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와 현실의 중첩, 전쟁터 같은 한국 사회 반영
마약, 성소수자, 탈북민, 무속, 코인 등 문제에 대한 질문
마지막 시즌에서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까?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전 세계적인 화제를 불러온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2'가 예상대로 좋은 반응을 보이면서 순항하고 있다. 해외 매체들의 호평도 이어지고 있다. '버라이어티'지는 "전작의 주제를 확장한 가치 있는 후속작"이라고 평했다.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는 "이전보다 더 풍부하고 응집력이 있다. 유일한 문제는 시즌 3를 기다려야만 한다는 것"이라고 평했고, BBC는 "지옥 같은 세계로의 반가운 귀환, 시청자들의 등골을 오싹하게 할 것"이라면서 반색했다.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오징어 게임' 시즌2의 한 장면. [사진 = 넷플릭스 제공] 2025.01.10 oks34@newspim.com |
대부분의 해외 매체들도 '예리한 사회비판', '치밀한 스토리텔링', '넘치는 긴장감' 등을 이 드라마의 미덕으로 꼽았다. 그러나 이 드라마를 보는 내내 불편한 마음을 지울 수 없었다. K-드라마의 신화를 써 내려가고 있는 '오징어 게임 2'의 성공이 불편한 이유가 뭘까. 모두가 알고 있듯이 이 드라마는 적자생존의 논리가 지배하는 치열한 한국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
복수를 다짐하고 다시 돌아와 게임에 참가하는 '기훈'(이정재)과 그를 맞이하는 '프론트맨'(이병헌)의 치열한 대결을 그린 시즌 2의 무대도 시즌 1과 다를 바 없다.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비석치기, 공기놀이, 제기차기, 짝짓기 등 동심을 자극하는 게임을 하는 것도 똑같다. 그러나 게임에서 지는 순간 참가자들을 기다리는 건 처참한 죽음이다.
황 감독은 시즌 1보다 훨씬 치열하게 한국 사회의 디테일을 비벼 넣었다. 그룹 빅뱅 출신 탑(최승현)을 출연시켜 젊은이들의 마약 중독에 대해 그렸다. 또 인터넷 도박, 가상화폐 열풍으로 가산을 탕진한 젊은 참가자들의 파멸을 그리기도 했다. 여기에 성적 소수자, 탈북민, 무속인 등을 차례로 등장시키면서 지금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오징어 게임' 시즌 2의 한 장면. [사진 = 넷플릭스 제공] 2025.01.10 oks34@newspim.com |
우연의 일치겠지만 시즌 2가 공개된 시점 전후로 한국 사회는 비상계엄과 내란 사태로 격랑에 휘말리는 상황을 맞았다. 비정상적인 사고를 가진 대통령의 비상계엄, 탄핵소추안 가결과 헌법재판소 심판, 현직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발부 등 드라마보다 더한 현실이 펼쳐지고 있다.
황 감독은 매 게임이 끝날 때마다 참가자들이 게임을 속행할지 결정하는 투표 장면을 통해 민주주의에 대해 묻는다. 참가자들은 민주적인 절차를 거쳐 생사를 결정하는 죽음의 게임을 계속할 것인지 결정한다. 그러나 이 게임을 설계한 '보이지 않는 손'들은 OX 투표 자체를 즐기면서 자신들의 관음증을 충족시킨다. 드라마 속 OX 투표를 하는 참가자들을 엄동설한의 한가운데서 한남동 대통령 관저를 에워싸고 시위를 벌이고 있는 이 나라 국민들로 치환시키면 이 드라마는 더 이상 드라마가 아니다.
지금 넷플릭스 앞에 앉아 있는 전 세계 시청자들이 '오징어 게임 2'의 상황을 지켜보면서 대한민국 서울에서 벌어지고 있는 대치 상황을 떠올리지 않을까. 물론 정치권력이나 거대 자본과 대결하는 드라마는 얼마든지 있다. 그러나 '오징어 게임 2'처럼 현실과 드라마가 중첩되면서 기시감을 느끼게 하는 경우는 별로 많지 않다. 하필 그 무대가 드라마를 제작한 대한민국 서울인 것이다. 소름 끼치도록 닮아 있는 드라마와 현실 사이에서 우리는 좀 더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2025.01.10 oks3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