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까지 피해조사 마무리...농약대·대파대·시설복구비 등 신속 지급
농기계 임대·농자재 구입자금 신속 지원...'과수원 재조성 등 원상복구' 정부보조 확대 지원 건의
[안동·의성·청송·영양·영덕=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도가 이달 15일까지 '경북산불' 피해 5개 시군의 농축산분야 피해조사를 마무리하고 농약대, 대파대, 시설복구비 등을 신속 지급하는 영농공백 최소화와 피해복구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경북도가 마련한 선제 복구 대책은 △빠른 피해조사와 복구비 지급을 통한 농가 경영 정상화 △응급복구로 적기 영농 지원 △농업정책보험, 농어촌진흥기금 등 농가 경영안정 강화 △피해 지역의 항구적인 농업 기반 복구 △농가 부담 완화위한 정부 지원 요청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11일 경북도에 따르면 현재까지 확인된 농축산분야 피해는 △농작물 3862ha △농기계 1만883대 △시설하우스 783동 △축사 235동 △부대시설 2411동이며 가축 피해는 △한우 281두 △돼지 2만5034두 △닭 17만4027수 △양봉 1만3740군으로 집계됐다.
![]() |
[안동=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초대형 산불'로 잿더미로 변한 과수농가.2025.04.11 nulcheon@newspim.com |
◇ 신속한 피해조사.복구비 지급....빠른 영농 재개 발판 마련
경북도는 신속한 피해 조사를 위해 타 시·군 지원인력 110명을 포함한 총 908명을 투입해, 농작물·시설·가축 등의 피해 정밀조사를 이달 15일까지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통상 지자체 피해조사 완료 후 복구계획 확정까지는 60~90일이 소요되지만, 경북도는 행정절차를 간소화하고 중앙정부와 협의를 거쳐 이를 1개월 이내로 단축한다는 계획이다.
복구비는 직접지원과 간접지원으로 나뉜다. 직접지원 항목은 농약대, 대파대, 가축 입식비, 농업시설 및 농기계 복구비 등이다.
농약대는 농작물에 피해가 있는 경우 지급되며, 과수는 ha당 276만 원, 채소류는 ha당 218만 원이다. 대파대는 농작물 피해가 심해 다시 식재 해야 할 경우 지급되며, 사과는 ha당 1766만 원, 마늘은 1054만 원이 지원된다. 가축 입식비는 한우는 두당 약 183만 원, 돼지는 두당 약 26만 원이 지급된다.
간접지원은 농가 단위 피해율이 50% 이상일 경우에 생계비와 학자금이 지급된다. 생계비의 경우 2인 가구는 118만원, 4인 가구는 183만원이 지급되며, 또 의무교육 미대상 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가 있을 경우 자녀 1인당 학자금 100만 원도 지원된다.
![]() |
![]() |
경북도가 이달 15일까지 '경북산불' 피해 5개 시군의 영농공백 최소화와 피해복구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사진=경북도]2025.04.11 nulcheon@newspim.com |
◇ 원활한 농기계 공급.영농지원단 운영....영농 공백 최소화
경북도는 농사 재개위한 필수요소인 농기계 지원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경북도는 자체 예산 38억 원을 긴급 투입해 안동시 등 5개 피해 지역에 지역별로 시급한 농기계 기종을 우선 구입할 수 있도록 긴급 지원했다.
또 산불 피해 5개 시·군의 농기계임대사업소는 자체 보유 중인 3040대의 농기계를 피해 농가에 무상으로 우선 임대하고 있다.
이와함께 경북도 내 16개 시·군에서 104대를, 경기도 등 4개 도에서는 51대의 농기계를 품앗이 방식으로 긴급 지원했다.
또 ㈜대동을 비롯한 국내 4대 농기구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총 79대의 농기계를 무상 임대받아 피해 지역에 긴급 지원했다.
경북도는 또 12개반 24명으로 구성된 농기계 긴급 수리 순회 봉사단을 이달 21일까지 피해 지역에 투입해 현장 수리를 진행하는 한편 영농지원단을 밭작물 이식 등 실제 농작업 현장에 동원하는 등 피해 농가가 영농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
[영덕=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초대형 산불'로 종이상자처럼 구겨진 농기계.2025.04.11 nulcheon@newspim.com |
◇ 농가 경영안정 도모...축산농가 응급지원
경북도는 농작물·농기계·가축 재해보험을 통한 신속한 피해 보상위해 '50% 선급금 지급'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또 농어촌진흥기금을 활용, 총 200억원 규모의 비료, 농자재 등을 구입할 수 있는 무이자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농가당 최대 1000만원 한도로 신속 지원했다.
상환 기간은 2년이며, 이자율 감면 혜택도 함께 마련해 피해 농가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축산 분야의 빠른 회복을 위해 (사)전국한우협회 경북도지회를 통해 볏짚 920롤과 건초 50톤을 긴급 지원하고 '국경없는수의사회' 등의 이동 동물병원을 피해 지역에 배치해 가축과 반려동물의 진료 및 치료를 지원하고 있다.
![]() |
[영덕=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초대형 산불'로 안동시와 의성.청송,영양.영덕군 등 경북 북동부권 5개 시군의 생업터전이 초토화된 기운데 영덕군 지품면의 한 과수농업인이 재기를 서두르고 있다. 2025.04.11 nulcheon@newspim.com |
◇ 항구적 복구위한 제도.재정적 정부지원 요청
경북도는 단순한 피해 복구를 넘어 피해 농업인의 빠르고 완전한 일상회복 위한 항구적 복구시스템 마련을 정부에 강력히 요청했다.
이 결과 종전까지는 과수 피해 농가 경우, 과수고품질 시설현대화 사업 대상에서 제외됐으나 이번 경북도의 적극 건의로 과원조성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됐다.
과수 농가의 부담을 크게 덜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 경북도는 현행 재해복구비의 단가와 지원율이 실제 피해 수준에 비해 낮아 농가의 부담이 큰 만큼, 이를 현실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정부에 지속 건의하고 있다.
이와함께 복구 과정에서 농가의 부담 경감 위해 농기계 구입, 과수 고품질 시설 현대화, 시설하우스 신축 예산 등이 추가 지원될 수 있도록 정부에 공식 요청했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본격적인 영농철을 맞아 피해 농가가 하루라도 빨리 영농에 복귀할 수 있도록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 복구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아울러, 농가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항구적인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