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직접 협상 원해...고율 관세로 강력한 지렛대"
"中과 협력하면 자충수...트럼프의 전략"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에 보복하지 않고 관세 인하를 요청한 국가들과 협상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호 관세 시행을 90일 유예했다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90일 유예 발표 직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행정부는 75개국 이상과 협상을 벌이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각 국가에 대한 해법은 맞춤형 협상이 되고, 그로 인해 시간이 약간 걸린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에 직접 참여하고 싶어 한다. 그래서 90일 유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 [사진=로이터 뉴스핌] |
베센트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협상 과정에서 고율 관세를 활용해 "자신에게 최대한 유리한 협상 지렛대를 만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에 보복하지 않는 국가에는 지난 2일 발표한 국가별 상호 관세율이 '상한'이며 이번 유예 발표를 통해 일시적으로 적용되는 10%가 '하한'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센트 장관은 미국에 보복 관세를 부과한 중국을 "미국이 가진 무역 문제들의 가장 큰 원천"이라고 지목한 뒤 "중국이 확전했고,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용감하게 대응했다. 그리고 우리는 교역 파트너들과 함께 해법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것이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이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불리한 위치로 유도했고, 중국은 이에 대응하면서 세계에 자신들이 '나쁜 행위자'임을 드러냈다"고 주장했다.
베센트 장관은 이에 앞서 열린 미국은행협회(ABA) 콘퍼런스에서도 트럼프 행정부가 앞으로 수주 내 70개국 이상과 벌일 관세 협상을 주도할 것이라면서 "미국 동맹국들과 관세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미국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과의 밀착하는 것은 "자충수가 될 것"이라고 강력히 경고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국가에 대해 90일간의 유예를 주기로 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기로 했다. 다만 미국에 보복 관세로 맞선 중국에 대해선 1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kckim1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