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제·일산 수질복원센터 시설개량…주민친화시설도 조성
창릉신도시·대곡 역세권 개발 연계 실효성 높은 계획 마련
이동환 시장 "시민들 체감할수 있는 살기좋은 도시 만들것"
[고양=뉴스핌] 최환금 기자 = 고양특례시는 도시 전체에 맑은 물을 공급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하수처리시설을 대대적으로 정비한다.
하수처리시설은 일상에서 사용 후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처리하고 하천으로 되돌려보내 환경오염과 질병 전파를 예방하는 환경기초시설이다.
![]() |
이동환 고양특례시장(가운데)이 삼송수질복원센터를 점검하고 있다. [사진=고양시] 2025.02.13 atbodo@newspim.com |
고양시는 기존 운영 중인 벽제수질복원센터를 증설하고 일산수질복원센터 시설을 개량해 하수처리시설 성능을 높인다. 창릉신도시, 대곡역세권 등에도 신규시설 건설과 확장을 검토해 신도시 개발과 인구 증가에 대비한다.
벽제수질복원센터 지하화…상부공간에 주민친화시설 조성
2007년 준공된 시설용량을 9000톤 더 늘려 처리성능을 개선하고 지하화와 시민휴식공간 조성으로 시민편의를 높인다.
![]() |
벽제수질복원센터 전경. [사진=고양시] 2025.02.13 atbodo@newspim.com |
벽제수질복원센터는 하수 유입량 증가와 시설 노후화로 가동률이 94%까지 늘어나 효율적 운영이 어려운 상태다. 지난해 여름에는 폭염으로 기중차단기가 과열되며 화재가 발생해 일시적으로 가동이 중단되기도 했다.
이에 고양시는 안정적인 수질 처리를 위해 1일 39.200톤인 하수처리 용량을 1일 48,200톤으로 확대하는 증설사업을 추진한다. 국도비 80억원과 민간투자비 180억원을 포함해 총 460억원을 투입해 손실과 이익을 민간사업자와 분담하는 '손익공유형 민간투자사업(BTO-a)' 방식으로 진행된다.
지난해 말부터 사업시행자 모집을 시작하며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들어갔고 올해 사업계획서가 접수되면 1단계 참가자격사전심사(PQ) 서류 평가와 2단계 기술·가격 평가를 거쳐 최종 사업시행자를 지정하게 된다.
![]() |
벽제수질복원센터 3단계 증설사업 조감도. [사진=고양시] 2025.02.13 atbodo@newspim.com |
이번 증설사업으로 시는 벽제수질복원센터를 전면 지하화해 악취 문제를 해소하고 상부 공간은 주민 친화적 시설로 조성해 주변 주거환경을 개선할 전망이다.
아울러 상반기 중 수질복원센터 고압 전기시설물 전체에 자동소화설비장치를 설치해 화재 예방에도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하수량 60% 처리 일산수질복원센터 하수처리 성능 개선
고양시 전체 하수량의 약 60%를 처리하는 일산수질복원센터는 총 3단계에 걸친 시설개량사업으로 하수처리 성능을 개선한다. 현재 1993년 준공으로 시설이 노후화되고 초기 설계 대비 고농도 하수가 유입되며 처리 능력이 당초 1일 27만 톤에서 86%인 23만 2000톤으로 저하된 상태다.
![]() |
일산수질복원센터 전경. [사진=고양시] 2025.02.13 atbodo@newspim.com |
지난해부터 슬러지(침전물) 및 수처리시설을 개선하는 1단계 공사가 시작돼 내년 준공을 목표로 현재 27% 정도 공사가 진행됐다. 공사가 완료되면 유입 하수 상황을 고려해 송풍기·농축기 증설, 펌프 개량 등 2, 3단계 사업을 추가로 진행해 수처리시설 효율성을 높일 예정이다.
시설개량이 완료되면 일산테크노밸리와 고양방송영상밸리 개발로 늘어나는 고농도 하수 추가 유입에도 안정적인 하수처리가 가능해지고 운영비 절감 등 예산 효율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수질복원센터 저비용 고효율 관리…신·증설 적극 검토
현재 고양시는 하루 총 42만 1,200톤을 처리할 수 있는 일산, 벽제, 원능, 삼송 4개 공공하수처리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전체 하수도 보급률은 96.9%에 이른다.
![]() |
삼송수질복원센터. [사진=고양시] 2025.02.13 atbodo@newspim.com |
고양시는 수질원격감시체계(TMS) 측정자료를 활용해 약품·기기 설비, 송풍기 운영 등을 개선하고 운영비를 절감하고 있다. 또 관리사와 정기적인 협의로 효율적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사업소 출입구에 매주 수질자료를 공개해 수처리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똑똑한 하수관리 사례는 지난해 환경부가 주최한 수질원격감시체계 측정자료 활용 우수사례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하며 관리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아울러 24시간 가동되던 생물반응조(미생물을 이용해 하수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시설) 교반기를 운전과 정지를 반복해도 동일한 효과를 내도록 자동운전 프로그램을 개선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있다.
![]() |
TMS 측정자료 활용 우수사례 공모전 수상모습. [사진=고양시] 2025.02.13 atbodo@newspim.com |
도시개발로 인한 인구 증가와 하수처리 수요 해결을 위해 신규 하수처리시설 구축도 적극 검토 중이다. 특히 2027년 첫 입주를 시작하는 창릉신도시에는 LH와 협의를 거쳐 완전 지하화한 창릉수질복원센터를 건설하고 주민친화시설도 조성할 방침이다.
또한 일산신도시 정비, 대곡역세권 융복합단지 지정 등 주요 도시 프로젝트와 연계한 하수처리시설 신·증설을 관련 기관과 함께 검토해 실효성 높은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기존 하수처리시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일산테크노밸리, 창릉신도시 등 도시개발 수요에 맞는 하수처리시설 신·증설을 신속히 추진해 고양시를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더 쾌적하고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atbod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