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중소기업중앙회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지난 3월 17일부터 26일까지 중소기업 60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美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관련 중소기업 설문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
[사진=중소기업중앙회] |
조사 결과 응답 중소기업의 42.8%가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 관세부과로 수출이나 매출에 영향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미국의 관세 부과로 인해 중소기업이 겪고있는 애로사항(복수응답)은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정확한 파악 어려움'으로 응답한 기업이 41.8%로 가장 많았다. ▲관세 리스크로 인한 물류비 상승(38.2%) ▲수출국 다변화 비용 발생(36.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응답 기업 중 32.5%가 관세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비 중인 내용으로는(복수응답) ▲생산 비용 등 자체 비용 절감 노력(52.8%) ▲미국 거래처와 관세 부담 논의(51.8%) ▲유관 기관 설명회 참여 등 정보 탐색(30.8%) 등이 가장 많았다.
관세 부과 대응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복수 응답) 으로는 '관세 관련 정보 제공'이 5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물류비 지원 강화(46.7%) ▲정책 자금 지원(40.5%) ▲법무·회계법인 등 관세 컨설팅(24.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생 상품을 수출 중이라고 응답한 기업 중 43.4%가 파생상품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변했다.
파생 상품 수출 중소기업에 필요한 정부 지원책(복수응답) 으로는 ▲미국 HS코드 확인을 위한 전문 컨설팅(42.4%) ▲철강·알루미늄 함량 계산 컨설팅(41.4%) ▲통관 절차 등에서의 서류 대행(33.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면서 중소기업들의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전문 인력과 정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