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력·경쟁력 방산 우수 중소기업 각광
국내 150개·해외 28개 기업 참여 성료
140여 미팅, 상담 액수 1억2000만 달러
그래핀월드·넥스젠그래핀폴리머스 300억 계약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대한민국 방위산업전(DX KOREA 2024) 채우석 대회장은 30일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중소기업이 다수 주목을 받았다"면서 "DX KOREA 2026에는 통합된 방산전시회가 되도록 지금부터 치밀하게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채 대회장은 "2026 통합전시회 개최와 관련해 오는 11월 중 국회를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난 9월 25일부터 나흘간 '평화의 미래, 그 약속의 시간' 주제로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6회 DX KOREA 2024가 성공적으로 종료됐다.
![]() |
대한민국 방위산업전(DX KOREA 2024)이 지난 9월 25일부터 나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성공적으로 열렸다. 주요 고객과 관람객들이 부스를 돌아보고 있다. [사진=DX KOREA 조직위] |
DX KOREA 2024 조직위원회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와 각국 주한대사관 국방무관 협조 아래 국제 방위 산업 관계자, 해외 국방 귀빈, 각국 방산 전문 바이어 등을 다수 초청해 비지니스 미팅을 추진하는 등 실질적 성과를 냈다"고 말했다. 국제인증 전시회로서 방산 네크워킹을 강화하는 기회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특히 국내기업 150개사, 레오나르도를 비롯한 해외 15개 나라 28개사 등 모두 178개사가 참여했다. 국내 기업과 해외 방산전문 바이어와 미팅이 모두 140여 차례 이뤄졌으며, 상담 액수는 약 1억 2000만 달러(1500억원)에 달한다고 조직위는 밝혔다.
![]() |
대한민국 방위산업전(DX KOREA 2024)이 지난 9월 25일부터 나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성공적으로 열렸다. 방산기업 그래핀월드와 넥스젠그래핀폴리머스가 해외업체와 납품계약을 맺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DX KOREA 조직위] |
무엇보다 이번 전시에 참가한 나노복합소재 전문기업인 그래핀월드와 넥스젠그래핀폴리머스는 해외 업체와 300억 원 규모의 자동차 부품 소재와 전기자동차용 전자파 차폐 소재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전시회 기간에는 ▲명지대 방산안보연구소와 법무법인 율촌이 공동으로 연 '미국 방산수출 전략과 사이버보안 인증제도(CMMC) 세미나' ▲한국국방인공지능협회가 연 '2024 국방 인공지능(AI) 발전 세미나' 등 국제학술세미나가 열렸다. 하이퍼엑셀과 씨텍, 니나노컴퍼니 등 참가 기업이 연구 개발한 신제품을 소개하는 피치(PITCH) 프로그램도 진행됐다.
![]() |
대한민국 방위산업전(DX KOREA 2024)이 지난 9월 25일부터 나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성공적으로 열렸다. 미국 방산 수출 전략과 사이버 보안 인증제도(CMMC) 세미나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DX KOREA 조직위] |
방산 전문 중소기업이 대거 참여한 이번 전시회에서는 ▲니나노컴퍼니의 감시정찰과 시설물 점검 특화 드론 ▲KRM의 군사용 로봇개 '비전60' ▲국방 메타버스 개발 전문기업 데브크라의 MFT(Mental Force Training) 시뮬레이션 ▲광장이노텍의 나노물질 '에어로겔' 섬유 ▲헤쎄드 코리아의 기능성 군장용품 등 경쟁력과 기술력을 갖춘 다양한 제품들이 각광을 받았다.
국내 유일의 쌍안경 제조업체 산주광학은 자동초첨 쌍안경이 수출 상담을 통해 큰 성과가 거뒀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동반성장위원장상 수상과 함께 해외에서 한국을 찾은 주요 인사(VIP)와 바이어들에게 주목받는 계기가 됐다.
![]() |
대한민국 방위산업전(DX KOREA 2024)이 지난 9월 25일부터 나흘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성공적으로 열렸다. 피치(PITCH) 프로그램으로 방산기업 씨텍이 폭발물처리(EOD) 작전 디지털 엑스 레이(X-ray) 촬영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DX KOREA 조직위] |
산주광학 측은 "꾸준한 신제품 개발과 신시장 개척을 통한 고객이 진정으로 인정하는 세계적 기업의 꿈을 갖고 있다"면서 "DX KOREA 2024 행사에 크게 만족한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회 기간에는 방위사업청과 국방과학연구소(ADD), 국방기술품질원, 국방기술진흥연구소 등 방위 사업과 방산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육군의 각 기능별 병과장과 참모장교, 육군사관생도와 현역 장병, 일반 관람객 등 모두 1만 2000여 명이 전시장을 찾았다.
kjw8619@newspim.com