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도의회, '산불특별법' 제정위해 적극 나서라"
[안동=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초대형산불'의 빠른 복구와 실질적 재건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강하게 제기됐다.
29일 속개된 경북도의회 임시회에서다.
김대일 경북도의원(안동, 국민의힘)은 이날 속개된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안에서 "안동을 비롯 경북 북부권에 발생한 초대형 산불의 피해와 관련해 피해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복구·재건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 |
김대일 경북도의원(안동, 국민의힘)이 29일 속개된 경북도의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안에서 "안동을 비롯 경북 북부권에 발생한 초대형 산불의 피해와 관련해 피해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복구·재건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사진=경북도의회]2025.04.29 nulcheon@newspim.com |
김 의원은 "산불 진화는 끝났지만, 복구는 더디고 지원은 미흡하다"며 "1조 4300억 원에 달하는 피해 규모에 비해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주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또 "2022년 울진 산불 당시에도 복구 대책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결과적으로 바뀐 것은 없었다"고 강하게 지적하고 "이번에도 골든타임을 놓친다면 피해 주민과 지역 재건은 멀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의원은 최근 정가와 국회에서 활발하게 거론되고 있는 '산불지원 특별법' 제정도 강하게 촉구했다.
김 의원은 "구체적인 보상과 체계적 지원을 가능케 할 '대형산불 피해 복구 및 지역 재건을 위한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을 강력 촉구하고 "경상북도와 도의회가 특별법 통과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혼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경북도와 도의회의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안동 남후 농공단지 피해 사례도 언급됐다.
김 의원은 "법적 지원 근거가 없어 위약금과 복구비를 기업이 떠안고 있다"고 지적하고 "중소기업을 위한 공급망 복원, 원자재 수급 연계 등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초대형산불'에 따른 2차 피해 예방과 대응 체계 개편도 강력히 주문했다.
김 의원은 "경북에는 산사태 응급 복구가 필요한 지역만 201곳에 달한다"고 지적하고 "장마 전에 선제적 조치가 없다면 피해는 반복될 수밖에 없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문화재 보호 대응책 마련도 촉구했다.
김 의원은 "의성 고운사를 포함한 다수의 문화재가 피해를 입었다"며 "사찰·고택·서원 등 화재에 취약한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 방재 설비 보강, 비상 소산 계획 수립, 전담 TF 운영 등 예방 중심의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경북은 산림 면적이 넓고 산불 피해가 잦지만, 야간 진화 장비와 대응 인프라는 여전히 부족하다"며 "경북도 차원의 대비책을 추진하는 한편, 중앙정부에 야간 산불 진화 항공기 및 대용량 수송기 도입을 적극 건의해 관철시켜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의원은 "이번 복구는 단순한 재건이 아니라, 지역 존립을 위한 기초가 되어야 한다"며 "피해 주민과 지역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도의회가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에 앞장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