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탐 응시 비율 최고치 기록해
중위권 이과생, 문과로 진로 바꿔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2026학년도 대입을 준비하는 고3 문과 수험생이 증가한 반면 이과 수험생은 줄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0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많은 중위권 이과생이 문과로 진로를 바꾸는 '사탐런' 현상이 발생하며 문과생이 늘었다.
![]() |
이과생들이 문과로 넘어가 사탐에 응시하는 '사탐럼' 현상이 발생했다. 사진은 2025년 3월 전국연합 학력평가가 실시된 지난 26일 오전 서울 금천구 금천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지난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채점 결과, 문과 학생들이 주로 응시하는 '확률과 통계' 응시 비율은 59.5%로 5.6%p 상승했다.
반면 이과 학생이 주로 응시하는 수학 '미적분·기하' 응시 비율은 40.5%로 나타났다. 전년보다 5.6%p 하락했다. 이과 학생이 응시하는 국어 '언어와 매체' 응시 비율도 33.8%로 3.6%p 줄었다.
사탐 응시 비율은 64.6%로 2022학년도 통합수능 도입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년보다 9.5%p 상승했다. 과탐 응시 비율은 35.4%로 9.5%p 감소했다.
사탐 과목 중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세계 지리 등 9개 전 과목에서 응시자가 늘었고 과탐 과목은 감소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사탐 응시 비율이 늘어난 것은 문과 학생 증가와 이과 학생 중 사탐 과목을 응시하는 사탐런 현상이 동시에 크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으로 해석된다"며 "의대 등 최상위권 진학을 노리는 이과생은 과탐 응시생 감소에 따른 변수를 더 크게 받아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축소까지 겹쳐 입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