑 철도 여행상품이 출시 8개월 만에 8만여 명이 이용하며 인구감소지역 구원 투수로 등장했다. 2024.04.22 choipix16@newspim.com |
7일 코레일은 지난해 철도관광 여행객이 301만1000명으로 2022년 대비(258만3000명) 16.6%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생산유발액 증가율은 37.8%(6081억원→8378억원)이다. 취업유발 효과가 특히 컸다. 2022년 5352명이었던 철도관광 관련 취업자 수는 지난해 1만5926명으로 3배가량 늘었다.
코레일의 철도관광 사업 유형 중에선 정기 열차를 이용한 패키지나 단체여행 등 정기 상품 비중이 58.7%로 가장 크다. 이어 ▲백두대간, 서해관광열차 등 정기관광열차(16.9%) ▲국악와인, 에코레일열차 등 임시관광열차(6.8%) 등 순이다.
지난해 7월부터는 인구감소에 따른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사랑 철도여행 상품도 내놨다. 코레일과 국토교통부 등 정부 부처, 한국관광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및 33개 지방자치단체 등 총 40개 기관이 협업해 열차로 떠날 수 있는 인구감소 지역의 관광상품을 발굴했다.
코레일의 열차운임 50% 할인과 지자체의 지역 관광명소 체험할인 혜택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고객이 직접 여행지를 선택해 관광지를 자유롭게 찾아가는 자유여행과 전문여행사 가이드가 동행하는 패키지, 코레일의 관광전용열차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돼 있다.
현재 운영 중인 상품은 총 345개다. 올 3월 말 기준 이용객은 8만635명이다. 지난해 8~12월 대비 올 1~3월 이용객이 40% 이상 늘었다. 출시 8개월간 거둔 경제유발효과는 약 225억원이다. 올 하반기에는 참여를 희망하는 타 지자체와의 협업을 늘릴 방침이다.
코레일은 철도관광 활성화의 목표로 인구감소지역의 체류 인구(주민등록 없이 특정 지역에 1박 이상 머무는 인구) 증가에 따른 소비 진작과 정주인구 확대를 들었다. 통계청 조사 결과 지난해 3분기 인구감소지역의 체류인구의 신용카드 사용액이 전체 생활인구 사용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최대 49%로 집계됐다. 관광이나 여가 목적으로 방문한 지역에서 평소보다 더 많은 돈을 사용한단 의미다.
송문관 코레일 여행플랫폼처 부장은 "여행을 통해 각 지역 경제 효과 창출이 가능하다"며 "해당 지역을 방문했던 긍정적 기억을 바탕으로 '그 동네에서 한 번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자리를 잡게 되는 정주인구로의 확대를 노리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에는 이 같은 철도관광 상품을 널리 알리기 위해 홍보에 공을 들일 계획이다. 전국 축제 일정과 기차 예약·확인이 가능한 '코레일 추천 지역축제 캘린더'를 출시한다. KTX 주요 역과 수도권 전동차 대상 액자·영상 광고에도 나선다. 10월 중으로 코레일톡 중심의 통합여행플랫폼 '코레일 MaaS(마스)'에서 지역 먹거리나 특산품 등의 사전 주문(픽업)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송 부장은 "어떤 곳에 어떤 목적으로 방문할 것인지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추천하는 등 고객에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마스를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